|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
, 육혈(衄血)
, 타혈(唾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 
하고약일방(下蠱藥一方)[1]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 
하고약일방(下蠱藥一方)[2]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 
하고약일방(下蠱藥一方)[3]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 
하고약일방(下蠱藥一方)[4] | 
고독(蠱毒)
 | 
혼합처방
 | 
| 
하고약일방(下蠱藥一方)[5] | 
고독(蠱毒)
 | 
혼합처방
 | 
| 
하고초(夏枯草)[1] | 
목적종통(目赤腫痛)
 | 
단방처방
 | 
| 
하고초(夏枯草)[2] | 
자백전풍(紫白癜風)
 | 
단방처방
 | 
| 
하고초산(夏枯草散)[1] |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 
혼합처방
 | 
| 
하고초산(夏枯草散)[2] |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 냉루(冷淚)
, 수명(羞明)
 | 
혼합처방
 | 
| 
하고초산(夏枯草散)[3] | 
결핵(結核)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 
하마(蝦蟆)[1] | 
고창(鼓脹)
, 수종(水腫)
 | 
단방처방
 | 
| 
하마(蝦蟆)[2] | 
고창(蠱脹)
 | 
단방처방
 | 
| 
하수오(何首烏)[3] | 
적년노수(積年勞瘦)
 | 
단방처방
 | 
| 
하수오(何首烏)[6] | 
슬통(膝痛)
, 요통(腰痛)
 | 
단방처방
 | 
| 
하수오(何首烏)[8]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허로(虛勞)
 | 
단방처방
 | 
|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 
혼합처방
 | 
| 
하엽(荷葉) | 
낙상(落傷)
, 악혈충심(惡血衝心)
, 타박상(打撲傷)
 | 
단방처방
 | 
| 
하유즙일방(下乳汁一方)[5] | 
유즙불행(乳汁不行)
 | 
단방처방
 | 
| 
하즙(鰕汁) | 
풍담(風痰)
 | 
단방처방
 | 
| 
하즙방(鰕汁方) | 
풍담(風痰)
 | 
단방처방
 | 
| 
하천고(霞天膏)[1] | 
울담(鬱痰)
 | 
단방처방
 | 
| 
하천고(霞天膏)[2] | 
울담(鬱痰)
 | 
단방처방
 | 
| 
하충산(下蟲散) | 
복장충(腹藏蟲)
 | 
혼합처방
 | 
| 
하충환(下蟲丸) | 
회감(蛔疳)
 | 
혼합처방
 | 
| 
학슬(鶴쳗) | 
회궐심통(蛔厥心痛)
 | 
단방처방
 | 
| 
학정단(鶴頂丹) | 
담궐(痰厥)
 | 
혼합처방
 | 
| 
한라산(旱螺散) | 
하감창(下疳瘡)
 | 
혼합처방
 | 
| 
한수석산(寒水石散) | 
소아제열(小兒諸熱)
 | 
혼합처방
 | 
| 
함고환(含膏丸) | 
천수(喘嗽)
 | 
혼합처방
 | 
| 
함화단(含化丹) | 
이균(耳菌)
 | 
혼합처방
 | 
| 
합개환(蛤蚧丸) | 
구수실음(久嗽失音)
 | 
혼합처방
 | 
| 
합분(蛤粉)[2] | 
열심통(熱心痛)
, 음심통(飮心痛)
 | 
단방처방
 | 
| 
합분환(蛤粉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혼합처방
 | 
| 
합장산(合掌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 
혼합처방
 | 
| 
합환피(合歡皮) | 
골절(骨折)
 | 
단방처방
 | 
| 
해(蟹)[1] | 
열결흉(熱結胸)
 | 
단방처방
 | 
| 
해(蟹)[2] | 
위기불화(胃氣不和)
 | 
단방처방
 | 
| 
해(蟹)[4] | 
해로(解顱)
 | 
단방처방
 | 
| 
해감수독일방(解甘遂毒一方) | 
감수독(甘遂毒)
 | 
단방처방
 | 
| 
해고과독일방(解苽果毒一方)[1] | 
고과독(苽果毒)
 | 
혼합처방
 | 
| 
해고과독일방(解苽果毒一方)[2] | 
은행독(銀杏毒)
 | 
혼합처방
 | 
| 
해고련독일방(解苦楝毒一方) | 
고련독(苦練毒)
 | 
단방처방
 | 
| 
해고호독방(解苦瓠毒方) | 
고호독(苦瓠毒)
 | 
단방처방
 | 
| 
해구육중독방(解狗肉中毒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균심독일방(解菌蕈毒一方)[1] | 
균심독(菌蕈毒)
 | 
혼합처방
 | 
| 
해균심독일방(解菌蕈毒一方)[2] | 
균심독(菌蕈毒)
 | 
혼합처방
 | 
| 
해금사(海金砂) | 
사림(沙淋)
, 요폐(尿閉)
 | 
단방처방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오림(五淋)
 | 
혼합처방
 | 
| 
해금사산(海金砂散)[3] | 
부종(浮腫)
, 천급(喘急)
 | 
혼합처방
 | 
| 
해금육중독일방(解禽肉中毒一方)[1] | 
아압육중독(鵝鴨肉中毒)
 | 
단방처방
 | 
| 
해금육중독일방(解禽肉中毒一方)[2] | 
치육중독(雉肉中毒)
 | 
단방처방
 | 
| 
해금은동석철독(解金銀銅錫鐵毒) | 
금은동석철독(金銀銅錫鐵毒)
 | 
혼합처방
 | 
| 
해금환(解噤丸) | 
금구리(噤口痢)
 | 
혼합처방
 | 
| 
해낭독독일방(解狼毒毒一方) | 
낭독독(狼毒毒)
 | 
혼합처방
 | 
| 
해낭탕독일방(解莨菪毒一方) | 
낭탕독(莨菪毒)
 | 
혼합처방
 | 
| 
해대극독방(解大戟毒方) | 
대극독(大戟毒)
 | 
혼합처방
 | 
| 
해대환(海帶丸) | 
기영(氣癭)
, 담핵(痰核)
 | 
혼합처방
 | 
|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 
농혈리(膿血痢)
 | 
혼합처방
 | 
|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두출과밀(痘出過密)
, 성아(聲啞)
, 장열(壯熱)
 | 
혼합처방
 | 
|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 
붕루(崩漏)
 | 
혼합처방
 | 
| 
해독웅황원(解毒雄黃元) | 
구금(口禁)
, 후폐(喉閉)
 | 
혼합처방
 | 
| 
해독탕(解毒湯)[1] | 
장독(臟毒)
 | 
혼합처방
 | 
| 
해독탕(解毒湯)[2]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해독환(解毒丸)[1] | 
경계(驚悸)
, 창양(瘡瘍)
 | 
혼합처방
 | 
| 
해독환(解毒丸)[2]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두부독일방(解豆腐毒一方) | 
두부독(豆腐毒)
 | 
혼합처방
 | 
| 
해마간중독일방(解馬肝中毒一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마독방(解馬毒方) | 
마독입창(馬毒入瘡)
 | 
혼합처방
 | 
| 
해마육중독일방(解馬肉中毒一方) | 
수육독(獸肉毒)
 | 
혼합처방
 | 
| 
해면독일방(解麵毒一方) | 
면독(麵毒)
 | 
혼합처방
 | 
| 
해반묘원청독방(解斑猫芫靑毒方) | 
반묘원청독(斑猫芫靑毒)
 | 
혼합처방
 | 
| 
해반석독일방(解礬石毒一方) | 
반석독(礬石毒)
 | 
단방처방
 | 
| 
해반하독일방(解半夏毒一方) | 
반하독(半夏毒)
 | 
혼합처방
 | 
| 
해백(薤白)[1] | 
구리(久痢)
, 냉설(冷泄)
, 적백리(赤白痢)
 | 
단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1]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2]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3]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4] | 
백물독(百物毒)
 | 
단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5] | 
백물독(百物毒)
 | 
단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6] | 
백물독(百物毒)
 | 
단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7]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8]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해백죽(薤白粥) | 
구토(嘔吐)
 | 
혼합처방
 | 
| 
해백탕(薤白湯)[1]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해백탕(薤白湯)[2] | 
두후여독(痘後餘毒)
 | 
혼합처방
 | 
| 
해분(海粉) | 
습담(濕痰)
, 열담(熱痰)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1] | 
비상중독(砒霜中毒)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2] | 
비상중독(砒霜中毒)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3] | 
비상중독(砒霜中毒)
 | 
혼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4] | 
비상중독(砒霜中毒)
 | 
혼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5] | 
비상중독(砒霜中毒)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6] | 
비상중독(砒霜中毒)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7] | 
비상중독(砒霜中毒)
 | 
단방처방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8] | 
비상중독(砒霜中毒)
 | 
혼합처방
 | 
| 
해서각중독일방(解犀角中毒一方) | 
서각독(犀角毒)
 | 
단방처방
 | 
| 
해서삼백산(解暑三白散) | 
중서(中暑)
 | 
혼합처방
 | 
| 
해석약독일방(解石藥毒一方) | 
석약독(石藥毒)
 | 
혼합처방
 | 
| 
해소주독일방(解燒酒毒一方) | 
주상(酒傷)
 | 
혼합처방
 | 
| 
해송자(海松子)[3] | 
허로이수(虛勞羸瘦)
 | 
단방처방
 | 
| 
해송자(海松子)[4] | 
역절풍(歷節風)
 | 
단방처방
 | 
| 
해수은독일방(解水銀毒一方) | 
수은독(水銀毒)
 | 
혼합처방
 | 
| 
해아산(孩兒散) | 
탈항(脫肛)
 | 
혼합처방
 | 
| 
해애독방(解艾毒方) | 
애독(艾毒)
 | 
혼합처방
 | 
| 
해약중독(解藥中毒) | 
약물중독(藥物中毒)
 | 
혼합처방
 | 
| 
해어독방(解魚毒方) | 
생회중독(生鱠中毒)
 | 
혼합처방
 | 
|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1] | 
어독(魚毒)
, 해독(蟹毒)
 | 
혼합처방
 | 
|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2] | 
어독(魚毒)
, 해독(蟹毒)
 | 
혼합처방
 | 
|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3] | 
어독(魚毒)
, 해독(蟹毒)
 | 
단방처방
 | 
| 
해어환(解語丸) | 
어삽(語澁)
, 중풍(中風)
 | 
혼합처방
 | 
| 
해여로독일방(解藜蘆毒一方) | 
여로독(藜蘆毒)
 | 
혼합처방
 | 
| 
해연훈방(解烟熏方) | 
연기중독(煙氣中毒)
 | 
단방처방
 | 
| 
해오수간독방(解烏獸肝毒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요사독방(解硇砂毒方) | 
요사독(硇砂毒)
 | 
단방처방
 | 
| 
해우마간독일방(解牛馬肝毒一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우양육중독일방(解牛羊肉中毒一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울육포독방(解鬱肉脯毒方) | 
수육독(獸肉毒)
 | 
단방처방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혼합처방
 | 
|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 
혼합처방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혼합처방
 | 
| 
해웅황독일방(解雄黃毒一方) | 
웅황독(雄黃毒)
 | 
단방처방
 | 
| 
해원화독일방(解芫花毒一方) | 
원화독(芫花毒)
 | 
혼합처방
 | 
| 
해유황독일방(解硫黃毒一方) | 
유황독(硫黃毒)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