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파결단(破結丹) | 
양독결흉(陽毒結胸)
, 음독결흉(陰毒結胸)
 | 
혼합처방
 | 
|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 
혼합처방
 | 
| 
파고지(破故紙)[2] | 
요통(腰痛)
 | 
단방처방
 | 
| 
파관탕(破棺湯) | 
상한발광(傷寒發狂)
 | 
단방처방
 | 
|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 
혼합처방
 | 
|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 
혼합처방
 | 
|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 
혼합처방
 | 
| 
파두(巴豆)[1] | 
이롱(耳聾)
 | 
단방처방
 | 
| 
파두(巴豆)[2] | 
아치종통(牙齒腫痛)
 | 
단방처방
 | 
| 
파두(巴豆)[3] | 
위중냉통(胃中冷痛)
 | 
단방처방
 | 
| 
파두고(巴豆膏) | 
발배(發背)
, 염창(臁瘡)
 | 
단방처방
 | 
| 
파두연(巴豆烟) | 
급후비(急喉痺)
 | 
단방처방
 | 
| 
파두환(巴豆丸) | 
담색(痰塞)
, 졸중풍(卒中風)
 | 
혼합처방
 | 
| 
파두훈법(巴豆熏法) | 
졸중풍(卒中風)
 | 
단방처방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혼합처방
 | 
| 
파음단(破陰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 
혼합처방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혼합처방
 | 
| 
파초엽(芭焦葉)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 
파초유(芭蕉油)[1] | 
유풍(遊風)
, 풍진(風疹)
 | 
단방처방
 | 
| 
파초유(芭蕉油)[2] | 
부인발락(婦人髮落)
 | 
단방처방
 | 
| 
파혈단(破血丹) | 
설단(舌斷)
 | 
혼합처방
 | 
|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 
혼합처방
 | 
|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 
혼합처방
 | 
| 
팔독적산(八毒赤散) | 
귀주(鬼疰)
 | 
혼합처방
 | 
| 
팔물정지원(八物定志元) | 
경계(驚悸)
 | 
혼합처방
 | 
| 
팔물탕(八物湯) | 
기혈양허(氣血兩虛)
 | 
혼합처방
 | 
|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 
한수(寒嗽)
 | 
혼합처방
 | 
|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신허(腎虛)
 | 
혼합처방
 | 
|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1] | 
중기(中氣)
 | 
혼합처방
 | 
| 
팔미순기산(八味順氣散)[2]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혼합처방
 | 
|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복창(腹脹)
, 비위허한(脾胃虛寒)
 | 
혼합처방
 | 
|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 
혼합처방
 | 
|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
, 산예(散翳)
 | 
혼합처방
 | 
|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혈훈(血暈)
 | 
혼합처방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혼합처방
 | 
| 
팔선고(八仙糕) | 
손설(飱泄)
 | 
혼합처방
 | 
|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 
혼합처방
 | 
|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 
혼합처방
 | 
|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 
혼합처방
 | 
| 
팔주산(八柱散) | 
활설(滑泄)
 | 
혼합처방
 | 
| 
팔진산(八珍散)[1] | 
식상(食傷)
 | 
혼합처방
 | 
|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혼합처방
 | 
| 
패모(貝母)[1] | 
흉격담기(胸膈痰氣)
 | 
단방처방
 | 
| 
패모(貝母)[3]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 
패모고(貝母膏) | 
악창(惡瘡)
 | 
혼합처방
 | 
| 
패모산(貝母散)[1] | 
화수(火嗽)
 | 
혼합처방
 | 
| 
패모산(貝母散)[2] | 
담천(痰喘)
, 열수(熱嗽)
 | 
혼합처방
 | 
|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 
혼합처방
 | 
| 
패장산(敗醬散) | 
장옹(腸癰)
 | 
혼합처방
 | 
| 
패천공(敗天公) | 
귀주(鬼疰)
, 정매(精魅)
 | 
단방처방
 | 
| 
패초산(敗草散) | 
두창반란(痘瘡斑爛)
 | 
단방처방
 | 
| 
편복(蝙蝠) | 
금창(金瘡)
 | 
단방처방
 | 
| 
편복산(蝙蝠散)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 
편자강황(片子薑黃) | 
기통(氣痛)
 | 
단방처방
 | 
| 
편축(萹蓄)[1] | 
회충(蛔蟲)
 | 
단방처방
 | 
| 
편축(萹蓄)[2] | 
오림(五淋)
 | 
단방처방
 | 
| 
편축(萹蓄)[3]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단방처방
 | 
| 
편축(萹蓄)[4] | 
습열발황(濕熱發黃)
 | 
단방처방
 | 
| 
편축(萹蓄)[5] | 
회궐심통(蛔厥心痛)
 | 
단방처방
 | 
| 
편황금(片黃芩) | 
폐열(肺熱)
 | 
단방처방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혼합처방
 | 
| 
평기산(平氣散) | 
습열천급(濕熱喘急)
 | 
혼합처방
 | 
| 
평기산(平肌散) | 
부골저(附骨疽)
 | 
혼합처방
 | 
| 
평보기출환(平補枳朮丸) | 
흉비(胸痞)
 | 
혼합처방
 | 
|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 
혼합처방
 |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경계(驚悸)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혼합처방
 | 
|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혼합처방
 | 
| 
평위산(平胃散)[1] | 
비위불화(脾胃不和)
, 심복창통(心腹脹痛)
, 탄산(呑酸)
 | 
혼합처방
 | 
| 
평위산(平胃散)[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혼합처방
 |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 
혼합처방
 | 
| 
평즉환(平鯽丸) | 
격기(膈氣)
, 구토(嘔吐)
, 불능식(不能食)
 | 
혼합처방
 | 
| 
평진탕(平陳湯) | 
식학(食瘧)
 | 
혼합처방
 | 
|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 
혼합처방
 | 
|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 
혼합처방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혼합처방
 | 
| 
폐풍환(肺風丸) | 
비사(鼻齄)
 | 
혼합처방
 | 
| 
포공영(蒲公英) | 
유옹(乳癰)
, 투유(妬乳)
 | 
단방처방
 | 
| 
포담환(抱膽丸) | 
경계(驚悸)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 
포대환(布袋丸) | 
무고감(無辜疳)
, 정해감(丁奚疳)
 | 
혼합처방
 | 
| 
포도(葡萄) | 
두출불쾌(痘出不快)
 | 
단방처방
 | 
| 
포도근(葡萄根)[1] | 
구얼(嘔呃)
 | 
단방처방
 | 
| 
포도근(蒲萄根)[2] | 
자상충심(子上衝心)
 | 
단방처방
 | 
| 
포룡환(抱龍丸) | 
급경풍(急驚風)
 | 
혼합처방
 | 
| 
포옹환(抱甕丸) | 
귀태(鬼胎)
, 혈고(血蠱)
 | 
혼합처방
 | 
| 
포황(蒲黃)[2] | 
붕루(崩漏)
, 적백대하(赤白帶下)
 | 
단방처방
 | 
| 
포황(蒲黃)[3] | 
구설생창(口舌生瘡)
, 중설(重舌)
 | 
단방처방
 | 
| 
포황(蒲黃)[4] | 
박손(撲損)
, 어혈(瘀血)
 | 
단방처방
 | 
| 
포황(蒲黃)[5] | 
산후구갈(産後口渴)
 | 
단방처방
 | 
| 
포황(蒲黃)[6] | 
소아허열(小兒虛熱)
 | 
단방처방
 | 
| 
포황고(蒲黃膏) | 
졸이롱(卒耳聾)
 | 
혼합처방
 | 
| 
포황산(蒲黃散) | 
전포(轉胞)
 | 
혼합처방
 | 
| 
포황초(蒲黃草) | 
유옹(乳癰)
, 투유(妬乳)
 | 
단방처방
 | 
|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혼합처방
 | 
| 
풍고(楓膏) | 
난현풍(爛弦風)
 | 
단방처방
 | 
| 
필발병(蓽撥餠) | 
비색(鼻塞)
 | 
혼합처방
 | 
| 
필승고(必勝膏) | 
두후옹절(痘後癰癤)
 | 
혼합처방
 | 
|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후비(喉痺)
 | 
혼합처방
 | 
|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혼합처방
 | 
| 
필징가환(蓽澄茄丸) | 
비색(鼻塞)
 | 
혼합처방
 | 
| 
필효산(必效散)[1] | 
임(淋)
 | 
혼합처방
 | 
| 
필효산(必效散)[2] | 
황달(黃疸)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