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자간환(煮肝丸) | 
감안(疳眼)
 | 
혼합처방
 | 
|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 
혼합처방
 | 
| 
자고(慈姑) | 
옹종(癰腫)
 | 
단방처방
 | 
| 
자금단(紫金丹)[1] | 
효천(哮喘)
 | 
혼합처방
 | 
| 
자금단(紫金丹)[2] | 
효천(哮喘)
 | 
혼합처방
 | 
| 
자금단(紫金丹)[3] | 
곡달(穀疸)
 | 
혼합처방
 | 
| 
자금산(子芩散) | 
상초열(上焦熱)
 | 
혼합처방
 | 
| 
자금정(紫金錠)[1] | 
귀태(鬼胎)
 | 
혼합처방
 | 
| 
자금정(紫金錠)[2]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정창(釘瘡)
 | 
혼합처방
 | 
| 
자금정자(紫金錠子)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혼합처방
 | 
| 
자금환(子芩丸) | 
경단부행(經斷復行)
 | 
혼합처방
 | 
| 
자금환(紫金丸) | 
아침통(兒枕痛)
 | 
혼합처방
 | 
| 
자단향(紫檀香) | 
금창(金瘡)
 | 
단방처방
 | 
|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 
혼합처방
 | 
| 
자부환(煮附丸) | 
대하(帶下)
, 붕루(崩漏)
, 월경부조(月經不調)
 | 
단방처방
 |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혼합처방
 | 
| 
자상환(紫霜丸)[1] | 
담벽(痰癖)
, 식간(食癎)
 | 
혼합처방
 | 
| 
자상환(紫霜丸)[2] | 
식간(食癎)
 | 
혼합처방
 | 
| 
자석(磁石)[1] | 
신허이롱(腎虛耳聾)
 | 
단방처방
 | 
| 
자석(磁石)[2] | 
구롱(久聾)
 | 
단방처방
 | 
| 
자석(磁石)[3] | 
철기입복자통(鐵器入腹刺痛)
 | 
단방처방
 | 
| 
자석(磁石)[4] | 
신허요통(腎虛腰痛)
 | 
단방처방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혼합처방
 | 
| 
자석영(紫石英) | 
경계(驚悸)
 | 
단방처방
 | 
| 
자설(紫雪) | 
적열(積熱)
 | 
혼합처방
 | 
| 
자소(紫蘇) | 
각기(脚氣)
 | 
단방처방
 | 
| 
자소경엽(紫蘇莖葉) | 
심복창만(心腹脹滿)
 | 
단방처방
 | 
|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 
혼합처방
 | 
| 
자소엽(紫蘇葉)[2] | 
무한(無汗)
 | 
단방처방
 | 
| 
자소엽(紫蘇葉)[3] | 
설생포(舌生泡)
 | 
단방처방
 | 
| 
자소엽(紫蘇葉)[4] | 
무한(無汗)
 | 
단방처방
 | 
| 
자소엽(紫蘇葉)[5] | 
무한(無汗)
, 상한표증(傷寒表證)
 | 
단방처방
 | 
| 
자소음(紫蘇飮) | 
난산(難産)
, 자현(子懸)
 | 
혼합처방
 | 
|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 
혼합처방
 | 
| 
자소자(紫蘇子)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단방처방
 | 
|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혼합처방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신허내장(腎虛內障)
, 혈소신로(血少神勞)
 | 
혼합처방
 | 
|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 
혼합처방
 | 
| 
자신환(滋腎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 
혼합처방
 | 
| 
자연동(自然銅) | 
골절(骨折)
 | 
단방처방
 | 
| 
자연동산(自然銅散) | 
근골절상(筋骨折傷)
, 타박상(打撲傷)
 | 
혼합처방
 | 
| 
자영산(滋榮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 
혼합처방
 | 
|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 
혼합처방
 | 
| 
자완용탕(紫菀茸湯)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혼합처방
 | 
| 
자완탕(紫菀湯)[1] | 
변혈(便血)
, 해역상기(咳逆上氣)
 | 
혼합처방
 | 
|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 
혼합처방
 | 
|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
, 자전풍(紫癜風)
 | 
혼합처방
 | 
|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
, 풍중장(風中臟)
 | 
혼합처방
 |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신허(腎虛)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2]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조잡(嘈雜)
, 혈허현훈(血虛眩暈)
 | 
혼합처방
 |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혼합처방
 | 
|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혼합처방
 | 
|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소갈(消渴)
 | 
혼합처방
 |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혼합처방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
, 신허(腎虛)
, 혈소신로(血少神勞)
 | 
혼합처방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해혈(咳血)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혼합처방
 | 
|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 
혼합처방
 | 
|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 
산후대변비결(産後大便秘結)
 | 
혼합처방
 | 
| 
자초고(紫草膏)[1] | 
열독창개(熱毒瘡疥)
 | 
혼합처방
 | 
| 
자초고(紫草膏)[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혼합처방
 | 
|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 
혼합처방
 | 
| 
자초음(紫草飮) | 
두출불쾌(痘出不快)
 | 
단방처방
 | 
|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 
혼합처방
 | 
| 
자탕(紫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혼합처방
 | 
| 
자하거(紫河車) | 
전광(癲狂)
 | 
단방처방
 | 
| 
자하거환(紫河車丸)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혼합처방
 | 
|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혼합처방
 | 
|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 
혼합처방
 | 
| 
자혈탕(滋血湯)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 
자황환(煮黃丸)[1] | 
기실심통(氣實心痛)
 | 
혼합처방
 | 
| 
자황환(煮黃丸)[2] | 
음식내상(飮食內傷)
, 흉복자통(胸腹刺痛)
 | 
혼합처방
 | 
| 
작(鵲)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단방처방
 | 
| 
작맹산(雀盲散) | 
간허작목(肝虛雀目)
 | 
혼합처방
 | 
| 
작소(鵲巢) | 
귀매(鬼魅)
, 전광(癲狂)
 | 
단방처방
 | 
| 
작약(芍藥)[2] | 
혈폐(血閉)
 | 
단방처방
 | 
| 
작약(芍藥)[3] | 
혈허복통(血虛腹痛)
 | 
단방처방
 | 
| 
작약(芍藥)[4] | 
산전후제병(産前後諸病)
, 혈허복통(血虛腹痛)
 | 
단방처방
 |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1] | 
복통(腹痛)
 | 
혼합처방
 |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2] | 
각련(脚攣)
, 번조(煩躁)
, 상한(傷寒)
, 오한(惡寒)
 | 
혼합처방
 | 
| 
작약백피환(芍藥柏皮丸) | 
농혈리(膿血痢)
 | 
혼합처방
 | 
| 
작약산(芍藥散) | 
풍한협통(風寒脇痛)
 | 
혼합처방
 | 
| 
작약탕(芍藥湯)[1] | 
농혈리(膿血痢)
 | 
혼합처방
 | 
|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 
혼합처방
 | 
|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 
작옹(雀甕) | 
경간(驚癎)
, 만경풍(慢驚風)
 | 
단방처방
 | 
| 
작육(雀肉)[2] | 
대하(帶下)
, 혈붕(血崩)
 | 
단방처방
 | 
| 
잠견산(蠶繭散)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 
잠사(蠶沙) | 
탄탄(癱瘓)
, 풍비(風痺)
 | 
단방처방
 | 
| 
잠퇴지(蠶退紙)[1] | 
대하(帶下)
, 붕루(崩漏)
 | 
단방처방
 | 
| 
잠퇴지(蠶退紙)[2] | 
광간(狂癎)
, 사수(邪祟)
 | 
단방처방
 | 
| 
잠퇴지(蠶退紙)[3]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 
잠행산(潛行散) | 
통풍(痛風)
 | 
단방처방
 | 
| 
장달환(瘴疸丸) | 
시행황병(時行黃病)
, 역려발황(疫癘發黃)
 | 
혼합처방
 | 
| 
장미근(薔薇根) | 
구설생창(口舌生瘡)
 | 
단방처방
 | 
|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 
혼합처방
 | 
| 
장수(漿水) | 
면간(面䵟)
, 흑자(黑子)
 | 
단방처방
 | 
| 
장수산(漿水散) | 
폭설(暴泄)
 | 
혼합처방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혼합처방
 |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혼합처방
 | 
| 
장청(醬淸) | 
수지철통(手指掣痛)
 | 
단방처방
 | 
|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 
재소산(再甦散) | 
두창(痘瘡)
 | 
혼합처방
 | 
|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 
혼합처방
 | 
| 
저간(猪肝)[1] | 
냉설(冷泄)
, 습설(濕泄)
 | 
단방처방
 | 
| 
저간(猪肝)[2] | 
간열목적종통(肝熱目赤腫痛)
 | 
단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