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자간환(煮肝丸) |
감안(疳眼)
|
혼합처방
|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
혼합처방
|
자고(慈姑) |
옹종(癰腫)
|
단방처방
|
자금단(紫金丹)[1] |
효천(哮喘)
|
혼합처방
|
자금단(紫金丹)[2] |
효천(哮喘)
|
혼합처방
|
자금단(紫金丹)[3] |
곡달(穀疸)
|
혼합처방
|
자금산(子芩散) |
상초열(上焦熱)
|
혼합처방
|
자금정(紫金錠)[1] |
귀태(鬼胎)
|
혼합처방
|
자금정(紫金錠)[2]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정창(釘瘡)
|
혼합처방
|
자금정자(紫金錠子)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혼합처방
|
자금환(子芩丸) |
경단부행(經斷復行)
|
혼합처방
|
자금환(紫金丸) |
아침통(兒枕痛)
|
혼합처방
|
자단향(紫檀香) |
금창(金瘡)
|
단방처방
|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
혼합처방
|
자부환(煮附丸) |
대하(帶下)
, 붕루(崩漏)
, 월경부조(月經不調)
|
단방처방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혼합처방
|
자상환(紫霜丸)[1] |
담벽(痰癖)
, 식간(食癎)
|
혼합처방
|
자상환(紫霜丸)[2] |
식간(食癎)
|
혼합처방
|
자석(磁石)[1] |
신허이롱(腎虛耳聾)
|
단방처방
|
자석(磁石)[2] |
구롱(久聾)
|
단방처방
|
자석(磁石)[3] |
철기입복자통(鐵器入腹刺痛)
|
단방처방
|
자석(磁石)[4] |
신허요통(腎虛腰痛)
|
단방처방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혼합처방
|
자석영(紫石英) |
경계(驚悸)
|
단방처방
|
자설(紫雪) |
적열(積熱)
|
혼합처방
|
자소(紫蘇) |
각기(脚氣)
|
단방처방
|
자소경엽(紫蘇莖葉) |
심복창만(心腹脹滿)
|
단방처방
|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
혼합처방
|
자소엽(紫蘇葉)[2] |
무한(無汗)
|
단방처방
|
자소엽(紫蘇葉)[3] |
설생포(舌生泡)
|
단방처방
|
자소엽(紫蘇葉)[4] |
무한(無汗)
|
단방처방
|
자소엽(紫蘇葉)[5] |
무한(無汗)
, 상한표증(傷寒表證)
|
단방처방
|
자소음(紫蘇飮) |
난산(難産)
, 자현(子懸)
|
혼합처방
|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
혼합처방
|
자소자(紫蘇子)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단방처방
|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혼합처방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신허내장(腎虛內障)
, 혈소신로(血少神勞)
|
혼합처방
|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
혼합처방
|
자신환(滋腎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
혼합처방
|
자연동(自然銅) |
골절(骨折)
|
단방처방
|
자연동산(自然銅散) |
근골절상(筋骨折傷)
, 타박상(打撲傷)
|
혼합처방
|
자영산(滋榮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
혼합처방
|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
혼합처방
|
자완용탕(紫菀茸湯)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혼합처방
|
자완탕(紫菀湯)[1] |
변혈(便血)
, 해역상기(咳逆上氣)
|
혼합처방
|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
혼합처방
|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
, 자전풍(紫癜風)
|
혼합처방
|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
, 풍중장(風中臟)
|
혼합처방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신허(腎虛)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2]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조잡(嘈雜)
, 혈허현훈(血虛眩暈)
|
혼합처방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혼합처방
|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혼합처방
|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소갈(消渴)
|
혼합처방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혼합처방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
, 신허(腎虛)
, 혈소신로(血少神勞)
|
혼합처방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해혈(咳血)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혼합처방
|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
혼합처방
|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
산후대변비결(産後大便秘結)
|
혼합처방
|
자초고(紫草膏)[1] |
열독창개(熱毒瘡疥)
|
혼합처방
|
자초고(紫草膏)[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혼합처방
|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
혼합처방
|
자초음(紫草飮) |
두출불쾌(痘出不快)
|
단방처방
|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
혼합처방
|
자탕(紫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혼합처방
|
자하거(紫河車) |
전광(癲狂)
|
단방처방
|
자하거환(紫河車丸)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혼합처방
|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혼합처방
|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
혼합처방
|
자혈탕(滋血湯)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자황환(煮黃丸)[1] |
기실심통(氣實心痛)
|
혼합처방
|
자황환(煮黃丸)[2] |
음식내상(飮食內傷)
, 흉복자통(胸腹刺痛)
|
혼합처방
|
작(鵲)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단방처방
|
작맹산(雀盲散) |
간허작목(肝虛雀目)
|
혼합처방
|
작소(鵲巢) |
귀매(鬼魅)
, 전광(癲狂)
|
단방처방
|
작약(芍藥)[2] |
혈폐(血閉)
|
단방처방
|
작약(芍藥)[3] |
혈허복통(血虛腹痛)
|
단방처방
|
작약(芍藥)[4] |
산전후제병(産前後諸病)
, 혈허복통(血虛腹痛)
|
단방처방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1] |
복통(腹痛)
|
혼합처방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2] |
각련(脚攣)
, 번조(煩躁)
, 상한(傷寒)
, 오한(惡寒)
|
혼합처방
|
작약백피환(芍藥柏皮丸) |
농혈리(膿血痢)
|
혼합처방
|
작약산(芍藥散) |
풍한협통(風寒脇痛)
|
혼합처방
|
작약탕(芍藥湯)[1] |
농혈리(膿血痢)
|
혼합처방
|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
혼합처방
|
작약황련탕(芍藥黃連湯)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작옹(雀甕) |
경간(驚癎)
, 만경풍(慢驚風)
|
단방처방
|
작육(雀肉)[2] |
대하(帶下)
, 혈붕(血崩)
|
단방처방
|
잠견산(蠶繭散)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잠사(蠶沙) |
탄탄(癱瘓)
, 풍비(風痺)
|
단방처방
|
잠퇴지(蠶退紙)[1] |
대하(帶下)
, 붕루(崩漏)
|
단방처방
|
잠퇴지(蠶退紙)[2] |
광간(狂癎)
, 사수(邪祟)
|
단방처방
|
잠퇴지(蠶退紙)[3]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잠행산(潛行散) |
통풍(痛風)
|
단방처방
|
장달환(瘴疸丸) |
시행황병(時行黃病)
, 역려발황(疫癘發黃)
|
혼합처방
|
장미근(薔薇根) |
구설생창(口舌生瘡)
|
단방처방
|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
혼합처방
|
장수(漿水) |
면간(面䵟)
, 흑자(黑子)
|
단방처방
|
장수산(漿水散) |
폭설(暴泄)
|
혼합처방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혼합처방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혼합처방
|
장청(醬淸) |
수지철통(手指掣痛)
|
단방처방
|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재소산(再甦散) |
두창(痘瘡)
|
혼합처방
|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
혼합처방
|
저간(猪肝)[1] |
냉설(冷泄)
, 습설(濕泄)
|
단방처방
|
저간(猪肝)[2] |
간열목적종통(肝熱目赤腫痛)
|
단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