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사간(射干)[1] |
구취(口臭)
|
단방처방
|
사간(射干)[2] |
후폐(喉閉)
|
단방처방
|
사간산(瀉肝散) |
간열생예(肝熱生翳)
, 오풍혼암(烏風昏暗)
|
혼합처방
|
사간탕(射干湯)[1] |
풍한졸아(風寒卒牙)
, 후아실성(喉{아}失聲)
|
혼합처방
|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
혼합처방
|
사고(蛇膏) |
이롱(耳聾)
|
단방처방
|
사과(絲瓜)[1] |
충아통(蟲牙痛)
|
단방처방
|
사과(絲瓜)[2] |
식달(食疸)
, 주달(酒疸)
|
단방처방
|
사과산(絲瓜散)[1] |
오색리(五色痢)
, 주리(酒痢)
|
단방처방
|
사과산(絲瓜散)[2]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단방처방
|
사군자(使君子)[1] |
회궐심통(蛔厥心痛)
|
단방처방
|
사군자(使君子)[2] |
소아감충(小兒疳蟲)
, 촌백충병(寸白蟲病)
, 회충(蛔蟲)
|
단방처방
|
사군자탕(四君子湯) |
단기(短氣)
, 소기(少氣)
|
혼합처방
|
사군자환(使君子丸) |
냉감(冷疳)
|
혼합처방
|
사궁산(莎芎散)[1] |
육혈(衄血)
|
혼합처방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혼합처방
|
사농환(射膿丸)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사당설(砂糖屑) |
염창(臁瘡)
|
단방처방
|
사당원(砂糖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혼합처방
|
사령산(四令散) |
화설(火泄)
|
혼합처방
|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
혼합처방
|
사마탕(四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혼합처방
|
사마탕(四磨湯)[2] |
기천(氣喘)
|
혼합처방
|
사매(蛇莓) |
온역(瘟疫)
|
단방처방
|
사묘산(四妙散)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
혼합처방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혼합처방
|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
혼합처방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목적종통(目赤腫痛)
, 운예(雲翳)
|
혼합처방
|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
야간조열(夜間潮熱)
|
혼합처방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혼합처방
|
사물탕(四物湯) |
실혈(失血)
|
혼합처방
|
사물해기탕(四物解肌湯) |
두창발열(痘瘡發熱)
|
혼합처방
|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
구토(嘔吐)
|
혼합처방
|
사미수련환(四味茱連丸) |
탄산(呑酸)
|
혼합처방
|
사미탕(四味湯) |
산후혈훈(産後血暈)
|
혼합처방
|
사미회향산(四味茴香散) |
퇴산(㿉疝)
|
혼합처방
|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
혼합처방
|
사백산(瀉白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
혼합처방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혼합처방
|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
혼합처방
|
사백탕(瀉白湯) |
대장실열(大腸實熱)
, 제복통(臍腹痛)
|
혼합처방
|
사보단(四寶丹)[1]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사보단(四寶丹)[2]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사보단(四寶丹)[3]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사보단(四寶丹)[4]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
치통(齒痛)
|
혼합처방
|
사분산(四糞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사삼(沙蔘)[1] |
기면(嗜眠)
|
단방처방
|
사삼(沙蔘)[4] |
산통(疝痛)
|
단방처방
|
사상자(蛇床子)[1] |
음랭(陰冷)
, 음한(陰汗)
|
단방처방
|
사상자(蛇床子)[2] |
개선(疥癬)
|
단방처방
|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음식창(陰蝕瘡)
|
혼합처방
|
사생환(四生丸)[1]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사생환(四生丸)[2] |
담화(痰火)
, 적열(積熱)
|
혼합처방
|
사성산(四聖散)[1]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사성산(四聖散)[2] |
두출불쾌(痘出不快)
|
혼합처방
|
사성선정산(四聖旋疔散) |
정창(釘瘡)
|
혼합처방
|
사성환(四聖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
혼합처방
|
사수음(四獸飮) |
구학(久瘧)
|
혼합처방
|
사순(絲蓴)[3] |
역려발황(疫癘發黃)
|
단방처방
|
사순이중탕(四順理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혼합처방
|
사순이중환(四順理中丸)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혼합처방
|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혈열(血熱)
|
혼합처방
|
사습탕(瀉濕湯) |
습설(濕泄)
|
혼합처방
|
사신단(四神丹) |
양허(陽虛)
|
혼합처방
|
사신산(四神散) |
부인혈풍(婦人血風)
, 정두통(正頭痛)
|
혼합처방
|
사신탕(瀉腎湯) |
임(淋)
|
혼합처방
|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
혼합처방
|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
혼합처방
|
사신환(四神丸)[3] |
한산(寒疝)
|
혼합처방
|
사심탕(瀉心湯)[1] |
심열(心熱)
|
단방처방
|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
혼합처방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사역탕(四逆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혼합처방
|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
, 순창(脣瘡)
|
혼합처방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혼합처방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담연옹성(痰涎壅盛)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반위(反胃)
|
혼합처방
|
사장군음(四將軍飮) |
학질부궐(瘧疾腐厥)
|
혼합처방
|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
도한(盜汗)
|
혼합처방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혼합처방
|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
혼합처방
|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2] |
월경부조(月經不調)
|
단방처방
|
사주산(四柱散) |
한설(寒泄)
|
혼합처방
|
사즙고(四汁膏) |
열수(熱嗽)
|
혼합처방
|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
혼합처방
|
사청환(瀉靑丸)[2] |
급경풍(急驚風)
, 축닉(搐搦)
|
혼합처방
|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
혼합처방
|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
, 창만(脹滿)
|
혼합처방
|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
혼합처방
|
사치산(四齒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사칠탕(四七湯) |
매핵기(梅核氣)
, 칠기울결(七氣鬱結)
|
혼합처방
|
사태(蛇蛻)[1] |
장예(障翳)
|
단방처방
|
사태(蛇蛻)[2] |
긴순(緊脣)
, 중악(重顎)
|
단방처방
|
사태(蛇蛻)[3] |
전후풍(纏喉風)
, 후폐(喉閉)
|
단방처방
|
사태(蛇蛻)[4] |
역양풍(癧瘍風)
, 풍소양(風瘙痒)
|
단방처방
|
사태(蛇蛻)[5] |
학질(瘧疾)
|
단방처방
|
사태(蛇蛻)[6] |
역산(逆産)
|
단방처방
|
사태(蛇蛻)[7] |
경간(驚癎)
, 제창(諸瘡)
|
단방처방
|
사태피(蛇蛻皮)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혼합처방
|
사함초(蛇含草) |
금창(金瘡)
|
단방처방
|
사합탕(四合湯) |
기체복통(氣滯腹痛)
, 담음복통(痰飮腹痛)
|
혼합처방
|
사향(麝香)[2] |
전간(癲癎)
, 황홀(恍惚)
|
단방처방
|
사향(麝香)[3] |
기옹(氣壅)
, 이롱(耳聾)
|
단방처방
|
사향(麝香)[4] |
귀주(鬼疰)
, 심통(心痛)
|
단방처방
|
사향(麝香)[6] |
난산(難産)
|
단방처방
|
사향(麝香)[7] |
객오(客忤)
, 경간(驚癎)
|
단방처방
|
사향경분산(麝香輕粉散) |
천포창(天疱瘡)
|
혼합처방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혼합처방
|
사향산(麝香散)[1] |
육혈(衄血)
|
혼합처방
|
사향산(麝香散)[2] |
감닉(疳䘌)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