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사간(射干)[1] | 
구취(口臭)
 | 
단방처방
 | 
| 
사간(射干)[2] | 
후폐(喉閉)
 | 
단방처방
 | 
| 
사간산(瀉肝散) | 
간열생예(肝熱生翳)
, 오풍혼암(烏風昏暗)
 | 
혼합처방
 | 
| 
사간탕(射干湯)[1] | 
풍한졸아(風寒卒牙)
, 후아실성(喉{아}失聲)
 | 
혼합처방
 | 
|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 
혼합처방
 | 
| 
사고(蛇膏) | 
이롱(耳聾)
 | 
단방처방
 | 
| 
사과(絲瓜)[1] | 
충아통(蟲牙痛)
 | 
단방처방
 | 
| 
사과(絲瓜)[2] | 
식달(食疸)
, 주달(酒疸)
 | 
단방처방
 | 
| 
사과산(絲瓜散)[1] | 
오색리(五色痢)
, 주리(酒痢)
 | 
단방처방
 | 
| 
사과산(絲瓜散)[2]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단방처방
 | 
| 
사군자(使君子)[1] | 
회궐심통(蛔厥心痛)
 | 
단방처방
 | 
| 
사군자(使君子)[2] | 
소아감충(小兒疳蟲)
, 촌백충병(寸白蟲病)
, 회충(蛔蟲)
 | 
단방처방
 | 
| 
사군자탕(四君子湯) | 
단기(短氣)
, 소기(少氣)
 | 
혼합처방
 | 
| 
사군자환(使君子丸) | 
냉감(冷疳)
 | 
혼합처방
 | 
| 
사궁산(莎芎散)[1] | 
육혈(衄血)
 | 
혼합처방
 |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혼합처방
 | 
| 
사농환(射膿丸)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사당설(砂糖屑) | 
염창(臁瘡)
 | 
단방처방
 | 
| 
사당원(砂糖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혼합처방
 | 
| 
사령산(四令散) | 
화설(火泄)
 | 
혼합처방
 | 
|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 
혼합처방
 | 
| 
사마탕(四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혼합처방
 | 
| 
사마탕(四磨湯)[2] | 
기천(氣喘)
 | 
혼합처방
 | 
| 
사매(蛇莓) | 
온역(瘟疫)
 | 
단방처방
 | 
| 
사묘산(四妙散)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 
혼합처방
 |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혼합처방
 | 
|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 
혼합처방
 |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목적종통(目赤腫痛)
, 운예(雲翳)
 | 
혼합처방
 | 
|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 
야간조열(夜間潮熱)
 | 
혼합처방
 |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혼합처방
 | 
| 
사물탕(四物湯) | 
실혈(失血)
 | 
혼합처방
 | 
| 
사물해기탕(四物解肌湯) | 
두창발열(痘瘡發熱)
 | 
혼합처방
 | 
|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 
구토(嘔吐)
 | 
혼합처방
 | 
| 
사미수련환(四味茱連丸) | 
탄산(呑酸)
 | 
혼합처방
 | 
| 
사미탕(四味湯) | 
산후혈훈(産後血暈)
 | 
혼합처방
 | 
| 
사미회향산(四味茴香散) | 
퇴산(㿉疝)
 | 
혼합처방
 | 
|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 
혼합처방
 | 
| 
사백산(瀉白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 
혼합처방
 |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혼합처방
 | 
|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 
혼합처방
 | 
| 
사백탕(瀉白湯) | 
대장실열(大腸實熱)
, 제복통(臍腹痛)
 | 
혼합처방
 | 
| 
사보단(四寶丹)[1]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사보단(四寶丹)[2]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사보단(四寶丹)[3]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사보단(四寶丹)[4]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 
치통(齒痛)
 | 
혼합처방
 | 
| 
사분산(四糞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 
사삼(沙蔘)[1] | 
기면(嗜眠)
 | 
단방처방
 | 
| 
사삼(沙蔘)[4] | 
산통(疝痛)
 | 
단방처방
 | 
| 
사상자(蛇床子)[1] | 
음랭(陰冷)
, 음한(陰汗)
 | 
단방처방
 | 
| 
사상자(蛇床子)[2] | 
개선(疥癬)
 | 
단방처방
 | 
|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음식창(陰蝕瘡)
 | 
혼합처방
 | 
| 
사생환(四生丸)[1]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 
사생환(四生丸)[2] | 
담화(痰火)
, 적열(積熱)
 | 
혼합처방
 | 
| 
사성산(四聖散)[1]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 
사성산(四聖散)[2] | 
두출불쾌(痘出不快)
 | 
혼합처방
 | 
| 
사성선정산(四聖旋疔散) | 
정창(釘瘡)
 | 
혼합처방
 | 
| 
사성환(四聖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 
혼합처방
 | 
| 
사수음(四獸飮) | 
구학(久瘧)
 | 
혼합처방
 | 
| 
사순(絲蓴)[3] | 
역려발황(疫癘發黃)
 | 
단방처방
 | 
| 
사순이중탕(四順理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혼합처방
 | 
| 
사순이중환(四順理中丸)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혼합처방
 | 
|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혈열(血熱)
 | 
혼합처방
 | 
| 
사습탕(瀉濕湯) | 
습설(濕泄)
 | 
혼합처방
 | 
| 
사신단(四神丹) | 
양허(陽虛)
 | 
혼합처방
 | 
| 
사신산(四神散) | 
부인혈풍(婦人血風)
, 정두통(正頭痛)
 | 
혼합처방
 | 
| 
사신탕(瀉腎湯) | 
임(淋)
 | 
혼합처방
 | 
|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 
혼합처방
 | 
| 
사신환(四神丸)[2] | 
신설(腎泄)
 | 
혼합처방
 | 
| 
사신환(四神丸)[3] | 
한산(寒疝)
 | 
혼합처방
 | 
| 
사심탕(瀉心湯)[1] | 
심열(心熱)
 | 
단방처방
 | 
|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 
혼합처방
 |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혼합처방
 | 
|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사역탕(四逆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혼합처방
 | 
|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
, 순창(脣瘡)
 | 
혼합처방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혼합처방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담연옹성(痰涎壅盛)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반위(反胃)
 | 
혼합처방
 | 
| 
사장군음(四將軍飮) | 
학질부궐(瘧疾腐厥)
 | 
혼합처방
 | 
|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 
도한(盜汗)
 | 
혼합처방
 |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혼합처방
 | 
|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 
혼합처방
 | 
|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2] | 
월경부조(月經不調)
 | 
단방처방
 | 
| 
사주산(四柱散) | 
한설(寒泄)
 | 
혼합처방
 | 
| 
사즙고(四汁膏) | 
열수(熱嗽)
 | 
혼합처방
 | 
|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 
혼합처방
 | 
| 
사청환(瀉靑丸)[2] | 
급경풍(急驚風)
, 축닉(搐搦)
 | 
혼합처방
 | 
|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 
혼합처방
 | 
|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
, 창만(脹滿)
 | 
혼합처방
 | 
|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 
혼합처방
 | 
| 
사치산(四齒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 
사칠탕(四七湯) | 
매핵기(梅核氣)
, 칠기울결(七氣鬱結)
 | 
혼합처방
 | 
| 
사태(蛇蛻)[1] | 
장예(障翳)
 | 
단방처방
 | 
| 
사태(蛇蛻)[2] | 
긴순(緊脣)
, 중악(重顎)
 | 
단방처방
 | 
| 
사태(蛇蛻)[3] | 
전후풍(纏喉風)
, 후폐(喉閉)
 | 
단방처방
 | 
| 
사태(蛇蛻)[4] | 
역양풍(癧瘍風)
, 풍소양(風瘙痒)
 | 
단방처방
 | 
| 
사태(蛇蛻)[5] | 
학질(瘧疾)
 | 
단방처방
 | 
| 
사태(蛇蛻)[6] | 
역산(逆産)
 | 
단방처방
 | 
| 
사태(蛇蛻)[7] | 
경간(驚癎)
, 제창(諸瘡)
 | 
단방처방
 | 
| 
사태피(蛇蛻皮)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혼합처방
 | 
| 
사함초(蛇含草) | 
금창(金瘡)
 | 
단방처방
 | 
| 
사합탕(四合湯) | 
기체복통(氣滯腹痛)
, 담음복통(痰飮腹痛)
 | 
혼합처방
 | 
| 
사향(麝香)[2] | 
전간(癲癎)
, 황홀(恍惚)
 | 
단방처방
 | 
| 
사향(麝香)[3] | 
기옹(氣壅)
, 이롱(耳聾)
 | 
단방처방
 | 
| 
사향(麝香)[4] | 
귀주(鬼疰)
, 심통(心痛)
 | 
단방처방
 | 
| 
사향(麝香)[6] | 
난산(難産)
 | 
단방처방
 | 
| 
사향(麝香)[7] | 
객오(客忤)
, 경간(驚癎)
 | 
단방처방
 | 
| 
사향경분산(麝香輕粉散) | 
천포창(天疱瘡)
 | 
혼합처방
 |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혼합처방
 | 
| 
사향산(麝香散)[1] | 
육혈(衄血)
 | 
혼합처방
 | 
| 
사향산(麝香散)[2] | 
감닉(疳䘌)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