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박초(朴硝)[1] | 
월경불통(月經不通)
, 징가(癥瘕)
 | 
단방처방
 | 
| 
박초(朴硝)[2] | 
후비(喉痺)
 | 
단방처방
 | 
| 
박초(朴硝)[3] | 
사태불하(死胎不下)
 | 
단방처방
 | 
| 
박하(薄荷)[2] | 
두풍(頭風)
, 풍열두통(風熱頭痛)
 | 
단방처방
 | 
| 
박하(薄荷)[3] | 
농이(膿耳)
 | 
단방처방
 | 
| 
박하(薄荷)[4] | 
풍열(風熱)
 | 
단방처방
 | 
| 
박하(薄荷)[5] | 
중풍불어(中風不語)
 | 
단방처방
 | 
| 
박하(薄荷)[6] | 
상한음양독(傷寒陰陽毒)
 | 
단방처방
 | 
| 
박하(薄荷)[7] | 
골증(骨蒸)
 | 
단방처방
 | 
| 
박하(薄荷)[8] | 
경풍(驚風)
 | 
단방처방
 | 
|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 
박하밀(薄荷蜜) | 
설상생창(舌上生瘡)
 | 
혼합처방
 | 
| 
박하즙(薄荷汁) | 
심열(心熱)
 | 
단방처방
 | 
|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 
혼합처방
 | 
| 
반다산(礬茶散) | 
백물독(百物毒)
 | 
혼합처방
 | 
| 
반단환(礬丹丸)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 
반령환(半苓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혼합처방
 | 
| 
반룡단(斑龍丹)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 
반류환(半硫丸)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혼합처방
 | 
| 
반속산(半粟散) | 
소아토사(小兒吐瀉)
 | 
혼합처방
 | 
| 
반온반열탕(半溫半熱湯) | 
주달(酒疸)
 | 
혼합처방
 | 
| 
반천하수(半天河水)[1] | 
풍소양(風瘙痒)
 | 
단방처방
 | 
| 
반천하수(半天河水)[2] | 
전광(癲狂)
 | 
단방처방
 | 
| 
반초산(礬硝散) | 
여로달(女勞疸)
 | 
혼합처방
 | 
| 
반초환(半硝丸) | 
담음비통(痰飮臂痛)
 | 
혼합처방
 | 
|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 
혼합처방
 | 
| 
반하(半夏)[1] | 
한담(寒痰)
 | 
단방처방
 | 
| 
반하(半夏)[2] | 
담궐두통(痰厥頭痛)
, 두훈(頭暈)
, 목현(目眩)
 | 
단방처방
 | 
| 
반하(半夏)[3] | 
흉비통(胸痞痛)
 | 
단방처방
 | 
| 
반하(半夏)[4] | 
수발황락(鬚髮黃落)
 | 
단방처방
 | 
| 
반하(半夏)[5] | 
구얼(嘔呃)
, 구토(嘔吐)
, 반위(反胃)
 | 
단방처방
 | 
| 
반하(半夏)[6] | 
담수(痰嗽)
, 상기해수(上氣咳嗽)
 | 
단방처방
 | 
| 
반하(半夏)[7] | 
담학(痰馭)
 | 
단방처방
 | 
| 
반하건강산(半夏乾薑散) | 
건구(乾嘔)
, 오심(惡心)
 | 
혼합처방
 | 
| 
반하계감탕(半夏桂甘湯) | 
상한인통(傷寒咽痛)
 | 
혼합처방
 | 
| 
반하국(半夏麴) | 
노담(老痰)
, 담화(痰火)
, 습담(濕痰)
, 풍담(風痰)
 | 
단방처방
 | 
|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1] | 
담음비통(痰飮臂痛)
 | 
혼합처방
 | 
|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2] | 
비통(臂痛)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 
반하기출환(半夏枳朮丸) | 
식상(食傷)
 | 
혼합처방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혼합처방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1] | 
수결흉(水結胸)
 | 
혼합처방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오조(惡阻)
 | 
혼합처방
 | 
|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혼합처방
 | 
| 
반하산(半夏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반하생강탕(半夏生薑湯) | 
해역(咳逆)
 | 
혼합처방
 |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 
조잡(嘈雜)
, 희타담(喜唾痰)
 | 
혼합처방
 |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2] | 
한수(寒嗽)
 | 
혼합처방
 | 
|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 
각기(脚氣)
 | 
혼합처방
 | 
|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 
혼합처방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혼합처방
 | 
| 
반현환(斑玄丸) | 
징가(癥瘕)
 | 
혼합처방
 | 
|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 
혼합처방
 | 
| 
반혼추명재조산(返魂追命再造散)[1] | 
대풍창(大風瘡)
 | 
혼합처방
 | 
| 
반혼추명재조산(返魂追命再造散)[2] | 
대풍창(大風瘡)
 | 
단방처방
 | 
| 
발독산(拔毒散)[1] | 
단독(丹毒)
, 적유단독(赤遊丹毒)
 | 
혼합처방
 | 
| 
발독산(拔毒散)[2] | 
소아단독(小兒丹毒)
 | 
혼합처방
 | 
| 
발성산(發聲散)[1] | 
실음(失音)
 | 
혼합처방
 | 
| 
발성산(發聲散)[2] | 
후옹(喉癰)
 | 
혼합처방
 | 
| 
발운산(撥雲散) | 
예막차정(藝膜遮睛)
 | 
혼합처방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혼합처방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혼합처방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혼합처방
 | 
| 
발합(鵓鴿)[1] | 
역양풍(癧瘍風)
, 풍소양(風瘙痒)
 | 
단방처방
 | 
| 
발합(鵓鴿)[2] | 
창개(瘡疥)
 | 
단방처방
 | 
| 
발회산(髮灰散) | 
요혈(尿血)
 | 
단방처방
 | 
| 
발회환(髮灰丸) | 
요혈(尿血)
 | 
혼합처방
 | 
| 
방기(防己)[3]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단방처방
 | 
|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 | 
피수(皮水)
 | 
혼합처방
 | 
| 
방기초력환(防己椒藶丸) | 
수창(水脹)
 | 
혼합처방
 | 
| 
방기탕(防己湯) | 
자종(子腫)
 | 
혼합처방
 | 
|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 | 
풍습(風濕)
 | 
혼합처방
 | 
| 
방상산(蚌霜散)[1] | 
구혈(嘔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 
방상산(蚌霜散)[2] | 
상손실혈(傷損失血)
 | 
혼합처방
 | 
| 
방풍(防風)[1] | 
도한(盜汗)
 | 
단방처방
 | 
| 
방풍(防風)[2] | 
두면풍(頭面風)
, 풍현(風眩)
 | 
단방처방
 | 
| 
방풍(防風)[3] | 
풍한협통(風寒脇痛)
 | 
단방처방
 | 
| 
방풍(防風)[4] | 
사지구급(四肢拘急)
 | 
단방처방
 | 
| 
방풍(防風)[5] | 
중풍(中風)
 | 
단방처방
 | 
|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1] | 
파상풍(破傷風)
 | 
혼합처방
 | 
|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 
혼합처방
 | 
|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 
하초열(下焦熱)
 | 
혼합처방
 | 
| 
방풍백출모려탕(防風白朮牡蠣湯) | 
상한동기(傷寒動氣)
 | 
혼합처방
 | 
| 
방풍산(防風散)[1] | 
현훈(眩暈)
 | 
혼합처방
 | 
|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 
혼합처방
 | 
| 
방풍온담탕(防風溫膽湯) | 
급경풍(急驚風)
 | 
혼합처방
 | 
| 
방풍원(防風元) | 
만경풍(慢驚風)
 | 
혼합처방
 | 
| 
방풍작약탕(防風芍藥湯) | 
손설(飱泄)
 | 
혼합처방
 | 
|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 
방풍충화탕(防風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 
혼합처방
 | 
| 
방풍탕(防風湯)[1] | 
비연(鼻淵)
 | 
혼합처방
 | 
| 
방풍탕(防風湯)[2] | 
행비(行痺)
 | 
혼합처방
 | 
| 
방풍탕(防風湯)[3] | 
파상풍(破傷風)
 | 
혼합처방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혼합처방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혼합처방
 | 
| 
방합(蚌蛤)[2]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단방처방
 | 
| 
방합(蚌蛤)[3] | 
소갈(消渴)
 | 
단방처방
 | 
| 
방합분(蚌蛤粉)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단방처방
 | 
| 
방해(螃蟹) | 
취유(吹乳)
 | 
단방처방
 | 
| 
배풍탕(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 
혼합처방
 | 
| 
백강잠(白殭蠶)[1] | 
면간(面䵟)
 | 
단방처방
 | 
| 
백강잠(白殭蠶)[2] | 
급후폐(急喉閉)
 | 
단방처방
 | 
| 
백강잠(白殭蠶)[3] | 
객오(客忤)
, 제풍(臍風)
, 촬구(撮口)
 | 
단방처방
 | 
|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혼합처방
 | 
| 
백개자(白芥子) | 
흉격냉담(胸膈冷痰)
 | 
단방처방
 | 
| 
백개자산(白芥子散) | 
견비통(肩臂痛)
 | 
혼합처방
 | 
| 
백경구인(白頸蚯蚓)[1] | 
복시(伏尸)
 | 
단방처방
 | 
| 
백경구인(白頸蚯蚓)[2] | 
사가(蛇瘕)
 | 
단방처방
 | 
| 
백교향(白膠香) | 
염창(臁瘡)
 | 
단방처방
 | 
| 
백교향산(白膠香散) | 
내염창(內炎瘡)
, 외렴창(外廉瘡)
 | 
혼합처방
 | 
| 
백규화(白葵花) | 
해학(痎瘧)
 | 
단방처방
 | 
| 
백급(白芨)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단방처방
 | 
| 
백나복(白蘿蔔) | 
구리(久痢)
 | 
단방처방
 | 
| 
백납진(白鉛塵) | 
노채(勞瘵)
 | 
단방처방
 | 
| 
백두구(白豆蔲)[1] | 
기역(氣逆)
 | 
단방처방
 | 
| 
백두구(白豆蔲)[2] | 
비위허한(脾胃虛寒)
 | 
단방처방
 | 
| 
백두옹탕(白頭翁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백련산(柏連散) | 
면상열창(面上熱瘡)
, 악창(惡瘡)
 | 
혼합처방
 | 
| 
백렴산(白斂散) | 
동창(凍瘡)
 | 
혼합처방
 | 
| 
백렴원(白斂元) | 
백대(白帶)
 | 
혼합처방
 | 
|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 
혼합처방
 | 
| 
백룡산(白龍散)[1] | 
농이(膿耳)
 | 
혼합처방
 | 
| 
백룡산(白龍散)[2] | 
두창반란(痘瘡斑爛)
 | 
단방처방
 | 
| 
백룡환(白龍丸)[1] | 
주사비(酒齄鼻)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