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마골방(麻骨方) | 
마목(麻木)
 | 
혼합처방
 | 
| 
마광산(磨光散) | 
예장(翳障)
, 풍안(風眼)
 | 
혼합처방
 | 
| 
마근(麻根) | 
족위(足痿)
, 타박상(打撲傷)
 | 
단방처방
 | 
| 
마두고(麻豆膏)[1] | 
개선(疥癬)
 | 
혼합처방
 | 
| 
마두고(麻豆膏)[2] | 
개선(疥癬)
 | 
혼합처방
 | 
| 
마두골(馬頭骨) | 
기면(嗜眠)
 | 
단방처방
 | 
| 
마두령(馬兜鈴)[1] | 
폐허천급(肺虛喘急)
 | 
단방처방
 | 
| 
마두령(馬兜鈴)[2] | 
천촉(喘促)
, 해수(咳嗽)
 | 
단방처방
 | 
|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 
혼합처방
 | 
| 
마두령환(馬兜鈴丸) | 
구수(久嗽)
 | 
혼합처방
 | 
| 
마린근(馬藺根)[1] | 
후폐위급(喉閉危急)
 | 
단방처방
 | 
| 
마린근(馬藺根)[2] | 
치루(痔瘻)
 | 
단방처방
 | 
| 
마린자(馬藺子) | 
수리(水痢)
 | 
단방처방
 | 
|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
, 퇴산(㿉疝)
 | 
혼합처방
 | 
| 
마박아(馬剝兒)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단방처방
 | 
| 
마발(馬勃) | 
인후종통(咽喉腫痛)
, 후폐(喉閉)
 | 
단방처방
 | 
| 
마분(馬糞)[1] | 
수족종통(手足腫痛)
 | 
단방처방
 | 
| 
마분(馬糞)[2] | 
장창(杖瘡)
 | 
단방처방
 | 
| 
마비풍산(馬脾風散) | 
마비풍(馬脾風)
 | 
혼합처방
 | 
| 
마아초(馬牙硝)[1] | 
안적종통(眼赤腫痛)
, 예장(翳障)
, 유루(流淚)
 | 
단방처방
 | 
| 
마아초(馬牙硝)[2] | 
중설(重舌)
 | 
단방처방
 | 
| 
마야안(馬夜眼) | 
아주공(牙蛀孔)
, 풍치(風齒)
 | 
단방처방
 | 
| 
마예고(磨翳膏) | 
예막(翳膜)
 | 
혼합처방
 | 
| 
마인(麻仁)[1] | 
대변비결(大便秘結)
 | 
단방처방
 | 
| 
마인(麻仁)[2] | 
소갈(消渴)
 | 
단방처방
 | 
| 
마적원(磨積元)[1] | 
식적(息積)
 | 
혼합처방
 | 
| 
마적원(磨積元)[2] | 
다적(茶積)
 | 
혼합처방
 | 
| 
마치고(馬齒膏) | 
염창(臁瘡)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2]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소아혈리(小兒血痢)
, 적백리(赤白痢)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3] | 
번화창(飜花瘡)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4] | 
누창(瘻瘡)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5] | 
부인제하악창(婦人臍下惡瘡)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6] | 
산후혈리(産後血痢)
 | 
단방처방
 | 
| 
마치현(馬齒莧)[7] | 
감리(疳痢)
, 두창반흔(痘瘡瘢痕)
, 백독창(白禿瘡)
 | 
단방처방
 | 
| 
마통(馬通) | 
서병(暑病)
 | 
단방처방
 |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陰蝕瘡)
 | 
혼합처방
 | 
|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 
혼합처방
 | 
| 
마행의감탕(麻杏薏甘湯) | 
풍습신동(風濕身疼)
 | 
혼합처방
 | 
| 
마황(麻黃)[2] | 
풍한두통(風寒頭痛)
 | 
단방처방
 | 
| 
마황(麻黃)[4]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단방처방
 | 
| 
마황(麻黃)[5] | 
온학(溫瘧)
 | 
단방처방
 | 
| 
마황감초탕(麻黃甘草湯) | 
수종(水腫)
 | 
혼합처방
 | 
| 
마황강활탕(麻黃羌活湯) | 
무한(無汗)
, 태양학(太陽瘧)
 | 
혼합처방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 
혼합처방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3]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혼합처방
 | 
| 
마황근(麻黃根) | 
도한(盜汗)
, 자한(自汗)
 | 
단방처방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혼합처방
 | 
| 
마황부자감초탕(麻黃附子甘草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마황부자세신탕(麻黃附子細辛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혼합처방
 | 
| 
마황산(麻黃散)[1]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 
마황산(麻黃散)[2] | 
풍한천급(風寒喘急)
 | 
혼합처방
 | 
| 
마황순주탕(麻黃醇酒湯)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 
혼합처방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2] | 
구설(久泄)
 | 
혼합처방
 | 
| 
마황좌경탕(麻黃左經湯) | 
각기(脚氣)
 | 
혼합처방
 | 
|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 
혼합처방
 | 
| 
마황탕(麻黃湯)[1] | 
상한축혈증(傷寒蓄血證)
 | 
혼합처방
 | 
| 
마황탕(麻黃湯)[2] | 
두창도함(痘瘡倒陷)
, 두창흑함(痘瘡黑陷)
 | 
단방처방
 | 
|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 
상한표증(傷寒表證)
 | 
혼합처방
 | 
| 
마황황금탕(麻黃黃芩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 
혼합처방
 | 
| 
만금일취고(萬金一醉膏) | 
유옹(乳癰)
 | 
혼합처방
 | 
| 
만금탕(萬金湯) | 
사지불수(四肢不遂)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혼합처방
 | 
| 
만령산(萬靈散) | 
소변임력(小便淋瀝)
, 어혈복통(瘀血腹痛)
 | 
혼합처방
 | 
| 
만리어(鰻鱺魚)[1] | 
대하(帶下)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2] | 
전시노채(傳尸勞瘵)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3] | 
충심통(蟲心痛)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4] | 
역양풍(癧瘍風)
, 풍소양(風瘙痒)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5] | 
음식창(陰蝕瘡)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6] | 
누창(瘻瘡)
, 오치(五痔)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7] | 
골증(骨蒸)
 | 
단방처방
 | 
| 
만리어(鰻鱺魚)[8] | 
감창(疳瘡)
, 누창(瘻瘡)
 | 
단방처방
 | 
|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 
혼합처방
 | 
| 
만병사령산(萬病四苓散) | 
화설(火泄)
 | 
혼합처방
 | 
|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 
혼합처방
 | 
| 
만병원(萬病元) | 
고독(蠱毒)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전간(癲癎)
, 학질(瘧疾)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 
혼합처방
 | 
| 
만병해독원(萬病解毒元) | 
고독(蠱毒)
, 도생독(挑生毒)
 | 
혼합처방
 | 
| 
만병환(萬病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혼합처방
 | 
| 
만응고(萬應膏)[1] | 
열독종(熱毒腫)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혼합처방
 | 
|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 
혼합처방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혼합처방
 | 
|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 
혼합처방
 | 
| 
만전환(萬全丸) | 
구리(久痢)
, 활설(滑泄)
 | 
혼합처방
 | 
| 
만청(蔓菁) | 
유옹(乳癰)
 | 
단방처방
 | 
| 
만청자(蔓菁子)[3] | 
청맹(靑盲)
 | 
단방처방
 | 
| 
만청자(蔓菁子)[6] | 
심복창만(心腹脹滿)
 | 
단방처방
 | 
| 
만청자(蔓菁子)[7] | 
급황(急黃)
, 습열황달(濕熱黃疸)
 | 
단방처방
 | 
|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혼합처방
 | 
| 
만통환(萬痛丸) | 
월폐(月閉)
, 제복통(臍腹痛)
 | 
혼합처방
 | 
| 
만형산(蔓荊散) | 
근골절상(筋骨折傷)
, 타박상(打撲傷)
 | 
혼합처방
 | 
| 
만형자(蔓荊子) | 
뇌명(腦鳴)
, 태양두통(太陽頭痛)
, 풍한두통(風寒頭痛)
 | 
단방처방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혼합처방
 | 
| 
망우산(忘憂散) | 
자림(子淋)
 | 
단방처방
 | 
| 
망초(芒硝)[1] | 
월경불통(月經不通)
, 징가(癥瘕)
 | 
단방처방
 | 
| 
망초(芒硝)[2] | 
반진(斑疹)
 | 
단방처방
 | 
| 
망초저담즙법(芒硝猪膽汁法) | 
반창(斑瘡)
 | 
혼합처방
 | 
| 
망초탕(芒硝湯) | 
관격(關格)
 | 
혼합처방
 | 
| 
매화탕(梅花湯) | 
소갈(消渴)
 | 
혼합처방
 | 
| 
맥두산(麥斗散) | 
골절(骨折)
, 근단(筋斷)
 | 
혼합처방
 | 
| 
맥문동(麥門冬)[2] | 
폐기불리(肺氣不利)
, 폐열(肺熱)
 | 
단방처방
 | 
| 
맥문동(麥門冬)[3] | 
유즙불행(乳汁不行)
 | 
단방처방
 | 
| 
맥문동(麥門冬)[4]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단방처방
 | 
| 
맥문동(麥門冬)[5] | 
소갈(消渴)
 | 
단방처방
 | 
|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 
혼합처방
 | 
| 
맥문동탕(麥門冬湯)[1] | 
학질(瘧疾)
, 해역상기(咳逆上氣)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