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다(茶)[1] |
기면(嗜眠)
|
단방처방
|
다(茶)[3] |
심통(心痛)
|
단방처방
|
다(茶)[4] |
비만(肥滿)
|
단방처방
|
다(茶)[6] |
숙식(宿食)
|
단방처방
|
단간단(斷癎丹) |
전간(癲癎)
|
혼합처방
|
단대황고(單大黃膏) |
월폐(月閉)
|
혼합처방
|
단방기술(丹房奇術)[1] |
종창(腫脹)
|
혼합처방
|
단방기술(丹房奇術)[2] |
종창(腫脹)
|
단방처방
|
단삼고(丹蔘膏) |
유옹궤후불렴(乳癰潰後不斂)
|
혼합처방
|
단삼음자(團蔘飮子) |
기수(氣嗽)
, 노채(勞瘵)
, 폐위(肺痿)
|
혼합처방
|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
혼합처방
|
단웅계관혈(丹雄鷄冠血) |
백전풍(白癜風)
, 역양풍(癧瘍風)
|
단방처방
|
단육(貒肉)[1] |
폐기상역(肺氣上逆)
, 폐위(肺痿)
|
단방처방
|
단육(貒肉)[2] |
수병수사(水病垂死)
|
단방처방
|
단인삼탕(單人蔘湯) |
구천(久喘)
, 기허천급(氣虛喘急)
|
단방처방
|
단자청피탕(單煮靑皮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
단방처방
|
단창출환(單蒼朮丸) |
습열(濕熱)
|
단방처방
|
단학여성환(斷瘧如聖丸) |
학질(瘧疾)
|
혼합처방
|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달간(獺肝)[1]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단방처방
|
달간(獺肝)[2] |
귀주(鬼疰)
, 오시(五尸)
|
단방처방
|
달간(獺肝)[3]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달담(獺膽) |
안목혼암(眼目昏暗)
, 예장(翳障)
, 흑화비승(黑花飛蠅)
|
단방처방
|
달육(獺肉)[1] |
골증노열(骨蒸勞熱)
, 사지이수(四肢羸瘦)
|
단방처방
|
달육(獺肉)[2] |
온역(瘟疫)
|
단방처방
|
달조(獺爪) |
노채(勞瘵)
|
단방처방
|
담반(膽礬)[1] |
구창(口瘡)
|
단방처방
|
담반(膽礬)[2] |
아주공(牙蛀孔)
|
단방처방
|
담반산(膽礬散)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후비(喉痺)
|
혼합처방
|
담죽여탕(淡竹茹湯) |
허번(虛煩)
|
혼합처방
|
담채(淡菜) |
산후허리(産後虛羸)
, 아침통(兒枕痛)
|
단방처방
|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
혼합처방
|
당귀(當歸)[1] |
실혈(失血)
|
혼합처방
|
당귀(當歸)[2] |
붕루(崩漏)
, 월경부조(月經不調)
|
단방처방
|
당귀(當歸)[3] |
혈허두통(血虛頭痛)
|
단방처방
|
당귀(當歸)[4] |
한열왕래(寒熱往來)
, 허로(虛勞)
|
단방처방
|
당귀(當歸)[5] |
산후혈괴복통(産後血塊腹痛)
|
단방처방
|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
혼합처방
|
당귀고(當歸膏)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허손(虛損)
|
혼합처방
|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태동불안(胎動不安)
, 태루(胎漏)
|
혼합처방
|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
혼합처방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혼합처방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2] |
혈허발열(血虛發熱)
|
혼합처방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3] |
혈허발열(血虛發熱)
|
혼합처방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조잡(嘈雜)
|
혼합처방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1] |
한산(寒疝)
|
혼합처방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2]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
혼합처방
|
당귀산(當歸散)[1] |
부인요혈(婦人尿血)
|
혼합처방
|
당귀산(當歸散)[2] |
경단부행(經斷復行)
, 월경건기(月經愆期)
|
혼합처방
|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
혼합처방
|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상(打撲傷)
, 혈결흉(血結胸)
|
혼합처방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1] |
양광(陽狂)
|
혼합처방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
변혈(便血)
|
혼합처방
|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3] |
풍습소양(風濕瘙痒)
, 혈조조고(血燥爪枯)
|
혼합처방
|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혼합처방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혼합처방
|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
혼합처방
|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
혼합처방
|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
혼합처방
|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간실열(肝實熱)
, 협통(脇痛)
|
혼합처방
|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혼합처방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도한(盜汗)
, 음허화왕(陰虛火旺)
|
혼합처방
|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혼합처방
|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
혼합처방
|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혼합처방
|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
임신복통(妊娠腹痛)
, 임신설사(妊娠泄瀉)
|
혼합처방
|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
혼합처방
|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2] |
자리(子痢)
|
혼합처방
|
당귀주(當歸酒) |
창양음증(瘡瘍陰證)
|
혼합처방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1] |
기혈양허(氣血兩虛)
, 도한(盜汗)
|
혼합처방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
혼합처방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3] |
태동불안(胎動不安)
|
혼합처방
|
당귀탕(當歸湯) |
내장(內障)
|
혼합처방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당귀환(當歸丸) |
두창대변비결(痘瘡大便秘結)
|
혼합처방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기체(氣滯)
, 혈울(血鬱)
|
혼합처방
|
당귀황기음(當歸黃芪飮) |
산후음탈(産後陰脫)
|
혼합처방
|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
혼합처방
|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
혼합처방
|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
혼합처방
|
대건중탕(大建中湯) |
소복급통(小腹急痛)
, 허로(虛勞)
|
혼합처방
|
대경원(大驚元) |
급경풍(急驚風)
, 소아야제(小兒夜啼)
|
혼합처방
|
대계(大薊) |
붕루(崩漏)
, 적백대하(赤白帶下)
|
단방처방
|
대계음자(大薊飮子)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혼합처방
|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
, 염창(臁瘡)
|
혼합처방
|
대고양탕(大固陽湯) |
탈양(脫陽)
|
혼합처방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제복냉통(臍腹冷痛)
|
혼합처방
|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고냉(痼冷)
, 제복통(臍腹痛)
|
혼합처방
|
대구산(代灸散)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대궁황탕(大芎黃湯) |
자한(自汗)
, 파상풍(破傷風)
|
혼합처방
|
대귤피탕(大橘皮湯)[1] |
상한동기(傷寒動氣)
|
혼합처방
|
대귤피탕(大橘皮湯)[2] |
수종(水腫)
, 심복창만(心腹脹滿)
|
혼합처방
|
대극(大戟)[2] |
창만(脹滿)
|
단방처방
|
대금음자(對金飮子) |
식상(食傷)
, 주상(酒傷)
|
혼합처방
|
대금화환(大金花丸) |
삼초화(三焦火)
|
혼합처방
|
대나조환(大蘿皂丸) |
기천(氣喘)
, 담천(痰喘)
|
혼합처방
|
대녕산(大寧散) |
자리(子痢)
|
혼합처방
|
대단하환(大斷下丸) |
구리(久痢)
, 허리(虛痢)
|
혼합처방
|
대두감초탕(大豆甘草湯) |
음식창(陰蝕瘡)
, 하감창(下疳瘡)
|
혼합처방
|
대두얼산(大豆蘖散) |
주비(周痺)
|
단방처방
|
대료(大蓼) |
열갈(熱渴)
|
단방처방
|
대마근(大麻根) |
난산(難産)
|
단방처방
|
대마인(大麻仁)[1] |
열비(熱秘)
, 풍비(風秘)
, 혈비(血秘)
|
단방처방
|
대마인(大麻仁)[2] |
소장열(小腸熱)
, 위열(胃熱)
|
단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