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나마초(蘿摩草) | 
백전풍(白癜風)
 | 
단방처방
 | 
| 
나미(糯米)[1] | 
비병(脾病)
 | 
단방처방
 | 
| 
나미(糯米)[2] | 
설사(泄瀉)
 | 
단방처방
 | 
| 
나미(糯米)[3] | 
곽란번갈(霍亂煩渴)
 | 
단방처방
 | 
| 
나미(糯米)[4] | 
소갈(消渴)
 | 
단방처방
 | 
| 
나미고(糯米膏)[1] | 
발배(發背)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단방처방
 | 
| 
나미고(糯米膏)[2] | 
골절(骨折)
, 근단(筋斷)
, 타박상(打撲傷)
 | 
혼합처방
 | 
| 
나복(蘿蔔)[2] | 
편두통(偏頭痛)
 | 
단방처방
 | 
| 
나복(蘿蔔)[3] | 
주치(酒痔)
 | 
단방처방
 | 
| 
나복근(蘿蔔根) | 
장창(杖瘡)
 | 
단방처방
 | 
| 
나복자(蘿蔔子)[1] | 
식적담수(食積痰嗽)
 | 
단방처방
 | 
| 
나복자(蘿蔔子)[2] | 
창만(脹滿)
 | 
단방처방
 | 
| 
나복즙(蘿蔔汁)[1]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해혈(咳血)
, 혈담(血痰)
 | 
단방처방
 | 
| 
나복즙(蘿蔔汁)[2] | 
수곡불하(水穀不下)
, 후비(喉痺)
 | 
단방처방
 | 
|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 
혼합처방
 | 
| 
난발(亂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적백리(赤白痢)
 | 
단방처방
 | 
| 
난발회(亂髮灰)[1] | 
구규출혈(九竅出血)
, 변혈(便血)
, 요혈(尿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단방처방
 | 
| 
난발회(亂髮灰)[2] | 
소변불통(小便不通)
, 오림(五淋)
, 전포(轉胞)
 | 
단방처방
 | 
| 
난발회(亂髮灰)[3] | 
구취(口臭)
 | 
단방처방
 | 
| 
난발회(亂髮灰)[4] | 
음두창(陰頭瘡)
, 하감창(下疳瘡)
 | 
단방처방
 | 
| 
난발회(亂髮灰)[5] | 
열창(熱瘡)
 | 
단방처방
 | 
|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 
혼합처방
 | 
| 
남성고(南星膏)[1] | 
영류(瘿瘤)
 | 
단방처방
 | 
| 
남성고(南星膏)[2] | 
영류(瘿瘤)
 | 
혼합처방
 | 
| 
남성음(南星飮)[1] | 
비색(鼻塞)
 | 
혼합처방
 | 
| 
남성음(南星飮)[2] | 
만경풍(慢驚風)
 | 
혼합처방
 | 
| 
남엽(藍葉) | 
고독(蠱毒)
 | 
단방처방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혼합처방
 | 
| 
남엽즙(藍葉汁)[1] | 
단독(丹毒)
, 풍진(風疹)
 | 
단방처방
 | 
| 
남엽즙(藍葉汁)[2] | 
온역(瘟疫)
 | 
단방처방
 | 
| 
남엽즙(藍葉汁)[3] | 
금창혈민(金瘡血悶)
 | 
단방처방
 | 
| 
남엽즙(藍葉汁)[4] | 
감충(疳蟲)
, 단독(丹毒)
, 장열(壯熱)
 | 
단방처방
 | 
| 
남청즙(藍靑汁) | 
노채(勞瘵)
, 제충(諸蟲)
 | 
혼합처방
 | 
| 
남칠전원(藍漆煎元) | 
담수(痰嗽)
 | 
혼합처방
 | 
| 
납(蠟)[1] | 
농혈리(膿血痢)
 | 
단방처방
 | 
| 
납다음(臘茶飮) | 
적맥예(赤脈翳)
 | 
혼합처방
 | 
| 
납령원(蠟苓元) | 
백대(白帶)
, 백음(白淫)
, 백탁(白濁)
, 임력(淋瀝)
 | 
혼합처방
 | 
| 
납반원(蠟礬元)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혼합처방
 | 
| 
납반지(蠟礬紙) | 
내염창(內炎瘡)
 | 
혼합처방
 | 
| 
납반환(蠟礬丸) | 
나력(瘰癧)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납설수(臘雪水)[1] | 
주상(酒傷)
 | 
단방처방
 | 
| 
납설수(臘雪水)[2] | 
황달(黃疸)
 | 
단방처방
 | 
| 
납설수(臘雪水)[3] | 
천행온역(天行瘟疫)
 | 
단방처방
 | 
| 
납설수(臘雪水)[4] | 
소아간(小兒癎)
, 적유단독(赤遊丹毒)
 | 
단방처방
 | 
| 
납저지(臘猪脂)[1] | 
개선(疥癬)
 | 
단방처방
 | 
| 
납저지(臘猪脂)[2] | 
악창(惡瘡)
 | 
단방처방
 | 
| 
납전산(蠟煎散) | 
구천(久喘)
 | 
혼합처방
 | 
| 
납제고(納臍膏) | 
금구(噤口)
 | 
단방처방
 | 
| 
납향고(蠟享膏)[1] | 
동창(凍瘡)
 | 
혼합처방
 | 
| 
납향고(蠟享膏)[2] | 
동창(凍瘡)
 | 
혼합처방
 | 
| 
낭아(狼牙)[1] | 
장내일체충(腸內一切蟲)
, 촌백충병(寸白蟲病)
 | 
단방처방
 | 
| 
낭아(狼牙)[2] | 
음식창(陰蝕瘡)
 | 
단방처방
 | 
|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심옹(心癰)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내보환(內補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 
혼합처방
 | 
| 
내색산(內塞散) | 
감창(疳瘡)
, 누창(瘻瘡)
 | 
혼합처방
 | 
| 
내생기환(內生肌丸) | 
누창(瘻瘡)
 | 
혼합처방
 | 
|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
, 인사불성(人事不省)
 | 
혼합처방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혼합처방
 | 
|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 
혼합처방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
, 두옹(肚癰)
, 위완옹(胃脘癰)
 | 
혼합처방
 | 
| 
내소환(內消丸) | 
나력(瘰癧)
 | 
혼합처방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혼합처방
 | 
|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 
혼합처방
 | 
|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혼합처방
 | 
|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악창(惡瘡)
, 유옹(乳癰)
 | 
혼합처방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냉보환(冷補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이롱(耳聾)
 | 
혼합처방
 | 
| 
냉부탕(冷附湯) | 
학질(瘧疾)
 | 
단방처방
 | 
| 
노감석(爐甘石) | 
풍안유루(風眼流淚)
 | 
혼합처방
 | 
| 
노감석산(爐甘石散) | 
난현풍(爛弦風)
 | 
혼합처방
 | 
|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 
혼합처방
 | 
| 
노강음(露薑飮) | 
담학(痰馭)
 | 
단방처방
 | 
| 
노근(蘆根) | 
건구(乾嘔)
 | 
단방처방
 | 
| 
노봉방(露蜂房)[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적백리(赤白痢)
 | 
단방처방
 | 
| 
노봉방(露蜂房)[2] | 
치통(齒痛)
 | 
단방처방
 | 
| 
노봉방(露蜂房)[3]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혼합처방
 | 
| 
노봉방(露蜂房)[4] | 
장치(腸痔)
, 치루(痔瘻)
 | 
단방처방
 | 
| 
노봉방(露蜂房)[5]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소아적백리(小兒赤白痢)
 | 
단방처방
 | 
| 
노성고(露星膏) | 
척감(脊疳)
 | 
혼합처방
 | 
| 
노숙탕(露宿湯) | 
풍리(風痢)
 | 
혼합처방
 | 
| 
노우구중연(老牛口中涎)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단방처방
 | 
| 
노자시(鸕鶿屎)[2] | 
창만(脹滿)
 | 
단방처방
 | 
| 
노자시(鸕鶿屎)[3] | 
회감(蛔疳)
 | 
단방처방
 | 
|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 
혼합처방
 | 
|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 
혼합처방
 | 
| 
노화(蘆花) | 
곽란(霍亂)
, 기식위급(氣息危急)
 | 
단방처방
 | 
| 
노회고(爐灰膏)[1] | 
흑지(黑痣)
 | 
혼합처방
 | 
| 
노회고(爐灰膏)[2] | 
악창(惡瘡)
 | 
혼합처방
 | 
| 
노회고(爐灰膏)[3]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노회환(蘆薈丸) | 
척감(脊疳)
 | 
혼합처방
 | 
| 
녹각(鹿角)[2] | 
투유(妬乳)
 | 
단방처방
 | 
| 
녹각(鹿角)[3] | 
요척통(腰脊痛)
 | 
단방처방
 | 
| 
녹각(鹿角)[4] | 
귀교(鬼交)
 | 
단방처방
 | 
| 
녹각(鹿角)[5] | 
사태불하(死胎不下)
 | 
단방처방
 | 
| 
녹각교(鹿角膠)[1] | 
신기허손(腎氣虛損)
 | 
단방처방
 | 
| 
녹각교(鹿角膠)[2] | 
붕루(崩漏)
, 적백대하(赤白帶下)
 | 
혼합처방
 | 
| 
녹각교환(鹿角膠丸)[1] | 
소변적탁(小便赤濁)
 | 
혼합처방
 | 
| 
녹각교환(鹿角膠丸)[2] | 
족위(足痿)
 | 
혼합처방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혼합처방
 | 
| 
녹각산(鹿角散)[2] | 
옹저(癰疽)
 | 
단방처방
 | 
| 
녹각상환(鹿角霜丸) | 
고림(膏淋)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