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방명 | 
해당질병 | 
처방구분 | 
 
|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 
구창(口瘡)
, 구취(口臭)
, 아선(牙宣)
 | 
혼합처방
 | 
|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 
혼합처방
 |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혼합처방
 | 
|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음랭(陰冷)
, 음위(陰痿)
 | 
혼합처방
 | 
|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혼합처방
 | 
|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 
혼합처방
 | 
|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 
혼합처방
 |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혼합처방
 | 
| 
가감배풍탕(加減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 
혼합처방
 | 
| 
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 
혼합처방
 | 
|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고냉(痼冷)
, 제복냉통(臍腹冷痛)
 | 
혼합처방
 | 
|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 
혼합처방
 | 
|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 
혼합처방
 |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혼합처방
 |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숙식(宿食)
, 식상(食傷)
 | 
혼합처방
 | 
|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 
혼합처방
 | 
|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 
구토(嘔吐)
 | 
혼합처방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변혈(便血)
, 장풍(腸風)
 | 
혼합처방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 
혼합처방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 
혼합처방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천촉(喘促)
, 해수(咳嗽)
, 화천(火喘)
 | 
혼합처방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 
혼합처방
 | 
|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 
혼합처방
 | 
| 
가감삼요탕(加減三拗湯) | 
풍수(風嗽)
 | 
혼합처방
 | 
|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오심번열(五心煩熱)
, 화울(火鬱)
 | 
혼합처방
 | 
|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태양중풍(太陽中風)
, 풍중부(風中腑)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2] | 
태양중풍(太陽中風)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3] | 
양명중풍(陽明中風)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 
무한(無汗)
, 중풍(中風)
, 태음병(太陰病)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5] | 
소음중풍(少陰中風)
 | 
혼합처방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6] | 
소양중풍(少陽中風)
, 지절통(肢節痛)
 | 
혼합처방
 | 
| 
가감시령탕(加減柴苓湯) | 
근산(筋疝)
 | 
혼합처방
 | 
|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 
혼합처방
 | 
|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
, 육경열(六經熱)
 | 
혼합처방
 | 
|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혼합처방
 | 
|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 
혼합처방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 
혼합처방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 
혼합처방
 | 
| 
가감유령탕(加減薷苓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 
혼합처방
 |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혼합처방
 | 
|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 
혼합처방
 | 
|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 
혼합처방
 | 
|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 
혼합처방
 | 
|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 
혼합처방
 | 
|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 
혼합처방
 |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 
혼합처방
 | 
|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 
백음(白淫)
, 적백탁(赤白濁)
 | 
혼합처방
 | 
|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 
혼합처방
 |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 
혼합처방
 |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 
혼합처방
 | 
|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 
혼합처방
 | 
|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 
혼합처방
 | 
|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 
적백리(赤白痢)
, 혈리(血痢)
 | 
혼합처방
 |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개선(疥癬)
, 역양풍(癧瘍風)
, 자백전풍(紫白癜風)
 | 
혼합처방
 | 
|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 
혼합처방
 | 
|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 
혼합처방
 | 
|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 
혼합처방
 | 
|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혼합처방
 | 
| 
가려륵환(訶黎勒丸)[1] | 
휴식리(休息痢)
 | 
혼합처방
 | 
|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 
혼합처방
 | 
| 
가미강부탕(加味薑附湯) | 
습곽란(濕霍亂)
 | 
혼합처방
 | 
|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혼합처방
 | 
| 
가미강황환(加味殭黃丸) | 
노자온(鸕鶿瘟)
, 대두온(大頭瘟)
, 하마온(蝦蟆瘟)
 | 
혼합처방
 |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실음(失音)
, 어성중탁(語聲重濁)
 | 
혼합처방
 | 
|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 
대풍창(大風瘡)
 | 
혼합처방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치(痔)
 | 
혼합처방
 | 
|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 | 
교골불개(交骨不開)
, 난산(難産)
 | 
혼합처방
 |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비노울(肝脾怒鬱)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혼합처방
 | 
|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 
위열구토(胃熱嘔吐)
 | 
혼합처방
 | 
| 
가미금화환(加味金花丸) | 
삼초열(三焦熱)
 | 
혼합처방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혼합처방
 | 
| 
가미납반환(加味蠟礬丸) | 
감루(疳瘻)
 | 
혼합처방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혼합처방
 | 
|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기천(氣喘)
, 주수(酒嗽)
 | 
혼합처방
 | 
| 
가미백화고(加味百花膏) | 
구수(久嗽)
 | 
혼합처방
 | 
|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 
혼합처방
 | 
| 
가미복령탕(加味茯苓湯) | 
건망(健忘)
, 담미심규(痰迷心竅)
 | 
혼합처방
 | 
|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 
혼합처방
 | 
|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1] | 
허설(虛泄)
 | 
혼합처방
 | 
|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 
혼합처방
 | 
|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각슬산통(脚膝酸痛)
, 각슬위약(脚膝痿弱)
 | 
혼합처방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 
혼합처방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2] | 
경단부행(經斷復行)
, 붕루(崩漏)
 | 
혼합처방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혼합처방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후비(喉痺)
 | 
혼합처방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 
혼합처방
 | 
|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 
혼합처방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
, 매핵기(梅核氣)
 | 
혼합처방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2] | 
경계(驚悸)
 | 
혼합처방
 | 
|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 
혼합처방
 | 
| 
가미삼요탕(加味三拗湯) | 
한천(寒喘)
 | 
혼합처방
 |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혼합처방
 | 
| 
가미생맥산(加味生脈散) | 
화천(火喘)
 | 
혼합처방
 | 
|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구설생창(口舌生瘡)
, 두진(痘疹)
 | 
혼합처방
 | 
| 
가미선풍산(加味宣風散) | 
두창복창(痘瘡腹脹)
, 두창흑함(痘瘡黑陷)
 | 
혼합처방
 | 
| 
가미소건중탕(加味小建中湯) | 
심위통(心胃痛)
 | 
혼합처방
 | 
| 
가미소독음(加味消毒飮) | 
탑시종(搭顋腫)
 | 
혼합처방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수혈(嗽血)
, 타혈(唾血)
 | 
혼합처방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담수(痰嗽)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혈허(血虛)
 | 
혼합처방
 |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혼합처방
 | 
|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 
담미심규(痰迷心竅)
, 수족추철(手足抽掣)
 | 
혼합처방
 | 
|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 
혼합처방
 | 
|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 | 
장역(瘴疫)
 | 
혼합처방
 | 
|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수종(水腫)
, 신허부종(腎虛浮腫)
 | 
혼합처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