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처방: 백배환(百倍丸)

  처방구성
1 냥    
수치: 수자귀판(酥炙龜板)
귀판(龜板)에 수(酥)를 발라서 구움.
2 전    
1 냥    
수치: 주세(酒洗)
약물의 표면을 술로 씻는 방법으로, 약물이 은근히 주성(酒性)을 띠게 됨. 황금(黃芩), 황련(黃連), 지모(知母), 황백(黃柏) 등 고한약(苦寒藥)을 쓸 때 쓰임.
2 전    
수치: 하자연동(煆自然銅)
자연동 100kg : 초(醋) 2회 합쳐서 50kg
자연동(自然銅) 덩어리를 내화(耐火) 용기에 넣고 발갛고 투명하게 될 때까지 강한 불로 달군 다음 식초에 넣음. 꺼내서 다시 한번 광택이 없어질 때까지 강한 불로 달구고 식초에 집어넣어 재질(材質)을 푸석푸석하게 함. 햇볕에 말리고 찧어서 성긴 분말로 조제함. 산어지통(散瘀止痛) 작용이 강화되어 질타종통(跌打腫痛), 근골절상(筋骨折傷)에 씀.
수치: 초(炒)
목적 : 크게 청초법(淸炒法)과 가보료초법(可輔料炒法)으로 분류됨. 청초법에는 초황(炒黃), 초초(炒焦), 초탄(炒炭) 방법이 있음. 가보료초법에는 부초(麩炒), 미초(米炒), 토초(土炒), 사초(砂炒), 합분초(蛤粉炒), 활석분초(滑石粉炒) 방법이 있음.
5 전    
귀판(龜板) 1 냥, 목별자(木鼈子) 2 전, 몰약(沒藥) 2 전, 우슬(牛膝) 1 냥, 유향(乳香) 2 전, 육종용(肉蓯蓉) 5 전, 자연동(自然銅) 2 전, 파고지(破故紙) 1 냥, 호골(虎骨) 5 전
처방효능 : 보간신음(補肝腎陰), 산어지통(散瘀止痛)
제재법 : 말(末), 밀환(蜜丸), 오자대(梧子大)
용법 : 공복 30∼50환, 염탕 복용
참고 : 의학입문(醫學入門)  / 명(明)
  처방의 질병효능
신의 허쇠로 생긴 요통. 허리가 시큰거리며 무겁고 계속 아픔. 신양부족(腎陽不足)으로 생기면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피로하면 더욱 심해지고, 소변이 맑고, 아랫배가 조여드는 것 같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입맛이 없고, 손발이 차고, 맥이 침세(沈細)하고 무력(無力)함. 신음허(腎陰虛)면 소변이 황적색이고, 때로 허화(虛火)가 올라 얼굴이 벌겋고, 맥이 홍(洪)하고 무력함.
골절. 외상이나 뼈의 병변(종양, 골수염, 결핵 등)으로 생김. 국소에 어혈이 생겨 붓고 아프며 피부가 푸르스름함.
섬상(閃傷)과 좌상(挫傷)을 합한 것. 몸을 갑자기 비틀거나 삐어 근(筋)·건(腱)을 상한 것이 섬상이고, 타박으로 연조직을 손상한 것이 좌상임. 국소가 븟고 아프며, 피부에 멍이 들고, 누르면 몹시 아픔. 피부는 대체로 상하지 않으나, 심하면 섬유조직이 찢기거나 깊은 곳에 혈종이 생기고, 심지어 내장 장기손상이 있을 수 있음.
  동일효능처방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보신지통(補腎止痛)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1]  / 명목총이(明目聰耳), 보신자음(補腎滋陰)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보신지통(補腎止痛)
냉보환(冷補丸)  / 보신총이(補腎聰耳)
두충(杜仲)[2]  / 강장요척(强壯腰脊), 보간신음(補肝腎陰)
두충환(杜仲丸)  / 보신장요(補腎壯腰)
보수단(補髓丹)[1]  / 보신장요(補腎壯腰)
보신탕(補腎湯)  / 보신지통(補腎止痛)
소안신환(小安腎丸)  / 보신장요(補腎壯腰)
자석(磁石)[4]  / 보신장요(補腎壯腰)
장본단(壯本丹)  / 옹신장요(溫腎壯腰)
저신(猪腎)[2]  / 자신장요(滋腎壯腰)
청아원(靑娥元)  / 온신장요(溫腎壯腰)
보손당귀산(補損當歸散)  / 활혈산어(活血散瘀)
와거자(萵苣子)  / 산어활혈(散瘀活血)
진왕단(陣王丹)  / 활혈행어(活血行瘀)
인중백(人中白)  / 거어지통(祛瘀止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