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甘草) 1 전, 대황(大黃) 1 전, 망초(芒硝) 1 전, 박하(薄荷) 5 푼, 연교(連翹) 2 전, 치자(梔子) 5 푼, 황금(黃芩) 5 푼
처방효능 : 청심열사열독(淸心熱瀉熱毒)
제재법 : 청죽엽(靑竹葉)7, 밀(蜜), 수전지반(水煎至半), 입망초(入芒硝)
용법 : 청죽엽 7·꿀 조금과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망초를 넣어 먹음
참고 : 태평혜민화제국방(太平惠民和劑局方)
/ 송(宋)
구창(口瘡). 입안과 혀가 허는 것. 심맥(心脈)은 혀 위에 분포되므로 만약 심화(心火)가 위로 타오르면 입에 훈증하여 입과 혀에 부스럼이 생김. 비맥(脾脈)은 혀 밑에 분포하므로 비에 열이 있으면 담(痰)이 생겨 열과 담이 뭉쳐서 발생함. 구강내 점막에 담황색의 콩알 만한 헌데가 생겨 주위가 붉고 표면이 함몰되며 국부가 따갑고 아프며 통증이 반복됨, 식욕이 없고, 음식을 삼킬 수 없음.
사열(邪熱)이 오랫동안 체내에 머물러 있는 것. 항상 열이 뱃속에 있는 것을 스스로 느끼고, 갑자기 통증이 있다가 멎었다가 함.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탁독해표(托毒解表)
겸금산(兼金散)
/ 청심비열(淸心脾熱)
벽설(碧雪)
/ 청열해독(淸熱解毒)
붕사원(硼砂元)
/ 보비익신(補脾益腎), 청위사화(淸胃瀉火)
빈랑(檳榔)[4]
/ 사화청열(瀉火淸熱)
빙벽환(氷蘗丸)
/ 사화청심(瀉火淸心)
상청원(上淸元)[1]
/ 보비익신(補脾益腎), 사화청심(瀉火淸心)
세심산(洗心散)
/ 청심사화(淸心瀉火)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사화청심(瀉火淸心)
용석산(龍石散)
/ 청심해독(淸心解毒)
장미근(薔薇根)
/ 사화청심(瀉火淸心)
전라(田螺)[3]
/ 사화청심(瀉火淸心)
탁족법(濯足法)
/ 조습수렴(燥濕收斂)
포황(蒲黃)[3]
/ 활혈거어(活血祛瘀)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 사화청심(瀉火淸心)
황련(黃連)[7]
/ 청열조습(淸熱燥濕)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사화청심(瀉火淸心)
흑삼환(黑參丸)
/ 사화청심(瀉火淸心), 자음윤조(滋陰潤燥)
갈황환(葛黃丸)[2]
/ 설열해독(泄熱解毒)
묘향환(妙香丸)
/ 자음강화(滋陰降火)
사생환(四生丸)[2]
/ 거담설열(祛痰泄熱), 사화청열(瀉火淸熱)
자설(紫雪)
/ 청열사화(淸熱瀉火)
주증황련환(酒蒸黃連丸)[3]
/ 청설상처열(淸泄上焦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