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처방: 오매탕(烏梅湯)[1]

  처방구성
1 전    
수치: 자(炙)
약재에 액체 보료(輔料)를 넣고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볶아서 액체가 약재 안으로 흡수되도록 함. 비교적 낮은 온도로 가열하고 볶는 시간이 비교적 긺.
2 전    
2 개    
수치: 오매취육(烏梅取肉)
오매(烏梅)를 물에 조금 축여서 과육(果肉)을 부드럽게 하고 말려서 꾸덕해지면 과육을 취함. 또는 충분히 부드럽게 될 때까지 찌고 대바구니에서 문질러 핵을 빼고 과육을 햇볕에 말림.
1 전    
수치: 초치자(炒梔子)
치자(梔子) 생품(生品)은 고한(苦寒)한 성질이 강하여 쉽게 중기(中氣)를 손상시키고 구토를 일으킴. 그러나 초(炒)하면 이 부작용이 감소되고 청열제번(淸熱除煩)하여 간열목적(肝熱目赤)에 씀. 치자괴(梔子塊)를 초제(炒製)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심황색이 될 때까지 볶은 후 꺼내어 식힘.
1 전    
감초(甘草) 1 전, 시호(柴胡) 2 전, 오매(烏梅) 2 개 , 치자(梔子) 1 전, 황금(黃芩) 1 전
처방효능 : 자음강화(滋陰降火)
제재법 : 생강(生薑)3, 두시(豆豉), 수전(水煎)
용법 : 생강 3·두시, 달여 먹음
참고 : 남양활인서(南陽活人書)  / 송(宋)
  처방의 질병효능
상한 때 일어나는 허번증. 발한, 구토 등으로 정기(正氣)가 이미 허한 데에 사열(邪熱)이 속으로 들어가 가슴에 맺혀 일어남. 또, 상한이 나은 후에도 간혹 음양이 회복되지 않아서 생김. 땀이 나고 토한 후에 심번(心煩), 오심, 구토, 심중오뇌, 잠이 안 오는 증이 따름.
  동일효능처방
산조인탕(酸棗仁湯)[3]  / 청열제번(淸熱除煩)
치시감초탕(梔豉甘草湯)  / 자음강화(滋陰降火)
치시생강탕(梔豉生薑湯)  / 자음강화(滋陰降火)
치자시탕(梔子豉湯)  / 청열제번(淸熱除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