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甘草) 5 푼, 귤피(橘皮) 1 전, 길경(桔梗) 5 푼, 마황(麻黃) 5 푼, 반하(半夏) 2 전, 상백피(桑白皮) 5 푼, 자소엽(紫蘇葉) 5 푼, 자완(紫莞) 5 푼, 적복령(赤茯苓) 1 전, 패모(貝母) 5 푼, 행인(杏仁) 5 푼
처방효능 : 윤폐화담(潤肺化痰), 척담평천(滌痰平喘)
제재법 : 생강(生薑)3, 수전(水煎)
용법 : 생강 3, 달여 먹음
참고 : 고금의감(古今醫鑑)
/ 명(明)
효증(哮證)과 천증(喘證)이 합해 나타나는 병증. 화(火)가 역상(逆上)해 폐기(肺氣)의 숙강 작용이 장애되고 신원(腎元)이 모손(耗損)되어 신(腎)의 납기(納氣) 작용이 방해 받아 폐로 나와서 폐가 기충(氣衝)이 되어 스스로를 다스리지 못해 일어남. 효와 천은 인과 관계에 있으며, 효는 발작적인 숨가쁨과 목에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것이 주증이고, 천은 숨가쁨이 주증으로 호흡이 거칠어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이며 몸을 흔들고 심하면 배까지 들석임.
계자(鷄子)[6]
/ 화담선폐정천(化痰宣肺定喘)
두령환(兜鈴丸)
/ 활담선폐평천(豁痰宣肺平喘)
묘두골(猫頭骨)[1]
/ 윤폐화담정천(潤肺化痰定喘)
삼백환(三白丸)
/ 축담윤폐(逐痰潤肺)
오호이진탕(五虎二陳湯)
/ 척담용토(滌痰涌吐)
입정산(立定散)
/ 선강폐기(宣降肺氣), 척담평천(滌痰平喘)
자금단(紫金丹)[1]
/ 척담평천(滌痰平喘)
자금단(紫金丹)[2]
/ 척담정천(滌痰定喘)
저마근(苧麻根)
/ 이수정천(利水定喘)
정천탕(定喘湯)[2]
/ 염폐정천(斂肺定喘)
청금환(淸金丸)[3]
/ 선폐평천(宣肺平喘)
탈명단(奪命丹)[3]
/ 선강폐기(宣降肺氣), 척담평천(滌痰平喘)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0]
/ 사간청폐(瀉肝淸肺), 자음윤폐(滋陰潤肺)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1]
/ 선강폐기(宣降肺氣), 자음윤폐(滋陰潤肺)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
/ 선폐평천(宣肺平喘), 자음윤폐(滋陰潤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