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ulvis Fumi Carbonisatus seu Harbarium Ustrarum Fuligo |
약재의 효능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고(辛苦)
, 온(溫)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
방상산(蚌霜散)[1]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방상산(蚌霜散)[2] /
상손실혈(傷損失血)
|
|
백초상(白草霜)[1] /
실혈(失血)
|
|
백초상(白草霜)[5] /
비창(鼻瘡)
|
|
백초상(白草霜)[6] /
설종(舌腫)
|
|
백초상(白草霜)[7] /
심통(心痛)
|
|
백초상(百草霜)[2] /
혈붕(血崩)
|
|
백초상(百草霜)[3] /
폭설(暴泄)
|
|
백초상(百草霜)[4] /
구사(久瀉)
|
|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상염산(霜鹽散) /
설종(舌腫)
|
|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
, 적리(積痢)
|
|
소계산(小薊散) /
치뉵(齒衄)
|
|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오금산(烏金散)[1] /
난산(難産)
, 태건자사(胎乾子死)
|
|
오금산(烏金散)[2]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오회산(五灰散) /
실혈(失血)
, 혈붕(血崩)
|
|
인담진첩법(引痰眞捷法) /
후비(喉痺)
|
|
정생단(定生丹) /
반위(反胃)
|
|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최생산(催生散) /
난산(難産)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2]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흑룡단(黑龍丹)[1] /
난산(難産)
, 사태불하(死胎不下)
|
|
흑룡단(黑龍丹)[2] /
난산(難産)
, 태의불하(胎衣不下)
, 사태불하(死胎不下)
|
|
흑신산(黑神散)[1] /
토혈(吐血)
, 구혈(嘔血)
|
|
흑신산(黑神散)[2] /
역산(逆産)
, 난산(難産)
, 횡산(橫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