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chyranthis Radix |
약재의 효능 |
산어혈(散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옹종(消癰腫)
(옹저(癰疽) 및 종독(腫毒)을 없내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보간신(補肝腎)
(간(肝)과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
|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성미 |
감고산(甘苦酸)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주의사항 |
임신부는 신중하게 쓸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
|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각슬위약(脚膝痿弱)
, 각슬산통(脚膝酸痛)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
|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수종(水腫)
, 신허부종(腎虛浮腫)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족위(足痿)
|
|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
|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
노인소수단소(老人小水短少)
|
|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노손(勞損)
|
|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
|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이후각통(痢後脚痛)
, 학슬풍(鶴膝風)
|
|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난현풍(爛弦風)
|
|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허(心虛)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고장산(苦杖散) /
사림(沙淋)
, 석림(石淋)
|
|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
|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
|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적탁(赤濁)
, 허로(虛勞)
, 정충(怔忡)
, 유정(遺精)
|
|
귤피전원(橘皮煎元) /
구리(久痢)
, 비신구허(脾腎俱虛)
|
|
금박환(金箔丸) /
백음(白淫)
, 몽설(夢泄)
|
|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
|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녹각교환(鹿角膠丸)[2] /
족위(足痿)
|
|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근골위약(筋骨痿弱)
, 신연(身軟)
|
|
녹용환(鹿茸丸) /
소갈(消渴)
, 신허(腎虛)
|
|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鶴膝風)
|
|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
|
만금탕(萬金湯) /
허증(虛症)
, 사지불수(四肢不遂)
, 중풍(中風)
|
|
만병환(萬病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만통환(萬痛丸) /
제복통(臍腹痛)
, 월폐(月閉)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노인안혼(老人眼昏)
|
|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
|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오로(五勞)
, 허로(虛勞)
, 칠상(七傷)
|
|
백배환(百倍丸) /
절상(折傷)
, 신허요통(腎虛腰痛)
, 좌섬(挫閃)
|
|
백자인환(柏子仁丸) /
노심월폐(勞心月閉)
|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
|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
, 허로(虛勞)
|
|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
|
복령탕(茯苓湯)[2]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비화탕(備化湯) /
심복진창(心腹䐜脹)
, 혈일(血溢)
, 각련(脚攣)
, 온려(瘟癘)
|
|
빈소산(檳蘇散) /
각기(脚氣)
|
|
삼령원(蔘苓元) /
식역증(食㑊症)
|
|
삼묘환(三妙丸) /
하지마목(下肢麻木)
|
|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
, 풍비(風痺)
|
|
삼선탕(三仙湯) /
장역(瘴疫)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
|
생부탕(生附湯)[2] /
한습(寒濕)
, 상습(傷濕)
|
|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
|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수발조백(鬚髮早白)
|
|
오가피산(五加皮散)[2] /
행지(行遲)
|
|
오보원(五補元) /
허로(虛勞)
|
|
오수삼궤환(五獸三匱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 간신구허(肝腎俱虛)
|
|
온신산(溫腎散) /
요척통(腰脊痛)
, 명문화쇠(命門火衰)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용호단(龍虎丹) /
반신마목(半身麻木)
, 통풍(痛風)
|
|
우슬(牛膝)[1] /
경중통(莖中痛)
, 유뇨(遺尿)
|
|
우슬(牛膝)[2] /
요척통(腰脊痛)
|
|
우슬(牛膝)[5] /
각슬위약(脚膝痿弱)
, 각슬동통(脚膝疼痛)
|
|
우슬(牛膝)[6] /
수발조백(鬚髮早白)
|
|
우슬(牛膝)[7] /
음위(陰痿)
|
|
우슬(牛膝)[8] /
징가(癥瘕)
|
|
우슬(牛膝)[9] /
노학(老瘧)
|
|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소복통(小腹痛)
, 이롱(耳聾)
, 목적(目赤)
, 흉협고만(胸脇苦滿)
|
|
우슬탕(牛膝湯) /
포의불하(胞衣不下)
|
|
유백피탕(楡白皮湯) /
난산(難産)
, 포건불하(胞乾不下)
|
|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
|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저령탕(猪苓湯)[1] /
열결(熱結)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정순탕(靜順湯) /
두통(頭痛)
, 기울(氣鬱)
, 구토(嘔吐)
, 신열(身熱)
, 창양(瘡瘍)
|
|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
|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
|
종용우슬탕(蓯蓉牛膝湯) /
장명(腸鳴)
, 소복통(小腹痛)
, 당설(溏泄)
|
|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
|
진통산(趁痛散) /
통풍(痛風)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노상(勞傷)
, 허손(虛損)
|
|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
|
필효산(必效散)[1] /
임(淋)
|
|
해금사산(海金砂散)[2] /
오림(五淋)
|
|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
|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