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익생양술에서 "소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황송절(黃松節)/소나무 마디"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송절(松節)/소나무 마디"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송지(松脂)/송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송화(松花)/소나무 꽃가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황향(黃香)/송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명송지(明松脂)/송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역청(瀝靑)/송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적송피(赤松皮)/소나무 껍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송엽(松葉)/솔잎"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봄ㆍ가을ㆍ겨울
35m 정도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려 쓴다.
생지 양지 성미 따뜻하며, 쓰다.
분류 상록 침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전체 2~4g, 송진 1~2g, 솔잎 생즙 15~20g
약효 전체ㆍ송진 사용범위 많은 양은 독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동속약초 소나뭇과의 모든 종류
바늘 모양의 잎이 짧은 가지 위에 2개씩 뭉쳐나와 달리는데 길이 7~12cm, 나비 1.5mm이고 밑 부분이 잎집에 싸여 있다가 이듬해 가을에 잎집과 함께 떨어진다.
5월에 암수한그루로 핀다. 수꽃에 해당하는 작은 포자잎은 길이 1cm의 긴 타원형인데 황색의 수꽃이삭은 새 가지의 아래쪽에 붙는다. 암꽃에 해당하는 큰 포자잎은 길이 6mm의 달걀꼴인데 홍자색의 암꽃이삭은 새 가지의 끝에 달린다. 노란 꽃가루에 공기 주머니가 있어 멀리까지 날아가 퍼진다.
열매
이듬해 9월에 길이 4~5cm, 지름 3~4cm인 달걀꼴의 구과가 달려 황갈색으로 익는다. 이 열매를 솔방울 또는 송자(松子)라 한다. 솔방울이 익어 비늘 조각이 벌어지면 씨가 땅으로 떨어진다. 솔방울을 구성하고 있는 비늘 조각은 70~100개 정도이다. 씨는 길이 5~6mm, 나비 3mm의 달걀을 닮은 마름모꼴로서 검은 갈색을 띠는데 씨보다 3배나 크고 얇은 막질의 날개가 있으며 날개에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의 줄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솔ㆍ솔나무ㆍ소오리나무ㆍ송(松)ㆍ송목(松木)ㆍ송수(松樹)ㆍ적송(赤松)ㆍ육송(陸松) 등으로 부르며 송유송(松油松)ㆍ여송(女松)ㆍ자송(雌松)ㆍ청송(靑松) 등으로도 일컫는다. 높고 굵게 크는 나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은행나무 다음으로 큰 몸집을 가지는데 큰 것은 높이가 50m에 달한다. 또한 소나무는 은행나무 다음으로 오래 사는 나무로서 장수의 상징인 십장생의 하나로 삼았다. 이처럼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나무로 온 국민의 가슴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나무껍질은 대개 위쪽은 적갈색이고 아래는 흑갈색이며 비늘 모양을 하고 있는데 노목은 나무껍질이 두껍고 거북의 등딱지와 같은 모양으로 갈라진다. 우리나라의 소나무는 몇 가지 변종 및 품종이 있다. 밑에서 여러 대가 나오는 것을 반송(盤松), 줄기가 밋밋하게 자라는 것을 금강송(金剛松:강송ㆍ춘향송),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처진소나무, 곰솔과의 잡종을 중곰솔이라 한다. 이 곰솔을 해송(海松)이라 하는데 소나무는 해송과 자연 잡종을 잘 만든다. 그 잡종을 간흑송(間黑松)이라 하며 형질이 우량하다. 소나무의 겨울눈은 적갈색이어서 은백색을 띠는 해송과 구별된다. 공업용ㆍ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나무는 정원수로 심고 목재는 건축재ㆍ도구재ㆍ신탄재로 쓰이며, 나무껍질과 꽃가루는 식용하고, 잎은 약용 및 식용으로, 송진은 공업용ㆍ약용으로 쓴다. 소나무의 백피(白皮), 즉 속껍질은 구황 식량으로 한몫을 하였으며 뿌리껍질인 근백피(根白皮)도 식용하였다. 송화(松花)ㆍ송황(松黃)으로 불리는 꽃가루는 다식의 재료로 쓴다. 솔잎은 송모(松毛)라 하여 전통 음식인 송편을 만드는 데 써 왔으며 송죽(松粥)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또한 송진이 땅 속으로 들어가 천년이 지나면 호박(琥珀)으로 변한다고 하는데 호박은 장식재로서 가치가 높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햇순ㆍ잎ㆍ솔방울은 술을 담가 사용해도 좋다. 햇순으로 담근 술을 송순주(松筍酒), 잎으로 담근 술을 송엽주(松葉酒), 솔방울로 담근 술을 송실주(松實酒)라 하며 이 밖에 솔뿌리로 담근 술을 송하주(松下酒), 옹이로 빚은 술을 송절주(松節酒)라 한다.
익생양술 효능
황송절(黃松節) / 소나무 마디
라틴명 Pini Radix Obsitus Poriae
약재의 효능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영심(寧心)
작용부위 비(脾) , 심(心) , 폐(肺)
성미 감(甘) , 평(平)
약재사용처방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소복통(小腹痛)이롱(耳聾)목적(目赤)흉협고만(胸脇苦滿)
황송절(黃松節) /  편풍(偏風)구안와사(口眼喎斜)
송절(松節) / 소나무 마디
라틴명 Pini Lignum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서근(舒筋)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치근골간풍습(治筋骨間風濕)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苦) , 온(溫)
주의사항 혈조자(血燥者)는 쓰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송절(松節)[1] /  근골연급(筋骨攣急)
송절(松節)[2] /  각약(脚弱)
자연동산(自然銅散) /  타박상(打撲傷)근골절상(筋骨折傷)
송지(松脂) / 송진
라틴명 Terebinthinae Oleum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서근(舒筋)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치근골간풍습(治筋骨間風濕)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苦) , 온(溫)
주의사항 혈조자(血燥者)는 쓰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납향고(蠟享膏)[1] /  동창(凍瘡)
송지(松脂)[2] /  대지(代指)
송지(松脂)[3] /  누창(瘻瘡)감창(疳瘡)
송지첩산(松脂貼散) /  악창(惡瘡)
신첩고(神捷膏) /  내염창(內炎瘡)외렴창(外廉瘡)
운모고(雲母膏)[1] /  내저(內疽)골저(骨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치곡적방(治穀賊方) /  곡적(穀賊)
투이통(透耳筒) /  이명(耳鳴)졸롱(卒聾)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황납고(黃蠟膏)[3] /  제창(諸瘡)
송화(松花) / 소나무 꽃가루
라틴명 Pini Pollen
약재의 효능 익기(益氣)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수렴지혈(收斂止血)  (수삽(收澁)하는 약물로써 지혈(止血)하는 효능임)
윤심폐(潤心肺)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감(甘) , 온(溫)
주의사항 많이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송예단(松蘂丹) /  귀배(龜背)
황향(黃香) / 송진
라틴명 Pini Resina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윤심폐(潤心肺)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감(苦甘) , 온(溫)
약재사용처방 접골단(接骨丹) /  골절(骨折)
명송지(明松脂) / 송진
라틴명 Pini Resina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윤심폐(潤心肺)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감(苦甘) , 온(溫)
약재사용처방 납향고(蠟享膏)[2] /  동창(凍瘡)
역청(瀝靑) / 송진
라틴명 Pini Resina
약재의 효능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윤심폐(潤心肺)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감고(甘苦) , 온(溫)
약재사용처방 구고고(救苦膏) /  풍습산통(風濕痠痛)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취옥고(翠玉膏) /  염창(臁瘡)
적송피(赤松皮) / 소나무 껍질
라틴명 Pini Rubrum Cortex
약재의 효능 보오로(補五勞)  (오로(五勞)를 보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어(去瘀)  (어혈(瘀血)을 제거한다는 뜻임.)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성미 고(苦) , 온(溫)
약재사용처방 십회환(十灰丸) /  실혈(失血)
송엽(松葉) / 솔잎
라틴명 Pini Folium
약재의 효능 거풍조습(祛風燥濕)  (거풍법(祛風法)의 하나로 풍습(風濕)을 없애는 방법임.)
서근통락(舒筋通絡)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經絡)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생모발(生毛髮)  (몸에 털이 나게 하는 효능임)
벽천행온역(辟天行瘟疫)  (크게 유행하는 온역(瘟疫)을 피하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불기연년(不飢延年)
작용부위 비(脾) , 심(心)
성미 고(苦) , 온(溫)
약재사용처방 송엽(松葉)[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