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Hordei Fructus Germinatus |
약재의 효능 |
건비개위(健脾開胃)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행기소식(行氣消食)
(기(氣)를 소통시키고 식사한 것을 소화시켜주는 효능임)
|
|
퇴유소창(退乳消脹)
(젖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하고 정체되어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
|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
|
낙태(落胎)
(낙태(落胎) 시키는 효능임)
|
|
건비화적(健脾化積)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적(積)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su, H., Oriental Materia Medica, A Concise Guide. Long Beach; Oriental Healing Arts, 1986.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
|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
|
계비원(啓脾元) /
비위불화(脾胃不和)
, 불능식(不能食)
|
|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
|
국얼기출환(麴蘖枳朮丸) /
식상(食傷)
|
|
국얼원(麴蘖元) /
주벽(酒癖)
|
|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내소산(來甦散) /
인사불성(人事不省)
, 난산(難産)
|
|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적취(積聚)
, 탄산(呑酸)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식적복통(食積腹痛)
, 기체복통(氣滯腹痛)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백출복령탕(白朮茯苓湯) /
식비(食痺)
|
|
별갑환(鱉甲丸) /
해학(痎瘧)
, 학모(瘧母)
|
|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
|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보화환(保和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보화환(保和丸)[3]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
|
비아환(肥兒丸) /
감질(疳疾)
|
|
사보단(四寶丹)[1] /
달벽(疸癖)
, 황달(黃疸)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삼릉전(三稜煎)[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기괴(氣塊)
, 혈가(血瘕)
|
|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방광병(膀胱病)
, 한산(寒疝)
|
|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위단(生胃丹) /
불사식(不思食)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허비(虛痞)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
, 탄산(呑酸)
|
|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
|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식환(消食丸) /
유적(乳積)
, 숙식(宿食)
, 식적(食積)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痰飮)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아위환(阿魏丸)[1] /
식적(食積)
, 육적(肉積)
|
|
양비환(養脾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식상(食傷)
|
|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
|
오감소식원(五疳消食元) /
오감(五疳)
|
|
오매모과탕(烏梅木瓜湯) /
주갈(酒渴)
|
|
오백환(烏白丸) /
주적(酒積)
|
|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
|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
|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
, 해학(痎瘧)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제고보명단(諸蠱保命丹) /
지주고창(蜘蛛蠱脹)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
|
치황달애끽잡물일방(治黃疸愛喫雜物一方) /
담벽(痰癖)
|
|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
|
침사환(鍼砂丸) /
곡달(穀疸)
, 주달(酒疸)
|
|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복창(腹脹)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
|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
|
후박전(厚朴煎) /
하혈(下血)
, 변혈(便血)
|
|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