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Zizyphi Spinosae Semen |
약재의 효능 |
영심(寧心)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성비(醒脾)
(비기(脾氣)가 허한(虛寒)하여 운화기능이 무력해진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보간담(補肝膽)
(간(肝)과 담(膽)을 보하는 효능임)
|
|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조양기(助陽氣)
(양기(陽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
|
진정최면(鎭靜催眠)
(정신을 안정시키고 잠이 잘 들게 하는 효능임)
|
|
영심염한(寧心斂汗)
(심(心)을 편하게 하여 땀이 저절로 나는 것이나, 식은땀을 흘리는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심(心)
|
성미 |
감산(甘酸)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간담실열자(肝膽實熱者)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LD50 in mice was 13.3 g/kg (I.p.).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
|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비노울(肝脾怒鬱)
, 월경불통(月經不通)
|
|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황홀(恍惚)
, 경계(驚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심허담겁(心虛膽怯)
, 허번불수(虛煩不睡)
|
|
고침무우산(高枕無憂散) /
허번불수(虛煩不睡)
|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귀비탕(歸脾湯)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귀신단(歸神丹) /
전간(癲癎)
, 경계(驚悸)
, 건망(健忘)
|
|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
, 중기하함(中氣下陷)
|
|
금련환(金蓮丸) /
소변적탁(小便赤濁)
|
|
대경원(大驚元) /
소아야제(小兒夜啼)
, 급경풍(急驚風)
|
|
독활탕(獨活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
|
반하탕(半夏湯) /
담열(膽熱)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2] /
심한(心汗)
|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
산조인(酸棗仁)[1] /
불매(不寐)
, 다수(多睡)
|
|
산조인(酸棗仁)[2] /
도한(盜汗)
|
|
산조인(酸棗仁)[4] /
근맥구련(筋脈拘攣)
|
|
산조인탕(酸棗仁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산조인탕(酸棗仁湯)[2] /
다수(多睡)
, 불매(不寐)
|
|
산조인탕(酸棗仁湯)[3]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삼기탕(蔘芪湯)[1] /
자한(自汗)
|
|
승명탕(升明湯) /
해역(咳逆)
, 열울(熱鬱)
, 혈일두통(血溢頭痛)
|
|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안신환(安神丸) /
경광(驚狂)
, 전간(癲癎)
|
|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
, 경계(驚悸)
|
|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
|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전광(癲狂)
|
|
영신고(寧神膏)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
|
영지고(寧志膏)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
|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
|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
|
원지환(遠志丸) /
대경불어(大驚不語)
|
|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
, 전간(癲癎)
|
|
의이환(薏苡丸) /
수연(手軟)
|
|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
|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경계(驚悸)
, 다몽(多夢)
|
|
익영탕(益榮湯) /
정충(怔忡)
, 황홀(恍惚)
|
|
인삼산(人蔘散)[2] /
주상(酒傷)
|
|
인삼죽력음(人蔘竹瀝飮) /
허학(虛瘧)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
|
진사산(辰砂散) /
전광(癲狂)
|
|
진사영지환(辰砂寧志丸) /
전광(癲狂)
, 경계(驚悸)
|
|
진주모환(眞珠母丸)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
|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음허화동(陰虛火動)
, 후옹(喉癰)
|
|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경계(驚悸)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호박서각고(琥珀犀角膏) /
구설생창(口舌生瘡)
|
|
황기복신탕(黃芪茯神湯) /
울모(鬱冒)
, 심통(心痛)
, 폭음(暴音)
|
|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황련청심음(黃連淸心飮) /
설정(泄精)
, 유정(遺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