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ribuli Fructus |
약재의 효능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
|
지번(止煩)
(번조(煩躁)를 그치게 효능임)
|
|
승습(勝濕)
(습사(濕邪)를 물리치는 효능임)
|
|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
|
소간기(疏肝氣)
|
|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고신(苦辛)
, 온(溫)
|
주의사항 |
자질려(刺蒺藜)의 가시를 없앤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
강국산(羌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수명(羞明)
|
|
검실환(芡實丸) /
몽설(夢泄)
|
|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고치산(固齒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안목혼암(眼目昏暗)
, 영풍유루(迎風流淚)
|
|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국화산(菊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참통(磣痛)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
, 면창(面瘡)
|
|
대마풍환(大麻風丸) /
대마풍(大麻風)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마광산(磨光散) /
예장(翳障)
, 풍안(風眼)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
, 유루(流淚)
|
|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예막차정(藝膜遮睛)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
백미원(白薇元) /
누정(漏睛)
|
|
백질려(白蒺藜) /
감식창(疳蝕瘡)
, 아치감닉창(牙齒疳䘌瘡)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봉와산(蜂窩散) /
풍치(風齒)
, 아주공(牙蛀孔)
|
|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
|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음식창(陰蝕瘡)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
|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
, 유루(流淚)
, 안목적종(眼目赤腫)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예막(翳膜)
|
|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
|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정창(釘瘡)
, 악창(惡瘡)
|
|
지황산(地黃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적예(赤翳)
, 백막차정(白膜遮睛)
|
|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
|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차전산(車前散) /
혈관동인(血灌瞳仁)
, 예장(翳障)
|
|
창출산(蒼朮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취선산(醉仙散) /
대풍창(大風瘡)
|
|
통간산(通肝散) /
빙예(氷翳)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
, 산예(散翳)
|
|
호마산(胡麻散)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자백전풍(紫白癜風)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
|
황기환(黃芪丸) /
이명(耳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