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에서 "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모려(牡蠣)/굴 껍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모려육(牡蠣肉)/굴"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채취기간 수시
2~20cm 취급요령 말려서 쓴다.
생지 해안 성미 따뜻하며, 짜다.
분류 연체동물 이매패류 독성여부 없다.
번식 산란 1회사용량 5~15g
약효 껍데기 사용범위 해롭지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난원형, 타원형 등 여러 형태이며 굴곡진 표면은 파문상으로 청, 회, 자색 등의 색채가 있다. 내면은 흰색 광택이 있고 2개의 패곡이 맞물려 붙여 있다. 살은 모려육(牡蠣肉)이라 하여 식용으로 쓰고 껍데기는 깨끗이 닦아 말려 약용으로 쓴다. 필요시 분쇄하여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모려(牡蠣) / 굴 껍질
라틴명 Ostreae Concha
약재의 효능 염음(斂陰)  (음기(陰氣)를 수렴하는 치료법임.)
잠양(潛陽)  (음허(陰虛)로 인한 간양상항(肝陽上亢)을 치료하는 방법.)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염한(斂汗)  (표(表)가 허(虛)해서 저절로 땀이 나고 식은 땀이 나는 것을 약으로 수렴(收斂)시키는 방법임.)
해갈(解渴)  (갈증(渴症)을 풀어주는 효능임)
소비(消痞)  (치법의 하나. 비적(痞積), 비만(痞滿)을 치료하는 방법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자수(滋水)  (신체에 수기(水氣)를 더하는 효능임)
중진안신(重鎭安神)
연견산결(軟堅散結)  (탁담(濁痰), 어혈(瘀血) 등으로 인해 응어리가 형성된 것을 풀어주는 방법임.)
이수고장(利水固腸)  (소변(小便)을 잘 나가게 하고 장(腸)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살귀사(殺鬼邪)
작용부위 간(肝) , 담(膽) , 신(腎)
성미 양(凉) , 함(鹹)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허증유한(虛證有寒), 신허무화(腎虛無火)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계장산(鷄腸散) /  소아유뇨(小兒遺尿)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  실정(失精)탈정(脫精)정활(精滑)
고정환(固精丸) /  탈정(脫精)정설(精泄)신허(腎虛)
기제환(旣濟丸)[1] /  방광허한(膀胱虛寒)소변불금(小便不禁)
기제환(旣濟丸)[2]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대단하환(大斷下丸) /  허리(虛痢)구리(久痢)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
모려(牡蠣)[1] /  귀교설정(鬼交泄精)정활(精滑)
모려(牡蠣)[3] /  붕루(崩漏)적백대하(赤白帶下)
모려(牡蠣)[6] /  허로(虛勞)허손(虛損)
모려대황탕(牡蠣大黃湯) /  변옹(便癰)
모려분(牡蠣粉)[1] /  도한(盜汗)
모려분(牡蠣粉)[3] /  소변활삭(小便滑數)
모려분(牡蠣粉)[4] /  유뇨(遺尿)
모려산(牡蠣散)[1] /  자한(自汗)
모려산(牡蠣散)[2] /  도한(盜汗)
모려산(牡蠣散)[3] /  도한(盜汗)
모반단(牡礬丹) /  음식창(陰蝕瘡)수산(水疝)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문합산(蚊蛤散)[1] /  설뉵(舌衄)
방풍백출모려탕(防風白朮牡蠣湯) /  상한동기(傷寒動氣)
백룡환(白龍丸)[2] /  정활(精滑)신허(腎虛)백음(白淫)
백출산(白朮散)[1] /  누풍(漏風)
보궁환(補宮丸) /  백대(白帶)백음(白淫)
보정탕(保精湯) /  몽설(夢泄)음허화동(陰虛火動)
비정원(秘精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빙상산(氷霜散) /  탕화상(燙火傷)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  도한(盜汗)
삼기탕(蔘芪湯)[1] /  자한(自汗)
상표소산(桑螵蛸散)[2] /  유뇨(遺尿)산후임력(産後淋瀝)
색루공방(塞漏孔方)[2] /  치루(痔瘻)
소독환(消毒丸) /  대두온(大頭瘟)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  소양학(少陽瘧)
신기산(神奇散)[2] /  변옹(便癰)
용향원(茸香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소갈(消渴)신소(腎消)
육종용환(肉蓯蓉丸) /  백음(白淫)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조양산(助陽散) /  음랭(陰冷)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촌금정자(寸金錠子) /  치루(痔瘻)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혈갈산(血竭散)[2] /  치루(痔瘻)
홍분(紅粉) /  자한(自汗)
화기조경탕(化氣調經湯) /  나력(瘰癧)
회생신고(回生神膏)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흑령산(黑靈散) /  누창(瘻瘡)
모려육(牡蠣肉) / 굴
라틴명 Ostreae Caro
약재의 효능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해단독(解丹毒)  (지장복(地漿服), 최묘(最妙).)
제주후번열(除酒後煩熱)  (술을 마신 후의 번열(煩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열색(悅色)  (피부의 색깔을 윤택하고 생기있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감함(甘鹹) , 평(平)
약재사용처방 모려(牡蠣)[5] /  주후번열(酒後煩熱)
모려육(牡蠣肉) /  주갈(酒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