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박나무

 익생양술에서 "후박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후박(厚朴)/후박"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남부 지방, 울릉도 채취기간 초여름(하지 이전)
20m 정도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바닷가 근처, 산기슭 성미 따뜻하며, 맵고 쓰다.
분류 상록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씨 1회사용량 잎ㆍ나무껍질 30g, 열매 20g
약효 나무껍질ㆍ잎ㆍ열매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넓은잎후박나무ㆍ요엽후박나무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난 것처럼 보이며 길이 7~15cm, 나비 3~7cm의 거꿀달걀꼴을 닮은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몸은 가죽질로 두꺼우며 윤기가 나고 깃 모양의 맥이 있다.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양면에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잎자루는 길이 2~3cm이고 굵은 편이다.
5∼6월에 새잎이 나올 때 황록색 꽃이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인데 3개씩 2줄로 달리고 안쪽에 갈색 털이 있다. 수술은 12개이며 3개씩 4줄로 배열되는데 안쪽의 3개는 꽃밥이 없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
8∼10월에 지름 약 14mm인 둥근 장과가 달려 이듬해 7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열매자루는 붉은빛이다.
특징 및 사용
나무껍질은 회색빛을 띤 황색이며 비늘처럼 떨어진다. 어린 가지는 녹색인데 붉은빛이 돌며 뒤에 타원 모양의 껍질눈이 생긴다. 일본에서는 일본목련을 후박이라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 일본목련을 들여올 때 후박이란 이름을 그대로 들여와 우리나라의 후박과 뒤섞이게 되어 일본목련이 후박으로 잘못 알려지게 되었다. 유사종으로 잎의 모양이 넓은 거꿀달걀꼴인 것을 왕후박나무라 한다. 후박나무의 잎은 오래 씹으면 찐득찐득해지는데 잎에 독성이 있어 곤충이 모여들지 않는다. 관상용ㆍ공업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목재는 가구재ㆍ선박재로 쓴다. 나무껍질은 염료 및 약재로 사용한다. 나무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물을 붓고 반죽을 하면 찐득찐득하게 점성이 강해지므로 선향(線香 : 가늘고 긴 선 모양의 향)의 결합제로도 쓰인다. 나무껍질을 후박피(厚朴皮)라 하며 약재로 사용하는데 20년 이상 된 나뭇가지의 껍질을 채취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후박(厚朴) / 후박
라틴명 Magnoliae Cortex
약재의 효능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파결(破結)  (정체되어 쌓인 것을 깨뜨려 흩어주는 효능임)
소창(消脹)  (창만(脹滿)을 없애는 효능임)
지해평천(止咳平喘)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난위(暖胃)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부르며 성질이 따뜻하거나 더운 약으로 위한증(胃寒證)을 치료하는 치법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익기(益氣)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조관절(調關節)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거사기(去死肌)  (죽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고신(苦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중국약전
주의사항 줄기 및 가지의 껍질
독성 Overdosage can cause respiratory paralysis. The LD50 in mice is 6.12 +/- 0.04 g/kg (I.p.) and 4.25 +/- 1.5 g/kg (I.v.) in cats.1). Not to be used pregnancy 2).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숙식(宿食)식상(食傷)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  혈리(血痢)적백리(赤白痢)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매핵기(梅核氣)기담(氣痰)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2] /  경계(驚悸)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리(濕痢)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한습(寒濕)
계령산(桂靈散) /  심복통(心腹痛)
계비원(啓脾元) /  불능식(不能食)비위불화(脾胃不和)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 /  냉심통(冷心痛)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상한음증(傷寒陰證)두통(頭痛)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구토(嘔吐)비위허약(脾胃虛弱)
관중환(貫衆丸) /  구충병(九蟲病)삼시충(三尸蟲)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복창(腹脹)
괴화산(槐花散)[1] /  하혈(下血)변혈(便血)
교가산(交加散)[1] /  상한(傷寒)감모(感冒)
교해음(交解飮) /  한학(寒瘧)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구미평위환(狗米平胃丸) /  반위(反胃)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  열식(噎食)반위(反胃)
구학탕(驅瘧湯) /  구학(久瘧)해학(痎瘧)
궁지산(芎芷散) /  풍롱(風聾)이명(耳鳴)
궤견탕(潰堅湯) /  비괴(痞塊)육취(六聚)오적(五積)
궤견환(潰堅丸) /  오적(五積)비괴(痞塊)육취(六聚)
귤피전원(橘皮煎元) /  구리(久痢)비신구허(脾腎俱虛)
귤핵환(橘核丸) /  난종(卵腫)퇴산(㿉疝)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기각좌산(枳殼剉散) /  열창(熱脹)
기리환(氣痢丸) /  기리(氣痢)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  식상(食傷)
기실소비환(枳實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내색산(內塞散) /  누창(瘻瘡)감창(疳瘡)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2] /  변혈(便血)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대금음자(對金飮子) /  주상(酒傷)식상(食傷)
대승기탕(大承氣湯) /  흉복창만(胸腹脹滿)상한이증(傷寒裏證)
대온중환(大溫中丸) /  황반(黃胖)곡달(穀疸)황종(黃腫)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각기(脚氣)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황달(黃疸)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도씨황룡탕(陶氏黃龍湯) /  심하비경(心下痞硬)상한이증(傷寒裏證)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퇴산(㿉疝)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적취(積聚)
목향도기탕(木香導氣湯) /  금구리(噤口痢)이질(痢疾)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식적복통(食積腹痛)기체복통(氣滯腹痛)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원(木香元) /  감리(疳痢)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기통(氣痛)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백봉고(白鳳膏) /  허로(虛勞)폐위(肺痿)해혈(咳血)
백중산(百中散) /  이질(痢疾)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2] /  한중(寒中)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손설(飱泄)곽란(霍亂)
별갑음자(鱉甲飮子) /  학모(瘧母)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만비풍(慢脾風)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보수단(補髓丹)[2] /  허로이수(虛勞羸瘦)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수종(水腫)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적취(積聚)
복량환(伏粱丸) /  심적(心積)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2] /  담음구토(痰飮嘔吐)
복령탕(茯苓湯)[3] /  자종(子腫)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부자온중탕(附子溫中湯) /  한설(寒泄)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2] /  중한(中寒)
부종통치우방(浮腫通治又方) /  부종(浮腫)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분소탕(分消湯) /  창만(脹滿)중만(中滿)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비방양장탕(秘方養臟湯) /  오색리(五色痢)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  십일학(十日瘧)삼일학(三日瘧)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사군자환(使君子丸) /  냉감(冷疳)
사칠탕(四七湯) /  매핵기(梅核氣)칠기울결(七氣鬱結)
사합탕(四合湯) /  담음복통(痰飮腹痛)기체복통(氣滯腹痛)
산취탕(散聚湯) /  징가(癥瘕)육취(六聚)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2] /  학질(瘧疾)
삼귤산(蔘橘散) /  오조(惡阻)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습탕(渗濕湯)[2] /  한습(寒濕)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2] /  상한이증(傷寒裏證)
삼일승기탕(三一承氣湯)[3] /  열격(噎膈)대변비결(大便秘結)반위(反胃)구토(嘔吐)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삼화탕(三化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삼화탕(三和湯)[3] /  기창(氣脹)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상표소산(桑螵蛸散)[2] /  산후임력(産後淋瀝)유뇨(遺尿)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생부제습탕(生附除濕湯) /  한습(寒濕)
생부탕(生附湯)[2] /  한습(寒濕)상습(傷濕)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허비(虛痞)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
성비음자(醒脾飮子) /  자학(子瘧)한학(寒瘧)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풍온(風溫)역려(疫癘)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소승기탕(小承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소자강기탕(蘇子降氣湯) /  상기천급(上氣喘急)
소자도담강기탕(蘇子導痰降氣湯) /  담천(痰喘)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소청비탕(小淸脾湯) /  위학(胃瘧)
소풍산(消風散)[1] /  부인혈풍(婦人血風)두풍(頭風)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순기산(順氣散) /  중소(中消)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승양보기탕(升陽補氣湯) /  식후혼곤(食後昏困)
시평탕(柴平湯) /  해학(痎瘧)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신출산기산(神朮散氣散) /  사시온역(四時瘟疫)
실비산(實脾散) /  수종(水腫)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실장산(實腸散)[1] /  대장허한(大腸虛寒)
실장산(實腸散)[2] /  활설(滑泄)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중갈(中暍)
십미화해산(十味和解散) /  상한(傷寒)기혈구손(氣血俱損)
십선산(十宣散) /  옹저(癰疽)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쌍해음자(雙解飮子) /  장학(瘴瘧)한학(寒瘧)
양위단(養胃丹) /  구학(久瘧)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전광(癲狂)온역(瘟疫)노채(勞瘵)
영출탕(苓朮湯)[1] /  납매(納呆)손설(飱泄)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오수유탕(吳茱萸湯)[3] /  진창(䐜脹)
오음탕(五飮湯) /  벽음(癖飮)일음(溢飮)유음(留飮)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옥설탕(沃雪湯)[2] /  사시상한(四時傷寒)
온경환(溫經丸) /  감루(疳瘻)
온백원(溫白元) /  적취(積聚)황달(黃疸)징가(癥瘕)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온위탕(溫胃湯)[3] /  한창(寒脹)
온해산(溫解散) /  감루(疳瘻)누창(瘻瘡)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위령탕(胃苓湯)[1] /  습설(濕泄)
위령탕(胃苓湯)[2]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유령탕(薷苓湯) /  서설(暑泄)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육화탕(六和湯)[1] /  중서(中暑)곽란전근(霍亂轉筋)
이공산(異功散)[2] /  두창설사(痘瘡泄瀉)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곽란(霍亂)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  중풍(中風)허증(虛症)탄탄(癱瘓)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  열격(噎膈)천만(喘滿)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  온황(瘟黃)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자윤탕(滋潤湯) /  이변폐삽(二便閉澁)풍중장(風中臟)
전초산(剪草散) /  개선(疥癬)
절학칠보음(截瘧七寶飮) /  학질(瘧疾)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  복창(腹脹)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 /  구설(久泄)
제습탕(除濕湯) /  중습(中濕)
조위산(調衛散)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  식상(食傷)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  황반(黃胖)황달(黃疸)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  허리(虛痢)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정창(釘瘡)악창(惡瘡)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열창(熱脹)중만(中滿)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비적(脾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간적(肝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신적(腎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4] /  심적(心積)오적(五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오적(五積)폐적(肺積)
지성환(至聖丸) /  냉감(冷疳)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현벽(痃癖)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청비음(淸脾飮) /  식학(食瘧)
청비탕(淸脾湯) /  식학(食瘧)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서열증(暑熱證)곽란(霍亂)학리(瘧痢)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학(脾虐)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치습중화탕(治濕中和湯) /  한습(寒濕)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  상한번조(傷寒煩躁)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칠물후박탕(七物厚朴湯) /  열창(熱脹)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옹저(癰疽)
태무신출산(太無神朮散) /  사시온역(四時瘟疫)장역(瘴疫)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통도산(通導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손상어혈(損傷瘀血)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퇴황환(退黃丸) /  당설(溏泄)황달(黃疸)복창(腹脹)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평위분소음(平胃分消飮) /  조잡(嘈雜)탄산(呑酸)
평위산(平胃散)[1] /  비위불화(脾胃不和)탄산(呑酸)심복창통(心腹脹痛)
평위산(平胃散)[2]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평즉환(平鯽丸) /  격기(膈氣)구토(嘔吐)불능식(不能食)
평진탕(平陳湯) /  식학(食瘧)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향각환(香殼丸)[1] /  치루(痔瘻)장벽(腸澼)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  위한(胃寒)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1] /  비설(脾泄)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향유산(香薷散)[1] /  서병(暑病)
향유산(香薷散)[2] /  곽란전근(霍亂轉筋)중서(中暑)
향유탕(香薷湯) /  상서토사(傷暑吐瀉)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상초열(上焦熱)구토(嘔吐)
화중산(和中散)[2] /  소아설사(小兒泄瀉)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황련향유산(黃連香薷散) /  서열번갈(暑熱煩渴)
황백산(黃白散)[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후박(厚朴)[3] /  복통(腹痛)흉복창만(胸腹脹滿)
후박(厚朴)[5] /  복창(腹脹)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후박기실탕(厚朴枳實湯) /  구설(久泄)
후박반하탕(厚朴半夏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한복통(寒腹痛)
후박전(厚朴煎) /  변혈(便血)하혈(下血)
후박탕(厚朴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후박탕(厚朴湯)[2] /  심복냉통(心腹冷痛)
후박탕(厚朴湯)[3]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