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나무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7∼8월(개화기 : 꽃), 가을(열매ㆍ잔가지) |
키 |
25m 정도 |
취급요령 |
날것(열매) 또는 말려(열매ㆍ 잔가지ㆍ꽃) 쓴다. |
생지 |
산이나 들, 마을 부근에 식재 |
성미 |
서늘하며, 맵다. |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꽃ㆍ잔가지ㆍ열매 5∼10g |
약효 |
꽃ㆍ잔가지ㆍ열매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며 7∼17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1회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2~6cm, 나비 15~25mm의 달걀꼴 또는 계란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회백색으로 하얀 잔털이 촘촘히 나 있다. 잎자루는 짧고 누운 털이 있다.
꽃
8월에 나비 모양을 한 길이 12~15mm의 황백색 잔꽃이 새로 나온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차례의 길이는 20~30cm이다. 꽃받침통은 종 모양이고 짧은 털이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길이가 서로 다르다.
열매
9~10월에 길이 5~8cm의 협과 꼬투리가 염주처럼 잘록잘록한 모양으로 아래를 향해 달려 노랗게 익는데 약간 육질이다. 열매 속에 1∼4개의 갈색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괴목(槐木)ㆍ괴나무ㆍ홰나무ㆍ회나무ㆍ괴화나무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진한 회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진다. 노란 속껍질에서 특유의 냄새가 난다. 녹색의 어린가지는 흰 가루로 덮여 있으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뿌리를 괴근(槐根), 꽃봉오리를 괴화, 잎을 괴엽(槐葉), 열매를 괴각자(槐角子), 나무껍질을 괴백피(槐白皮)라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이 원산지이다. 관상용ㆍ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좋은 일을 가져오는 행운목으로, 중국에서는 출세의 나무로, 서양에서는 학자의 나무로 알려져 있다. 회화나무 고목은 궁궐이나 양반 고택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예로부터 이 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집안에 학자가 나오고 부자가 된다 하여 양반 집안에만 심었다. 또 잡신을 쫓고 마을을 지키는 수호목으로 회화나무를 마을 어귀에 정자나무로 많이 심었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 요즈음에도 가로수ㆍ공원수ㆍ조경수로 많이 심는다. 목재는 가구와 건축재로 이용한다. 꽃은 맥주와 종이를 황색으로 물들이는 데 쓴다. 꽃을 달인 노란색 물로 괴황지를 만들어 부적을 만들기도 했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차의 대용품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열매는 쌀뜨물 또는 식초에 하룻밤 재워 증기로 쪄서 불에 말려 두고 쓴다. 꽃은 볶아서 쓴다. 줄기는 햇볕에 말려 두고 쓴다. 생열매를 짓찧어 탕으로 하여 쓰기도 한다. 약재를 다룰 때에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ㆍ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괴각(槐角) / 회화나무 열매
괴각자(槐角子) / 회화나무 열매
라틴명 |
Sophor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윤간(潤肝)
(간(肝)의 음혈(陰血)을 보충하는 효능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지루(止淚)
(눈물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고치(固齒)
(치아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오발(烏髮)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성미 |
고(苦)
, 한(寒)
|
독성 |
Allergic shock 1). 1)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20, 1984. |
약재사용처방 |
거담환(祛痰丸) /
담천(痰喘)
|
|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
괴근백피(槐根白皮) / 회화나무 뿌리껍질
라틴명 |
Sophorae Radicis Cortex |
약재의 효능 |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사(風邪)과 습사(濕邪)가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통증이 옮겨 다니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소종지통(消腫止痛)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임)
|
성미 |
고(苦)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옥설환(玉屑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괴백피(槐白皮) / 회화나무 뿌리 껍질
라틴명 |
Sophorae Radicis Cortex |
약재의 효능 |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사(風邪)과 습사(濕邪)가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통증이 옮겨 다니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소종지통(消腫止痛)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임)
|
성미 |
고(苦)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괴백피(槐白皮) /
음랭(陰冷)
, 난종(卵腫)
, 음산(陰疝)
|
괴실(槐實) / 회화나무 열매
라틴명 |
Sophor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윤간(潤肝)
(간(肝)의 음혈(陰血)을 보충하는 효능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지루(止淚)
(눈물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고치(固齒)
(치아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오발(烏髮)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성미 |
고(苦)
, 한(寒)
|
약재사용처방 |
괴실(槐實)[4] /
장독(臟毒)
, 오치(五痔)
, 장풍(腸風)
|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환골단(換骨丹)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
괴윤(槐潤) / 회화나무 수지
괴자(槐子) / 회화나무 열매
라틴명 |
Sophor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윤간(潤肝)
(간(肝)의 음혈(陰血)을 보충하는 효능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지루(止淚)
(눈물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고치(固齒)
(치아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오발(烏髮)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성미 |
고(苦)
, 한(寒)
|
약재사용처방 |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
|
치태동일방(治胎動一方)[2] /
태동불안(胎動不安)
|
|
치혹도인탕(治惑桃仁湯) /
호혹(狐惑)
|
괴조(槐條) / 회화나무 가지
라틴명 |
Sophorae Ramulus |
약재의 효능 |
생발(生髮)
(머리털이 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성미 |
고(苦)
, 평(平)
|
주의사항 |
어린가지(嫩枝) |
약재사용처방 |
대두감초탕(大豆甘草湯) /
음식창(陰蝕瘡)
, 하감창(下疳瘡)
|
괴지(槐枝) / 회화나무 가지
괴화(槐花) / 회화나무 꽃
라틴명 |
Sophorae Flos |
약재의 효능 |
청간사화(淸肝瀉火)
(간열(肝熱)을 식혀주며 화(火)의 기운을 밖으로 빼내는 효능임)
|
|
양혈지혈(凉血止血)
(양혈(凉血)함으로써 지혈하는 효능임)
|
|
살오장충(殺五臟蟲)
(오장(五臟)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청열양혈(淸熱凉血)
(열기를 식히고 열로 인해서 생긴 혈열을 식히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성미 |
고(苦)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약재사용처방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장풍(腸風)
, 변혈(便血)
|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
|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氣痔)
|
|
괴화(槐花)[1] /
객혈(喀血)
, 하혈(下血)
, 타혈(唾血)
|
|
괴화(槐花)[2] /
장독(臟毒)
, 오치(五痔)
, 장풍(腸風)
|
|
괴화(槐花)[3] /
창독(瘡毒)
|
|
괴화산(槐花散)[1] /
하혈(下血)
, 변혈(便血)
|
|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
|
괴화산(槐花散)[3]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괴화주(槐花酒) /
나력(瘰癧)
, 옹저(癰疽)
, 발배(發背)
|
|
괴황탕(槐黃湯)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괴황환(槐黃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치루(痔瘻)
|
|
궁귀환(芎歸丸)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기각산(枳殼散)[2] /
장독(臟毒)
|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
|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적리(赤痢)
, 혈리(血痢)
|
|
돈위환(豚胃丸) /
창루(瘡瘻)
, 치루(痔瘻)
|
|
밀몽화산(密蒙花散)[1] /
내장(內障)
|
|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2] /
장벽(腸澼)
|
|
연각환(連殼丸) /
변혈(便血)
|
|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
, 풍치(風齒)
|
|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
|
이괴단(二槐丹) /
탈항(脫肛)
|
|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지혈산(止血散) /
장풍(腸風)
|
|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해독탕(解毒湯)[1] /
장독(臟毒)
|
|
향부산(香附散)[2] /
장풍(腸風)
|
|
향표탕(香鰾湯) /
양매창(楊梅瘡)
|
|
형괴산(荊槐散) /
치뉵(齒衄)
|
|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