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유

 익생양술에서 "향유"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향유(香薷)/향유"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월(열매 성숙기)
30∼6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야산, 들, 길가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열매 4∼8g
약효 열매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꽃향유ㆍ애기향유
마주나며 잎자루가 길고 양면에 잔털이 있다. 잎몸은 길이 3~10cm, 나비 1~6cm의 긴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무딘 톱니가 있다.
8∼9월에 붉은 자주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피는데 한쪽으로 치우쳐 이삭 모양이 된다. 꽃턱잎은 둥근 부채처럼 생기고 길이가 꽃받침보다 길거나 같으며 때로는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과 꽃부리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4개로 갈라진다.
열매
10월에 좁은 거꿀달걀꼴의 수과를 맺는데 편평하다. 씨가 물에 젖으면 점성이 생긴다.
특징 및 사용
노야지(奴也只)ㆍ노야기ㆍ향여(香茹)라고도 한다. 줄기는 네모지고 곧게 서서 자라며 강한 향기를 풍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온포기에 잔털이 나 있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향유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임신부가 많이 복용하면 유산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의한다.
향유(香薷) / 향유
라틴명 Elsholtziae Herba
약재의 효능 발한해서(發汗解暑)  (발한(發汗)시키고 열을 푸는 효능임)
행수산습(行水散濕)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습사(濕邪)를 날려주는 효능임)
온위(溫胃)  (위(胃)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청서이수(淸暑利水)  (서병(暑病)으로 진액이 상하고 기가 부족해졌을때 소변을 잘 나오게 하여 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미온(微溫) , 신(辛)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꽃필 때의 전초(全草)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유령탕(加減薷苓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납향고(蠟享膏)[1] /  동창(凍瘡)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삼유음(蔘薷飮) /  곽란(霍亂)상서(傷暑)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시향산(柴香散) /  징가(癥瘕)비괴(痞塊)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중갈(中暍)
유령탕(薷苓湯) /  서설(暑泄)
육화탕(六和湯)[1] /  중서(中暑)곽란전근(霍亂轉筋)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곽란(霍亂)
청기음(淸氣飮) /  중서(中暑)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서열증(暑熱證)곽란(霍亂)학리(瘧痢)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축비음(縮脾飮) /  중서(中暑)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향유(香薷)[1] /  구취(口臭)
향유(香薷)[2] /  토사(吐瀉)서병(暑病)곽란(霍亂)
향유(香薷)[3] /  곽란전근(霍亂轉筋)
향유산(香薷散)[1] /  서병(暑病)
향유산(香薷散)[2] /  곽란전근(霍亂轉筋)중서(中暑)
향유탕(香薷湯) /  상서토사(傷暑吐瀉)
황련향유산(黃連香薷散) /  서열번갈(暑熱煩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