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본

 익생양술에서 "고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고본(藁本)/중국고본"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80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깊은 산의 냇가나 바위틈, 산기슭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2~6g
약효 뿌리ㆍ꽃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는데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잎자루 전체가 잎집으로 된다. 깃털 모양으로 3회 가늘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좁은 선 모양이다.
8~9월에 복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흰색의 오판화가 달려 피는데 큰 꽃자루는 10개쯤이며 작은 꽃자루는 많다. 꽃부리는 작으며 꽃받침조각은 5개가 안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자주색이다. 1개의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10월에 분과가 달려 익는데 편평한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특징 및 사용
고본이라는 이름은 뿌리 위에 난 싹의 밑이 화고(禾藁 : 볏짚)와 비슷하다 하여 짚[藁]에서 나왔다[本]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뿌리는 거칠고 큰 편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많이 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맨드라미를 금한다.
고본(藁本) / 중국고본
라틴명 Ligustici Sinensis Rhizoma cum Radix
약재의 효능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승습(勝濕)  (습사(濕邪)를 물리치는 효능임)
소풍(疎風)  (풍사(風邪)가 인체에 침입한 것을 거풍해표약(祛風解表藥)을 사용하여 소산(疎散)시키는 방법임)
통혈(通血)  (혈액이 정체되지 않고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진통(鎭痛)  (통증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장기부(長肌膚)
배농수(排膿水)
거풍한습(祛風寒濕)
작용부위 방광(膀胱)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  파상풍(破傷風)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풍랭치통(風冷齒痛)치아탈락(齒牙脫落)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항강(項强)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고본(藁本)[1] /  두풍(頭風)전정통(巓頂痛)
고본(藁本)[2] /  분자(粉刺)간포(䵟皰)
고본(藁本)[3] /  오풍(惡風)두풍(頭風)
고본(藁本)[4] /  풍습(風濕)
고창탕(藁蒼湯) /  심위통(心胃痛)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궁궁산(芎藭散)[1] /  간허두훈(肝虛頭暈)풍훈(風暈)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혈허두통(血虛頭痛)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도씨마황탕(陶氏麻黃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안릉긴급(眼楞緊急)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백룡환(白龍丸)[1] /  주사비(酒齄鼻)
보간산(保肝散) /  내장(內障)간일성이(看一成二)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난현풍(爛弦風)도첩권모(倒睫拳毛)내장(內障)외장(外障)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풍온(風溫)역려(疫癘)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위풍(胃風)면종(面腫)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오발옹저(五發癰疽)배옹(背癰)내저(內疽)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온역(瘟疫)
신출산(神朮散)[1] /  상한표증(傷寒表證)
신출산(神朮散)[2] /  산람장기(山嵐瘴氣)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풍자(風刺)흑염정(黑靨疔)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풍치(風齒)
온분(溫粉) /  자한(自汗)
온풍산(溫風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풍습(風濕)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조세약(澡洗藥) /  풍조신양(風燥身痒)
조중탕(調中湯)[2] /  온역(瘟疫)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항문양통(肛門痒痛)치루(痔瘻)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슬통(膝痛)척감(脊疳)
천궁산(川芎散)[2] /  현훈(眩暈)두목불청(頭目不淸)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배(發背)발뇌(發腦)마목(麻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