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꽃나무
이명
거수(去水)
독어(毒魚)
두원(杜元)
패화(貝花)
분포 |
전남, 서해안 |
채취기간 |
봄(꽃피기 전)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바닷가 근처 |
성미 |
따뜻하며, 맵고 쓰다. |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있다. |
번식 |
꺾꽂이ㆍ접목ㆍ분주ㆍ씨 |
1회사용량 |
2~4g |
약효 |
꽃ㆍ온포기 |
사용범위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
잎
마주나지만 때로는 어긋나게 달린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 맥 위에 융털이 있다.
꽃
3~5월에 지름 10~12mm의 엷은 자주색 꽃이 지난해에 나온 가지 끝에서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3~7개씩 달려 핀다. 꽃자루에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며 겉에 잔털이 있고 끝이 4개로 갈라져 타원형 또는 달걀꼴의 꽃잎처럼 된다. 꽃잎은 없고 수술은 4~8개가 꽃받침통에 2줄로 달린다. 수술대는 짧으며 꽃밥은 황색이다. 꽃턱은 바퀴 모양이다. 씨방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적색이다.
열매
7월에 둥글고 투명한 장과가 달려 자줏빛을 띤 홍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조기꽃나무ㆍ이팥나무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는 어두운 갈색이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함경남도에서 전라남도에 이르는 바닷가 근처에서 자생한다. 유사종으로 잎이 넓은 것을 넓은잎팥꽃나무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말린 꽃봉오리를 원화 또는 완화(莞花)라 하며 약재로 쓰는데 독이 약간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과 통증을 다스리며, 심장 질환에 효험이 있다.
원화(芫花) / 팥꽃나무 꽃봉우리
라틴명 |
Genkwa Flos |
약재의 효능 |
이혈맥(利血脈)
(혈맥(血脈)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
|
사수축음(瀉水逐飮)
(수(水)를 없애고 음사(飮邪)를 배출시키는 효능임)
|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소독(小毒)
, 한(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체허자(體虛者)는 쓰지 말 것. |
독성 |
The LD50 of this herb in rats is 9.25 g/kg (I.p.). Death occurs from convulsions and respiratory arrest.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삼릉전(三稜煎) /
기괴(氣塊)
, 혈가(血瘕)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1] /
수습종만(水濕腫滿)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
천수(喘嗽)
, 중만(中滿)
, 복창(腹脹)
, 임폐(淋閉)
, 수습(水濕)
|
|
소벽원(消癖元) /
해학(痎瘧)
|
|
소위단(小胃丹) /
식적담수(食積痰嗽)
, 열담(熱痰)
, 습담(濕痰)
, 풍담(風痰)
|
|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
|
십조탕(十棗湯) /
협통(脇痛)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
|
|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혈적(血積)
, 충적(蟲積)
, 적취(積聚)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외부약(外敷藥) /
복창(腹脹)
|
|
주거신우환(舟車神祐丸) /
수습중조(水濕中阻)
|
|
주거환(舟車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
|
창만설사외부약(脹滿泄瀉外敷藥) /
창만(脹滿)
|
|
칠성환(七聖丸)[2] /
유식적체(乳食積滯)
|
|
포옹환(抱甕丸) /
혈고(血蠱)
, 귀태(鬼胎)
|
|
회향연실환(茴香楝實丸) /
칠산(七疝)
, 가취(瘕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