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sparagi Radix |
약재의 효능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강화(降火)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
|
|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보폐기(保肺氣)
|
|
통신기(通腎氣)
(신기(腎氣)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지열수(止熱嗽)
|
|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거복시(去伏尸)
|
|
소옹종(消癰腫)
(옹저(癰疽) 및 종독(腫毒)을 없내는 효능임)
|
|
제면흑(除面黑)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작용부위 |
신(腎)
, 폐(肺)
|
성미 |
감고(甘苦)
, 한(寒)
|
약전기재 |
원색화한약도감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는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
구취(口臭)
, 구창(口瘡)
, 아선(牙宣)
|
|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어성중탁(語聲重濁)
, 실음(失音)
|
|
감리고(坎離膏)[1] /
수혈(嗽血)
, 토혈(吐血)
|
|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노손(勞損)
|
|
강심단(降心丹) /
건망(健忘)
|
|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난현풍(爛弦風)
|
|
금련환(金蓮丸) /
소변적탁(小便赤濁)
|
|
냉보환(冷補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이롱(耳聾)
|
|
단삼음자(團蔘飮子) /
기수(氣嗽)
, 노채(勞瘵)
, 폐위(肺痿)
|
|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허손(虛損)
|
|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
|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안화(眼花)
|
|
백합단(百合丹) /
귀흉(龜胸)
|
|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
신소(腎消)
|
|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담수(痰嗽)
, 음허화동(陰虛火動)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환(補陰丸)[2] /
객혈(喀血)
, 음허화동(陰虛火動)
, 몽설(夢泄)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
보진탕(保眞湯) /
조열(潮熱)
, 골증(骨蒸)
, 유정(遺精)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허로(虛勞)
, 방로상(房勞傷)
|
|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허로(虛勞)
|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삼재환(三才丸) /
망혈(亡血)
, 탈혈(脫血)
|
|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세폐산(洗肺散)[1] /
비창(鼻瘡)
|
|
세폐산(洗肺散)[2] /
열수(熱嗽)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
|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심평탕(審平湯) /
중열(中熱)
, 면목부종(面目浮腫)
, 복창(腹脹)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
영수고(寧嗽膏) /
노수(勞嗽)
|
|
옥화산(玉華散) /
화천(火喘)
|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1] /
구고(口苦)
|
|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담수(痰嗽)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이삼단(二蔘丹) /
중풍(中風)
, 건망(健忘)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
|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2] /
잡병대맥(雜病代脈)
|
|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
|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신허(腎虛)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腎虛)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
, 해혈(咳血)
, 허로(虛勞)
, 토혈(吐血)
|
|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노담(老痰)
, 울담(鬱痰)
|
|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
, 오적(五積)
|
|
지지환(地芝丸) /
원시(遠視)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맥문동(天麥門冬) /
조역(燥疫)
|
|
천문동(天門冬)[2] /
전광(癲狂)
, 경계(驚悸)
|
|
천문동(天門冬)[4] /
복시(伏尸)
, 삼시충(三尸蟲)
|
|
천문동(天門冬)[5]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
천문동고(天門冬膏) /
조역(燥疫)
|
|
천문동음(天門冬飮) /
자수(子嗽)
|
|
천문동음자(天門冬飮子) /
녹로전관(轆轤轉關)
|
|
천문동탕(天門冬湯) /
육혈(衄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천지전(天地煎) /
정충(怔忡)
, 허로(虛勞)
|
|
천진원(天眞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
|
청금강화단(淸金降火丹) /
상초열(上焦熱)
|
|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청심환(淸心丸)[3] /
삼초열(三焦熱)
|
|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
|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청폐탕(淸肺湯)[2] /
담수(痰嗽)
, 구수(久嗽)
|
|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건해(乾咳)
, 건수(乾嗽)
, 성아(聲啞)
|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경계(驚悸)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
, 타혈(唾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환원추석환(還元秋石丸) /
수발조백(鬚髮早白)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
|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
, 허로(虛勞)
|
|
황기탕(黃芪湯)[2] /
도한(盜汗)
, 자한(自汗)
|
|
흑삼환(黑參丸) /
구설생창(口舌生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