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

 익생양술에서 "천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적전(赤箭)/천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천마(天麻)/천마"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특히 속리산ㆍ치악산ㆍ천마산) 채취기간 늦가을~이듬해 봄
60~100cm 취급요령 쪄서 말려 쓴다.
생지 나무 밑 음습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4~6g
약효 뿌리(덩이줄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천천마ㆍ귀천마
잎이 없는 무엽란(無葉蘭)이다. 길이 1~2cm의 비늘 조각 같은 초상엽(鞘狀葉 : 칼집 모양의 잎)은 막질인데 마디에서 성기게 나와 밑 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엽록소가 없다.
6~7월에 20~40개의 황갈색 꽃이 줄기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은 막질이며 바늘꼴 또는 선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잔맥이 있다. 바깥쪽 꽃덮이는 3개이지만 합쳐져서 표면이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처럼 보이는데 위쪽이 3개로 갈라지고 안쪽에 2개의 꽃덮이가 달리므로 5개처럼 보인다. 입술판[脣瓣]은 길이 1cm 정도의 타원형이며 꽃덮이 조각의 가장자리에 약간 나타난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고 밑 부분 안쪽에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
9월에 길이 12~15mm인 거꿀달걀꼴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끝에 꽃덮이가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수자해좆ㆍ적전(赤箭)ㆍ정풍초(定風草)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보통 황적색을 띠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덩이줄기는 길이 10~18cm, 지름 3.5cm 정도의 감자 비슷한 타원형인데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표면은 비늘 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꽃이 피면 속이 빈다. 덩이줄기를 천마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적전(赤箭) / 천마
라틴명 Gastrodiae Rhizoma
약재의 효능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식풍(熄風)  (평식내풍(平熄內風)의 치법을 말함. 내장병변(內臟病變)으로 발생한 풍병(風病)을 치료한다.)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해경(解痙)  (사지가 뻣뻣해지는 경(痙)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작용부위 간(肝)
성미 신(辛)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지상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천마(天麻) / 천마
라틴명 Gastrodiae Rhizoma
약재의 효능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식풍(熄風)  (평식내풍(平熄內風)의 치법을 말함. 내장병변(內臟病變)으로 발생한 풍병(風病)을 치료한다.)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해경(解痙)  (사지가 뻣뻣해지는 경(痙)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보음(補陰)  (음기(陰氣)를 보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개구규(開九竅)
강근력(强筋力)  (근력(筋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이요슬(利腰膝)  (요슬(腰膝)을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조양도(助陽道)
살귀정(殺鬼精)  (귀신들린 물건의 귀신을 쫓아내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신(辛)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혈허무풍(血虛無風), 화염두통(火炎頭痛), 구건변폐자(口乾便閉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배풍탕(加減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은진(癮疹)
가미용호산(加味龍虎散) /  한습요통(寒濕腰痛)풍습요통(風濕腰痛)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  중풍(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탄탄(癱瘓)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  담연옹성(痰涎壅盛)중풍(中風)
거담환(祛痰丸) /  담천(痰喘)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혼모(昏冒)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균기산(均氣散) /  중풍(中風)기허불수(氣虛不遂)
금박진심환(金箔鎭心丸)[2] /  급경풍(急驚風)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근골위약(筋骨痿弱)신연(身軟)
대천궁환(大川芎丸) /  수풍(首風)
대청고(大靑膏) /  급경풍(急驚風)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맥천탕(麥天湯) /  구토(嘔吐)식비(食痺)오심(惡心)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방풍원(防風元) /  만경풍(慢驚風)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벽손정자(辟巽錠子)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내장(內障)
보명단(保命丹)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보생단(保生丹) /  만경풍(慢驚風)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3] /  식비(食痺)
불환금단(不換金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  만경풍(慢驚風)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목현(目眩)담궐두통(痰厥頭痛)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성비산(醒脾散) /  만경풍(慢驚風)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수자금화환(水煮金花丸) /  식비(食痺)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여성병자(如聖餠子) /  정두통(正頭痛)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영지화담탕(寧志化痰湯) /  전광(癲狂)
오룡환(烏龍丸) /  음낭습양(陰囊濕痒)
오사산(烏蛇散) /  파상풍(破傷風)
옥호환(玉壺丸) /  담궐두통(痰厥頭痛)
온백환(溫白丸) /  만경풍(慢驚風)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목적(目赤)흉협고만(胸脇苦滿)소복통(小腹痛)이롱(耳聾)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혼모(昏冒)중풍(中風)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전간(癲癎)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이오환(二烏丸) /  파상풍(破傷風)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일자산(一字散)[2] /  파상풍(破傷風)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절풍환(截風丸) /  급경풍(急驚風)
정백환(定魄丸) /  경간(驚癎)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정풍병자(定風餠子)[1] /  담궐두통(痰厥頭痛)
정풍병자(定風餠子)[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조등산(釣藤散) /  경풍(驚風)천조(天釣)
좌룡환(左龍丸) /  파상풍(破傷風)
주귀음(酒歸飮) /  나두창(癩頭瘡)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창이산(蒼耳散)[3] /  아장선(鵝掌癬)
천금산(千金散)[2]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천마(天痲)[1] /  사지구급(四肢拘急)
천마(天麻)[2] /  풍비(風痺)
천마반하탕(天麻半夏湯) /  담훈(痰暈)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탄탄(癱瘓)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심도담환(淸心導痰丸) /  유연(流涎)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전간(癲癎)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정두풍(正頭風)
축보환(丑寶丸) /  정충(怔忡)전간(癲癎)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  경간(驚癎)
태을산(太乙散) /  태경(胎驚)
퇴풍산(退風散) /  파상풍(破傷風)
투빙단(透氷丹) /  중풍열증(中風熱證)탄탄(癱瘓)중풍(中風)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해어환(解語丸) /  어삽(語澁)중풍(中風)
현삼패모탕(玄蔘貝母湯) /  이양(耳痒)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홍면산(紅綿散)[2] /  두창발열(痘瘡發熱)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