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huanxiong Rhizoma |
약재의 효능 |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소기체(疎氣滯)
(기(氣)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산간사(散肝邪)
(간(肝)에 울결된 사기(邪氣)를 흩트리는 효능임)
|
|
보혈윤조(補血潤燥)
(혈(血)을 보하여 마른 것을 윤택하게 하는 효능임)
|
|
행기수풍(行氣搜風)
(기(氣)를 소통시켜 풍(風)이 일어나는 것을 찾아 가라앉히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성미 |
신(辛)
, 온(溫)
|
주의사항 |
뿌리줄기를 그대로 쓰거나 또는 열탕에 데친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
가감배풍탕(加減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변혈(便血)
, 장풍(腸風)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풍중부(風中腑)
, 태양중풍(太陽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2] /
태양중풍(太陽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3] /
양명중풍(陽明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
중풍(中風)
, 태음병(太陰病)
, 무한(無汗)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5] /
소음중풍(少陰中風)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6] /
지절통(肢節痛)
, 소양중풍(少陽中風)
|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치(痔)
, 장풍(腸風)
|
|
가미궁귀탕(加味芎歸湯) /
난산(難産)
, 교골불개(交骨不開)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
, 식적(食積)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
|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1] /
허설(虛泄)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2] /
붕루(崩漏)
, 경단부행(經斷復行)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혈허두통(血虛頭痛)
, 기궐두통(氣厥頭痛)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비(喉痺)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
|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
|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허로(虛勞)
|
|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癰疽)
|
|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무자(無子)
, 태동불안(胎動不安)
|
|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황홀(恍惚)
, 경계(驚悸)
|
|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
|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기허두통(氣虛頭痛)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
, 온역(瘟疫)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
|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氣痔)
|
|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노손(勞損)
|
|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
|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
|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
파상풍(破傷風)
|
|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
|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항강(項强)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열학(熱瘧)
, 한학(寒瘧)
, 장학(瘴瘧)
|
|
강활충화탕(羌活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
|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
|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
|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
, 풍중장(風中臟)
|
|
건비환(健脾丸) /
식상(食傷)
|
|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
, 예막(翳膜)
|
|
결명원(決明元)[2]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학슬풍(鶴膝風)
, 이후각통(痢後脚痛)
|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
|
괴황탕(槐黃湯)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교가산(交加散)[1] /
상한(傷寒)
, 상한(傷寒)
, 감모(感冒)
, 감모(感冒)
|
|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
태동불안(胎動不安)
, 반산(半産)
|
|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태루(胎漏)
|
|
교애탕(膠艾湯) /
태루(胎漏)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태양병(太陽病)
, 축혈(畜血)
|
|
구풍고(驅風膏) /
급경풍(急驚風)
|
|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
안양(眼痒)
|
|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정두통(正頭痛)
, 비색(鼻塞)
, 편두통(偏頭痛)
, 두풍(頭風)
|
|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
|
궁갈탕(芎葛湯) /
풍한협통(風寒脇痛)
|
|
궁궁(芎藭)[3] /
정두통(正頭痛)
, 풍두통(風頭痛)
, 편두통(偏頭痛)
|
|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
, 간허두훈(肝虛頭暈)
|
|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勞瘧)
|
|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소관반산(素慣半産)
, 태루(胎漏)
|
|
궁귀음(芎歸飮) /
풍롱(風聾)
, 이명(耳鳴)
|
|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
산후발열(産後發熱)
|
|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
옹저(癰疽)
|
|
궁귀탕(芎歸湯) /
사태불하(死胎不下)
, 역산(逆産)
, 산전후제병(産前後諸病)
, 횡산(橫産)
|
|
궁귀환(芎歸丸)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궁서원(芎犀元) /
편두통(偏頭痛)
|
|
궁소산(芎蘇散)[1] /
임신상한(妊娠傷寒)
|
|
궁소산(芎蘇散)[2] /
임신상한(妊娠傷寒)
|
|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궁신탕(芎辛湯) /
외감두통(外感頭痛)
, 현훈(眩暈)
, 구토(嘔吐)
|
|
궁오산(芎烏散) /
기궐두통(氣厥頭痛)
|
|
궁지고(芎芷膏) /
구취(口臭)
|
|
궁지산(芎芷散) /
이명(耳鳴)
, 풍롱(風聾)
|
|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
|
궁출산(芎朮散) /
담적복통(痰積腹痛)
|
|
궁출제현탕(芎朮除眩湯) /
풍습두통(風濕頭痛)
, 궐역두통(厥逆頭痛)
|
|
궁출탕(芎朮湯) /
현훈(眩暈)
|
|
궁하탕(芎夏湯) /
담음(痰飮)
|
|
궁활탕(芎活湯) /
담음비통(痰飮臂痛)
|
|
궁황산(芎黃散) /
치불생(齒不生)
|
|
귀각산(龜殼散) /
난산(難産)
, 교골불개(交骨不開)
|
|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
, 중기하함(中氣下陷)
|
|
귀원산(歸元散)[2] /
오조(惡阻)
|
|
금궤당귀산(金匱當歸散) /
소관반산(素慣半産)
|
|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
|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
대하(帶下)
|
|
금은백지산(金銀白芷散) /
정저(疔疽)
|
|
기각자산(枳殼煮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기궁산(枳芎散) /
좌협통(左脇痛)
|
|
기제청신산(旣濟淸神散) /
중초열(中焦熱)
|
|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
|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
납다음(臘茶飮) /
적맥예(赤脈翳)
|
|
내색산(內塞散) /
누창(瘻瘡)
, 감창(疳瘡)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
|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태동불안(胎動不安)
, 태루(胎漏)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
당귀산(當歸散)[2] /
경단부행(經斷復行)
, 월경건기(月經愆期)
|
|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
|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
임신설사(妊娠泄瀉)
, 임신복통(妊娠腹痛)
|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
|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기체(氣滯)
, 혈울(血鬱)
|
|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
|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
|
대건중탕(大建中湯) /
허로(虛勞)
, 소복급통(小腹急痛)
|
|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
, 면창(面瘡)
|
|
대궁황탕(大芎黃湯) /
자한(自汗)
, 파상풍(破傷風)
|
|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鶴膝風)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노손(勞損)
|
|
대조중탕(大調中湯) /
열담(熱痰)
|
|
대진교탕(大秦芄湯) /
중풍(中風)
, 설강(舌强)
, 탄탄(癱瘓)
|
|
대천궁환(大川芎丸) /
수풍(首風)
|
|
도경환(導經丸) /
월폐(月閉)
, 복통(腹痛)
, 요통(腰痛)
|
|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징가(癥瘕)
, 적취(積聚)
, 식적(食積)
|
|
도씨계지탕(陶氏桂枝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도씨마황탕(陶氏麻黃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상한(傷寒)
|
|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
|
도씨재조산(陶氏再造散) /
상한망양(傷寒亡陽)
|
|
도씨충화탕(陶氏冲和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
|
독활산(獨活散) /
아선(牙宣)
, 치근동요(齒根動搖)
|
|
마광산(磨光散) /
풍안(風眼)
, 예장(翳障)
|
|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
만금탕(萬金湯) /
허증(虛症)
, 사지불수(四肢不遂)
, 중풍(中風)
|
|
만형산(蔓荊散) /
근골절상(筋骨折傷)
, 타박상(打撲傷)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 안릉긴급(眼楞緊急)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
, 유루(流淚)
|
|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
|
목단피탕(牡丹皮湯)[1]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몰약강성단(沒藥降聖丹) /
골절(骨折)
, 타박상(打撲傷)
, 근단(筋斷)
|
|
묵부환(墨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
, 무사(無嗣)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1] /
수결흉(水結胸)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오조(惡阻)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1] /
파상풍(破傷風)
|
|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
|
방풍산(防風散)[1] /
현훈(眩暈)
|
|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
|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
|
방풍충화탕(防風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
|
방풍탕(防風湯)[1] /
비연(鼻淵)
|
|
방풍탕(防風湯)[3] /
파상풍(破傷風)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배풍탕(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
|
백룡환(白龍丸)[1] /
주사비(酒齄鼻)
|
|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
|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월수부조(月水不調)
, 무자(無子)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벽손정자(辟巽錠子)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파상풍(破傷風)
|
|
별갑음자(鱉甲飮子) /
학모(瘧母)
|
|
보간산(保肝散) /
내장(內障)
, 간일성이(看一成二)
|
|
보간환(補肝丸) /
간허(肝虛)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
|
보비탕(補脾湯)[2] /
만경풍(慢驚風)
|
|
보손당귀산(補損當歸散) /
절상(折傷)
, 타박상(打撲傷)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원탕(保元湯)[3]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5] /
두창자함(痘瘡紫陷)
|
|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담수(痰嗽)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
오로(五勞)
, 기혈양허(氣血兩虛)
, 칠상(七傷)
|
|
보정탕(保精湯) /
몽설(夢泄)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복령탕(茯苓湯)[1] /
부종(浮腫)
, 통비(痛痺)
|
|
복령탕(茯苓湯)[3] /
자종(子腫)
|
|
복룡간산(伏龍肝散) /
오색대하(五色帶下)
, 붕루(崩漏)
, 제복냉통(臍腹冷痛)
|
|
복신산(茯神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
|
부평산(浮萍散)[2] /
개선(疥癬)
, 나창(癩瘡)
|
|
분돈탕(奔豚湯) /
신적(腎積)
|
|
불수산(佛手散)[3] /
태동불안(胎動不安)
|
|
불수산(佛手散)[4] /
태동불안(胎動不安)
|
|
불와산(不臥散)[2] /
중풍졸도(中風卒倒)
|
|
불환금단(不換金丹) /
중풍(中風)
, 구안와사(口眼喎斜)
|
|
비불문향취방(鼻不聞香臭方) /
비색(鼻塞)
|
|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탄탄(癱瘓)
|
|
사궁산(莎芎散)[1] /
육혈(衄血)
|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
|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목적종통(目赤腫痛)
, 운예(雲翳)
|
|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
야간조열(夜間潮熱)
|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사물탕(四物湯) /
실혈(失血)
|
|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사제향부환(四製香附丸)[1]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
|
사청환(瀉靑丸)[2] /
축닉(搐搦)
, 급경풍(急驚風)
|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
산사탕(散邪湯) /
풍학(風瘧)
|
|
산울탕(散鬱湯) /
식울(食鬱)
|
|
산조인탕(酸棗仁湯)[3]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산취탕(散聚湯) /
징가(癥瘕)
, 육취(六聚)
|
|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1] /
풍담치(風痰痓)
, 음치(陰痔)
|
|
삼비탕(三痺湯) /
풍비(風痺)
, 기혈응체(氣血凝滯)
|
|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
|
삼양탕(三陽湯) /
삼양두통(三陽頭痛)
|
|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방광병(膀胱病)
, 한산(寒疝)
|
|
삼출음(蔘朮飮)[1] /
전포(轉胞)
|
|
삼출음(蔘朮飮)[2] /
자림(子淋)
|
|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
|
삼합탕(三合湯)[2] /
허로(虛勞)
|
|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
|
삼화탕(三和湯)[1] /
혈폐(血閉)
, 열결(熱結)
|
|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상기생산(桑寄生散) /
태루(胎漏)
|
|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목현(目眩)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상청산(上淸散) /
미능골통(眉稜骨痛)
, 풍두통(風頭痛)
|
|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독오운유(生禿烏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아제창(小兒諸瘡)
|
|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
실혈현훈(失血眩暈)
|
|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
생지황탕(生地黃湯)[2] /
태열(胎熱)
|
|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상소(上消)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1] /
면종(面腫)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난현풍(爛弦風)
, 도첩권모(倒睫拳毛)
|
|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
|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
|
선화산(蟬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예막(翳膜)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성성산(惺惺散) /
상풍발열(傷風發熱)
, 번갈(煩渴)
, 담수(痰嗽)
|
|
성유탕(聖愈湯) /
옹저(癰疽)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풍열(風熱)
|
|
세간산(洗肝散) /
간실(肝實)
|
|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
|
소궁황탕(小芎黃湯) /
추축(抽搐)
, 파상풍(破傷風)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
|
소속명탕(小續命湯) /
인사불성(人事不省)
, 탄탄(癱瘓)
, 졸중풍(卒中風)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소풍산(消風散)[1] /
부인혈풍(婦人血風)
, 두풍(頭風)
|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
소풍탕(疎風湯) /
수족불인(手足不仁)
, 풍중부(風中腑)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
|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
|
속명자산(續命煮散)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
|
승마산(升麻散) /
구미(口糜)
|
|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
|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面熱)
|
|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시호방귀탕(柴胡防歸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
장학(瘴瘧)
, 열학(熱瘧)
|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
|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
|
신공산(神功散) /
두출과밀(痘出過密)
|
|
신궁도수환(神芎導水丸) /
정수(停水)
, 노채(勞瘵)
|
|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1] /
혈산(血疝)
|
|
신성대침산(神聖代鍼散)[2] /
산통(疝痛)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
, 상한양감(傷寒兩感)
|
|
신출산(神朮散)[2] /
산람장기(山嵐瘴氣)
|
|
신출산(神朮散)[3] /
풍수(風嗽)
|
|
십미궁소산(十味芎蘇散) /
온역(瘟疫)
|
|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
허로(虛勞)
|
|
십선산(十宣散) /
옹저(癰疽)
|
|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
|
십전단(十全丹) /
무고감(無辜疳)
, 정해감(丁奚疳)
|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자한(自汗)
|
|
쌍합탕(雙合湯) /
마목(麻木)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쌍화탕(雙和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안영산(安榮散) /
자림(子淋)
|
|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
|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
|
안태산(安胎散)[1] /
하혈(下血)
, 태동불안(胎動不安)
|
|
안태산(安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안태음(安胎飮) /
태동불안(胎動不安)
|
|
양간환(養肝丸) /
임신목병(妊娠目病)
, 내장(內障)
|
|
양심탕(養心湯) /
경계(驚悸)
, 소수(少睡)
|
|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
양폐산(羊肺散) /
비치(鼻痔)
|
|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
|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조잡(嘈雜)
|
|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
|
양혈음(凉血飮)[1] /
치루(痔瘻)
|
|
양혈음(凉血飮)[3] /
혈열생창(血熱生瘡)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3]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양혈청심탕(養血淸心湯) /
전광(癲狂)
|
|
어풍단(禦風丹)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반신불수(半身不遂)
|
|
여성병자(如聖餠子) /
정두통(正頭痛)
|
|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목설(木舌)
, 중설(重舌)
|
|
연교산(連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
|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
|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
|
영양각탕(羚羊角湯)[1] /
근비(筋痺)
|
|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
|
영폐탕(寧肺湯)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
|
오미안태환(五味安胎丸) /
반산(半産)
|
|
오사산(烏蛇散) /
파상풍(破傷風)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1] /
일체풍질(一切風疾)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2] /
근맥구련(筋脈拘攣)
, 유주(流注)
|
|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
|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옥설탕(沃雪湯)[2] /
사시상한(四時傷寒)
|
|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
|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
|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
|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
, 풍치(風齒)
|
|
옥촉산(玉燭散)[1] /
월경불통(月經不通)
, 징가(癥瘕)
|
|
옥촉산(玉燭散)[2] /
변옹(便癰)
|
|
온경탕(溫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온분(溫粉) /
자한(自汗)
|
|
온청음(溫淸飮) /
오색대하(五色帶下)
|
|
온풍산(溫風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
, 감루(疳瘻)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용뇌고(龍腦膏)[3] /
단유아(單乳蛾)
, 후비(喉痺)
, 쌍유아(雙乳蛾)
|
|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월국환(越麴丸) /
울증(鬱證)
|
|
위풍탕(胃風湯) /
풍설(風泄)
, 습설(濕泄)
|
|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
|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
|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
역절풍(歷節風)
|
|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역절풍(歷節風)
|
|
육성산(六聖散) /
정두통(正頭痛)
, 편두통(偏頭痛)
|
|
육울탕(六鬱湯)[1] /
육울(六鬱)
|
|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
|
육합탕(六合湯) /
혈폐(血閉)
|
|
육혼단(育魂丹) /
정충(怔忡)
, 전간(癲癎)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음허생내열탕(陰虛生內熱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1] /
노수(勞嗽)
|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
|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탄탄(癱瘓)
|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
정두통(正頭痛)
|
|
일청음(一淸飮) /
황달(黃疸)
|
|
입응산(立應散)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소음(紫蘇飮) /
자현(子懸)
, 난산(難産)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내장(腎虛內障)
|
|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
|
자음건비탕(滋陰健脾湯) /
조잡(嘈雜)
, 혈허현훈(血虛眩暈)
|
|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
|
자혈탕(滋血湯) /
허로(虛勞)
|
|
저포탕(猪脬湯) /
산후유뇨(産後遺尿)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
|
접골단(接骨丹) /
골절(骨折)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
|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
|
정양탕(正陽湯) /
요수통(腰脽痛)
, 황달(黃疸)
, 목적(目赤)
, 기울(氣鬱)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
예막(翳膜)
, 청맹(靑盲)
|
|
정풍병자(定風餠子)[1]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정풍병자(定風餠子)[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 /
백대(白帶)
, 붕루(崩漏)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조경산(調經散)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
|
조경탕(調經湯) /
축혈(畜血)
|
|
조도음(調導飮) /
산전후대변불통(産前後大便不通)
|
|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
|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
|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
|
주귀음(酒歸飮) /
나두창(癩頭瘡)
|
|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
, 한창(寒脹)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
|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
|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
|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
|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
|
진간환(鎭肝丸) /
급경풍(急驚風)
|
|
진교음자(秦艽飮子) /
여로달(女勞疸)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
, 현벽(痃癖)
|
|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
|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
|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
|
창출산(蒼朮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
창포환(菖蒲丸) /
어지(語遲)
|
|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
정두통(正頭痛)
, 편두통(偏頭痛)
|
|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
착비(着痺)
|
|
천궁산(川芎散)[1] /
풍훈(風暈)
|
|
천궁산(川芎散)[2] /
두목불청(頭目不淸)
, 현훈(眩暈)
|
|
천궁산(川芎散)[3] /
편두통(偏頭痛)
|
|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
|
천궁환(川芎丸) /
두목불청(頭目不淸)
|
|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
|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천초산(川椒散) /
비구(鼻鼽)
|
|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청간탕(淸肝湯) /
간허노화(肝虛怒火)
|
|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
|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월경통(月經痛)
|
|
청공고(淸空膏) /
습열두통(濕熱頭痛)
|
|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
|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청백산(淸白散) /
백대(白帶)
|
|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두면창(頭面瘡)
, 절풍(癤風)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
|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두목불청(頭目不淸)
|
|
청신해어탕(淸神解語湯) /
중풍(中風)
, 어삽(語澁)
|
|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
|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창양양증(瘡瘍陽證)
|
|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변혈(便血)
, 요혈(尿血)
|
|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
|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
위완통(胃脘痛)
|
|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
|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
|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음허화동(陰虛火動)
, 후옹(喉癰)
|
|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비사(鼻齄)
, 주사비(酒齄鼻)
|
|
청혼산(淸魂散)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허화상염(虛火上炎)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청훈화담탕(淸暈化痰湯) /
담훈(痰暈)
|
|
초과음(草果飮) /
한학(寒瘧)
|
|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
|
초자삼릉환(醋煮三菱丸) /
혈고(血蠱)
|
|
총백산(蔥白散) /
사시상한(四時傷寒)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추풍산(追風散)[1] /
정두풍(正頭風)
, 편두풍(偏頭風)
|
|
축비통천산(縮鼻通天散) /
졸중풍(卒中風)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1] /
개선(疥癬)
|
|
치번화창일방(治飜花瘡一方) /
번화창(飜花瘡)
|
|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
|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
습열요통(濕熱腰痛)
|
|
칠생환(七生丸) /
두풍(頭風)
|
|
칠성환(七聖丸)[1]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징가(癥瘕)
, 월경부조(月經不調)
, 골증(骨蒸)
|
|
칠진산(七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
|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옹저(癰疽)
|
|
태양단(太陽丹) /
뇌한(腦寒)
, 뇌풍(腦風)
|
|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
|
통기구풍탕(通氣驅風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언어건삽(言語蹇澁)
|
|
통기산(通氣散) /
대두온(大頭瘟)
|
|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통유탕(通乳湯) /
유즙삽소(乳汁澁少)
|
|
통정산(通頂散) /
인사불성(人事不省)
, 졸중풍(卒中風)
|
|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仁)
|
|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
|
팔물탕(八物湯) /
기혈양허(氣血兩虛)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팔진산(八珍散)[2] /
산후불어(産後不語)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
붕루(崩漏)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적심통(積心痛)
|
|
향갈탕(香葛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
|
향부산(香附散)[2] /
장풍(腸風)
|
|
향부환(香附丸) /
식적수(食積嗽)
|
|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
|
혈풍탕(血風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
|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
|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2] /
포랭무자(胞冷無子)
|
|
화닉환(化䘌丸) /
폐감(肺疳)
, 감닉(疳䘌)
|
|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
|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
|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
|
활락탕(活絡湯) /
견비통(肩臂痛)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
|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
|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
|
황련보장탕(黃連補腸湯) /
한리(寒痢)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황룡탕(黃龍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
|
황우뇌수(黃牛腦髓) /
편두통(偏頭痛)
, 정두통(正頭痛)
|
|
황제도용금면방(皇帝塗容金面方) /
면상잡병(面上雜病)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
|
후감리환(後坎離丸) /
유정(遺精)
, 조열(潮熱)
, 담수(痰嗽)
, 음허화동(陰虛火動)
|
|
흑룡단(黑龍丹)[1] /
사태불하(死胎不下)
, 난산(難産)
|
|
흑룡단(黑龍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
, 태의불하(胎衣不下)
, 난산(難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