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경이

 익생양술에서 "질경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차전엽(車前葉)/질경이 잎"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차전자(車前子)/질경이 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차전초(車前草)/질경이"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6~9월
10~5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들, 빈터, 길가, 풀밭, 인가 주변 성미 차며, 달고 짜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온포기ㆍ씨 4~8g
약효 온포기ㆍ씨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왕질경이ㆍ털질경이
뿌리에서 뭉쳐나와 비스듬히 퍼진다. 잎몸은 길이 4~15cm, 나비 3~8cm인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평행맥 5개가 뚜렷하게 나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개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며 밑 부분이 넓어져 서로 감싼다.
6~8월에 하얀 잔꽃들이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위쪽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려 핀다. 꽃턱잎은 좁은 달걀꼴이고 꽃받침보다 짧으며 대가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거꿀달걀꼴을 닮은 타원형이며 끝이 둥글고 흰색의 막질이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이고 꽃부리 밖으로 길게 나온다.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상위이다.
열매
10월경에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긴 방추형의 삭과를 맺는다. 열매가 익으면 가운데가 사발 뚜껑이 열리듯 옆으로 갈라지면서 뚜껑이 떨어져 나가고 6~8개의 검은 씨가 나온다. 씨의 길이는 2mm 정도이다.
특징 및 사용
길빵귀ㆍ길장구ㆍ배부장이ㆍ베짜개ㆍ배합조개ㆍ부이(芣苢)ㆍ차과로초(車過路草)ㆍ차전초(車前草)라고도 한다. 생명력이 매우 강해 차 바퀴나 사람의 발에 짓밟혀도 다시 살아난다 하여 질긴 목숨이라는 뜻에서 질경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차전초는 수레바퀴 자국 속에서도 강인하게 번식한다 하여 붙은 이름이며, <본초강목>에서는 이 풀이 소 발자국에서 나기 때문에 차전채(車前菜)라 이름하였다. 또 조개를 닮았다 하여 배합조개ㆍ뱀조개씨로 불리며, 개구리가 까무러쳤을 때 질경이 잎을 덮어 두면 다시 살아나 도망쳤기 때문에 개구리잎이라는 이름도 있다. 굵은 국수처럼 생긴 뿌리가 지면 바로 밑을 기면서 자란다. 줄기가 없으며 민들레처럼 뿌리에서 바로 잎과 꽃줄기가 자란다. 식용ㆍ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는 봄에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다. 온포기를 차전초, 씨를 차전자(車前子)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질경이는 예로부터 만병통치약으로 불릴 정도로 활용 범위가 넓고 약효도 뛰어난 식물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생즙을 내서 쓴다. 각종 혈증에 즙을 내어 5~6회 복용한다.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비뇨기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차전엽(車前葉) / 질경이 잎
라틴명 Plantaginis Folium
약재의 효능 청열이뇨(淸熱利尿)  (열기를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이를 통해 열기를 빼내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통오림(通五淋)  (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제소충(除小蟲)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소장(小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한(寒)
주의사항 허활정기불고자(虛滑精氣不固者)는 쓰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청량구고산(淸凉救苦散) /  대두온(大頭瘟)
차전자(車前子) / 질경이 씨
라틴명 Plantaginis Semen
약재의 효능 청간풍열(淸肝風熱)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양폐(養肺)  (윤폐(潤肺)와 같은 것으로 폐(肺)를 윤택(潤澤)하게 하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삼습통림(渗濕通淋)  (습사(濕邪)를 완만하게 소변으로 빼내고 임병(淋病)을 낮게하는 효능임)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하태(下胎)  (출산을 돕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소장(小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미한(微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내상노권(內傷勞倦), 양기허함(陽氣虛陷), 신기허손자(腎氣虛損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Plantaginis Semen is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known hypersensitivity or allergy to the plant, faecal impaction or intestinal obstruction, diabetes mellitus where insulin adjustment is difficult 1).
Plantaginis Semen products should always be taken with sufficient amounts of liquid, and at least half an hour after other medications to prevent delayed absorption of the latter. If bleeding or no response occurs after ingesting the drug, or if abdominal pain occurs 48 hours after treatment, treatment should be stopped and medical advice sought. If diarrhoea persists longer than 3 or 4 days, medical attention should be sought 2).
Bulking agents have been reported to diminish the absorption of some minerals, vitamin B12, cardiac glycosides, and coumarine derivatives 8, 9, 10). The co-administration of Plantaginis Semen with lithium salts has been reported to reduce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he lithium salts and may inhibit their absorption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3). Plantaginis Semen has also been reported to decrease both the rate and extent of carbamazepine absorption, inducing subclinical levels of the drug 4). Therefore, ingestion of lithium salts or carbamazepine and Plantaginis Semen should be separated in time as far as possible 4). Individual monitoring of the plasma levels of the drug in patients taking Plantaginis Semen products is also recommended. Insulin-dependent diabetic people may require less insulin 1).
Sudden increases in dietary fibre may cause temporary gas and bloating. These side-effects may be reduced by gradually increasing fibre intake, starting at one dose per day and gradually increasing to three doses per day 2). Occasional flatulence and bloating may be reduced by decreasing the amount of Plantaginis Semen taken for a few days 2).
Allergic reactions to Plantaginis Semen in response to ingestion or inhalation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after previous occupational exposure to these products 5. 6, 7). These reactions range from urticarial rashes to anaphylactic reactions(rare). One case of fatal bronchospasm has been reported in Plantago-sensitive patient with asthma 5).
1) Bradley PR, ed. British herbal compendium, vol 1. Bournemouth, British Herbal Medicine Association, 1983;199-203.
2) Physicians'desk reference, 45th ed. Montvale, NJ, Medical Economics Company, 1991;1740-1741.
3) Pearlman BB. Interaction between lithium salts and ispaghula husks. Lancet, 1990, 335-416.
4) Etman MA. Effect of a bulk forming laxative on the bioavailability of carbamazepine in man. Drug development and industrial pharmacy, 1995, 21;1901-1906.
5) Hubert DC et al., Fatal bronchospasm after oral ingestion of ispaghula.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1995, 71;305-306.
6) Freeman GL. Psyllium hypersensitibity. Annals of allergy, 1994, 73;490-492.
7) Knutson TW et al. Intestinal reactivity in allergic and nonallergic patients; an approach to determine the complexity of the mucosal reactio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93, 91;553-559.
8) Gattuso JM, Kamm MA. Adverse effects of drugs used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and diarrhea. Drug safety, 1994, 10;47-65.
9) Haensel R et al., eds.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 6, 5th ed. Berlin, Springer-Verlag, 1994.
10) Drews L, Kies C, Fox HM. Effect of dietary fiber on copper, zinc, and magnesium utilization by aldolescent boy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981, 32;1893-1897.
약재사용처방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신허부종(腎虛浮腫)수종(水腫)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규자탕(葵子湯) /  소변불통(小便不通)방광실열(膀胱實熱)
금황탕(金黃湯) /  혈림(血淋)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예막(翳膜)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마풍환(磨風丸) /  대풍창(大風瘡)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밀몽화산(密蒙花散)[2]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백출안위단(白朮安胃丹) /  설리(泄痢)농혈리(膿血痢)
보간산(補肝散)[1] /  내장(內障)
보신환(補腎丸)[2] /  안목혼암(眼目昏暗)내장(內障)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청맹(靑盲)내장(內障)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삼산탕(三疝湯) /  퇴산(㿉疝)방광기(膀胱氣)
서각산(犀角散) /  추정안(墜睛眼)
서각음(犀角飮) /  황액상충(黃液上衝)
소풍순기원(疏風順氣元)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소하병(消河餠) /  수종(水腫)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숙지황환(熟地黃丸) /  안화(眼花)
승명탕(升明湯) /  혈일두통(血溢頭痛)열울(熱鬱)해역(咳逆)
양간환(養肝丸) /  내장(內障)임신목병(妊娠目病)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오자연종환(五子衍宗丸) /  무사(無嗣)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부인음정(婦人陰挺)음균(陰菌)근산(筋疝)
저령탕(猪苓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열결(熱結)
주경원(駐景元) /  간신음허(肝腎陰虛)흑화(黑花)예장(翳障)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차전산(車前散) /  혈관동인(血灌瞳仁)예장(翳障)
차전자(車前子)[2] /  설사(泄瀉)
차전자(車前子)[3] /  난산(難産)횡산(橫産)역산(逆産)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  격소(膈消)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통간산(通肝散) /  빙예(氷翳)
통령산(通笭散)[1] /  서설(暑泄)
통령산(通笭散)[2] /  서열번갈(暑熱煩渴)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백탁(白濁)유정(遺精)경계(驚悸)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활석산(滑石散)[1] /  포전(胞轉)
황련복령탕(黃連茯苓湯) /  음궐(陰厥)번조(煩躁)신열(身熱)해역상기(咳逆上氣)
차전초(車前草) / 질경이
라틴명 Plantaginis Herba
약재의 효능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보오장(補五臟)  (오장(五臟)을 보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오림(通五淋)  (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제소충(除小蟲)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소장(小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한(寒)
약전기재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약재사용처방 차전초(車前草)[1] /  육혈(衄血)요혈(尿血)토혈(吐血)
차전초(車前草)[2] /  사석림(沙石淋)융폐(癃閉)
차전초(車前草)[3] /  열사(熱瀉)
차전초(車前草)[4] /  장독(臟毒)
차전초(車前草)[5] /  황달(黃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