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arthami Flos |
약재의 효능 |
활혈통경(活血通經)
(이혈법(理血法)의 하나임.)
|
|
거어지통(去瘀止痛)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
|
이수소종(利水消腫)
(이수(利水)하여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
|
해고독(解蠱毒)
(고독(蠱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생신혈(生新血)
(혈(血)을 새롭게 생기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심(心)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임신부는 신중하게 쓸 것. |
독성 |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diseases or peptic ulcers 1).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
약재사용처방 |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
|
계지홍화탕(桂枝紅花湯) /
열결흉(熱結胸)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교태환(交泰丸) /
조잡(嘈雜)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당귀수산(當歸鬚散) /
혈결흉(血結胸)
, 타박상(打撲傷)
|
|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
|
도경환(導經丸) /
복통(腹痛)
, 요통(腰痛)
, 월폐(月閉)
|
|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
, 농이(膿耳)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안릉긴급(眼楞緊急)
, 도첩권모(倒睫拳毛)
|
|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심하비만(心下痞滿)
, 상식(傷食)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臂癰)
|
|
별갑환(鱉甲丸) /
해학(痎瘧)
, 학모(瘧母)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2] /
노권(勞倦)
|
|
복령탕(茯苓湯)[2]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복원활혈탕(復元活血湯) /
낙상(落傷)
|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
|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
|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
|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
|
수념산(手捻散) /
복통(腹痛)
, 요통(腰痛)
|
|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
|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
|
쌍합탕(雙合湯) /
마목(麻木)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
|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
, 해학(痎瘧)
|
|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
|
입효산(立效散)[3] /
붕루(崩漏)
|
|
자윤탕(滋潤湯) /
풍중장(風中臟)
, 이변폐삽(二便閉澁)
|
|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위탕(調衛湯) /
자한(自汗)
|
|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현벽(痃癖)
, 징가(癥瘕)
|
|
진통산(趁痛散) /
통풍(痛風)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
|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
|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슬통(膝痛)
, 척감(脊疳)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
|
청양탕(淸陽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
|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주사비(酒齄鼻)
, 비사(鼻齄)
|
|
청혼탕(淸魂湯) /
음위(陰痿)
, 음랭(陰冷)
|
|
초분산(椒粉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치혈훈일방(治血暈一方)[3] /
혈훈(血暈)
|
|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징가(癥瘕)
, 월경부조(月經不調)
, 골증(骨蒸)
|
|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통경환(通經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혈가(血瘕)
|
|
통도산(通導散) /
손상어혈(損傷瘀血)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통유탕(通幽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현호색환(玄胡索丸) /
혈심통(血心痛)
|
|
홍화(紅花) /
산후혈훈(産後血暈)
|
|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화괴환(化塊丸) /
비괴(痞塊)
, 혈괴(血塊)
|
|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
|
화어산(化瘀散) /
장창(杖瘡)
|
|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
|
화혈윤장탕(和血潤腸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
|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
|
황백고(黃柏膏) /
두창입안(痘瘡入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