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kebiae Caulis |
약재의 효능 |
강심화(降心火)
(심화(心火)를 내리는 효능임)
|
|
청폐열(淸肺熱)
(폐열을 식히는 효능임)
|
|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소장(小腸)
, 심(心)
, 폐(肺)
|
성미 |
고(苦)
, 양(凉)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주의사항 |
줄기를 가로 자른 것.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
|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
|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
|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
|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
퇴산(㿉疝)
|
|
가자산(訶子散)[1]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
|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
|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
|
궁지산(芎芷散) /
풍롱(風聾)
, 이명(耳鳴)
|
|
규자탕(葵子湯) /
방광실열(膀胱實熱)
, 소변불통(小便不通)
|
|
귤핵환(橘核丸) /
난종(卵腫)
, 퇴산(㿉疝)
|
|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
|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
, 심흉비통(心胸痞痛)
|
|
도적산(導赤散)[1] /
번갈(煩渴)
, 경계(驚悸)
, 심열(心熱)
|
|
도적산(導赤散)[2] /
소장열(小腸熱)
, 소변불리(小便不利)
|
|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
|
도적탕(導赤湯) /
소변백탁(小便白濁)
|
|
마린화환(馬藺花丸) /
음란편추(陰卵偏墜)
, 퇴산(㿉疝)
|
|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
|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
|
만전목통산(萬全木通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
목통(木通)[2] /
오림(五淋)
, 소변삽통(小便澁痛)
|
|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
, 종창(腫脹)
|
|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
|
백합단(百合丹) /
귀흉(龜胸)
|
|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수종(水腫)
|
|
복총탕(復聰湯)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사성산(四聖散)[2] /
두출불쾌(痘出不快)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삼백산(三白散) /
퇴산(㿉疝)
|
|
삼출음우방(蔘朮飮又方) /
전포(轉胞)
|
|
삼화탕(三和湯)[3]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기창(氣脹)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상백피산(桑白皮散) /
각기(脚氣)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부탕(生附湯)[1] /
냉림(冷淋)
|
|
서각음자(犀角飮子) /
농이(膿耳)
, 이롱(耳聾)
|
|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
|
석고인진산(石膏茵蔯散) /
황달(黃疸)
|
|
석위산(石韋散) /
임(淋)
|
|
선기산(宣氣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선유량탕(仙遺粮湯) /
경분독(輕粉毒)
, 양매창(楊梅瘡)
|
|
선유량환(仙遺粮丸) /
양매창(楊梅瘡)
|
|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오림(五淋)
|
|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
|
소종유량탕(消腫遺粮湯) /
양매창(楊梅瘡)
|
|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
, 후류(喉瘤)
|
|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
|
신기산(神奇散)[1]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신이고(辛荑膏) /
비치(鼻痔)
|
|
신통음(神通飮) /
역절풍(歷節風)
|
|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심열(心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안영산(安榮散) /
자림(子淋)
|
|
양폐산(羊肺散) /
비치(鼻痔)
|
|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
|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오미백출산(五味白朮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
|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2] /
부인음정(婦人陰挺)
, 근산(筋疝)
, 음균(陰菌)
|
|
우방자탕(牛蒡子湯) /
아관긴급(牙關緊急)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우슬탕(牛膝湯) /
포의불하(胞衣不下)
|
|
유백피탕(楡白皮湯) /
포건불하(胞乾不下)
, 난산(難産)
|
|
이열탕(移熱湯) /
구창(口瘡)
, 구미(口糜)
|
|
인삼선태산(人蔘蟬蛻散) /
두창요삽(痘瘡尿澁)
|
|
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
온황(瘟黃)
|
|
인진오수유탕(茵蔯吳茱萸湯) /
음황(陰黃)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 /
두창요삽(痘瘡尿澁)
|
|
저령탕(猪苓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 열결(熱結)
|
|
적복령탕(赤茯苓湯) /
소장열(小腸熱)
|
|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
복창(腹脹)
, 수종(水腫)
|
|
정력환(葶藶丸)[2] /
천촉(喘促)
, 면목부종(面目浮腫)
|
|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
|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
, 목적종통(目赤腫痛)
, 적예(赤翳)
|
|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
|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
|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
|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
|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
|
청음산(淸音散) /
어성중탁(語聲重濁)
|
|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
|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충한산(衝寒散) /
소아설사(小兒泄瀉)
, 고냉(痼冷)
|
|
치경중양통일방(治莖中痒痛一方) /
경중통(莖中痛)
|
|
쾌반산(快斑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
|
택사산(澤瀉散) /
수종(水腫)
|
|
택사탕(澤瀉湯)[2] /
자림(子淋)
|
|
통격환(通膈丸)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습열(濕熱)
|
|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
통관환(通關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
|
통도산(通導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손상어혈(損傷瘀血)
|
|
통령산(通笭散)[1] /
서설(暑泄)
|
|
통령산(通笭散)[2] /
서열번갈(暑熱煩渴)
|
|
통령산(通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
|
통심음(通心飮) /
선라풍(旋螺風)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
|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
|
필효산(必效散)[1] /
임(淋)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
|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
|
호박산(琥珀散)[2] /
사림(沙淋)
, 석림(石淋)
|
|
호박산(琥珀散)[3] /
결핵(結核)
, 나력(瘰癧)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
, 중설(重舌)
|
|
활석산(滑石散)[1] /
포전(胞轉)
|
|
활석산(滑石散)[2] /
석림(石淋)
, 사림(沙淋)
|
|
황금탕(黃芩湯)[3] /
상초열(上焦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