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애엽(陳艾葉) / 황해쑥

 익생양술에서 "황해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진애엽(陳艾葉) / 황해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주로 경기ㆍ황해ㆍ평남) 채취기간 5~6월(꽃피기 전)
45~12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풀밭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분주ㆍ꺾꽂이 1회사용량 4~6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쑥ㆍ약쑥의 온포기
어긋나며 질이 두껍다. 밑 부분의 잎은 길이 6~8.5cm, 나비 4.5~5cm로서 1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2쌍이며 다시 깃꼴로 갈라지고 끝이 둔하다. 앞면에 흰 점이 많으며 뒷면은 흰 솜털로 덮여 있다. 위쪽의 잎은 작아져서 3개로 갈라지거나 밋밋한데 긴 타원형 또는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잎자루는 없다.
7~8월에 길이 3mm, 지름 2~2.5mm인 연한 갈색의 두상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원주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두상화 중심부의 꽃은 양성화이고 둘레에는 암꽃이 배열한다. 꽃차례받침에도 털이 많다. 꽃턱잎 조각은 4~5줄로 배열하는데 바깥 조각은 길이 2mm의 달걀꼴이다.
열매
9월에 긴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양 끝이 좁고 털이 없다.
특징 및 사용
황해도 신천ㆍ서흥에서 자라는 쑥이라 하여 황해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어 번식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홈줄이 나 있으며 위에서 가지를 치는데 백색의 짧은 솜털이 빽빽이 난다. 황해쑥은 참쑥에 비해 잎이 1회 깃꼴로 갈라지고 모양은 약간 정삼각형이다. 또한 갈라진 조각은 서로 접근해 나며 종종 얕게 다시 깃꼴로 갈라진다. 열매를 애실(艾實)이라 한다. 방향성이 있다. 사방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을 식용한다. 온포기에서 방향유를 추출하고 잎으로 뜸에 쓰는 쑥솜을 만든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 질환과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비장과 신장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진애엽(陳艾葉) / 황해쑥
라틴명 Artemisiae Argyi Folium Altum
약재의 효능 이기혈(理氣血)  (기(氣)와 혈(血)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이음기(利陰氣)  (음기(陰氣)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축랭(逐冷)  (냉기(冷氣)를 쫓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난자궁(暖子宮)  (자궁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살회충(殺蛔蟲)  (회충(蛔蟲)을 없애는 효능임)
구백병(灸百病)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고신(苦辛)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건애탕(乾艾湯)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월수부조(月水不調)무자(無子)
봉제애(封臍艾) /  제복냉통(臍腹冷痛)
조근환(皂根丸) /  완선(頑癬)양매창(楊梅瘡)
진애엽(陳艾葉) /  졸심통(卒心痛)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2] /  개선(疥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