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stragali Radix |
약재의 효능 |
익위(益衛)
(위기(衛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고표(固表)
(위기(衛氣)를 튼튼하게 하는 치료방법임.)
|
|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
|
사심(瀉心)
(사화통강법(瀉火通降法)에 속함. 심(心)이나 위(胃)의 화열(火熱)을 제거하는 것.)
|
|
조기(助氣)
(기(氣)가 잘 운행되도록 도와주는 효능임)
|
|
익혈(益血)
(혈(血)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장근(壯筋)
(근(筋)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탁독(托毒)
(독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효능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축악혈(逐惡血)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실표조기(實表助氣)
(위기(衛氣)를 증강시키고 기(氣)의 흐름을 좋게 하는 효능임)
|
|
사화(瀉火)
(청법(淸法)에 속함. ‘화(火)’는 열(熱)이 심한 것으로, 사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청열(淸熱)하는 약물보다는 맹렬하며, 화는 상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화할 때는 반드시 하강하거나 사하(瀉下)하는 치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단, 화증에는 허실의 구분이 있어, 실화(實火)인 경우는 사열(瀉熱)하고, 허화(虛火)인 경우는 보수(補水)하는데, 사화는 실열화증(實熱火證)에 알맞은 치법으로 항상 청열(淸熱)과 사하(瀉下)하는 약물을 조합하여 그 열을 없애는, 즉.)
|
작용부위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주피를 벗긴 뿌리 |
독성 |
LD50 : > 100g/Kg (mice, p.o) 1). 1) Chang HM, But PPH, eds.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vol. 2.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1987.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
|
가감복령환(加減茯苓丸) /
비통(臂痛)
|
|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
구토(嘔吐)
|
|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
|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치(痔)
, 장풍(腸風)
|
|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간비노울(肝脾怒鬱)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
|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
|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허로(虛勞)
|
|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癰疽)
|
|
가미익기탕(加味益氣湯) /
상한(傷寒)
|
|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기허두통(氣虛頭痛)
|
|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
|
강심탕(降心湯) /
격소(膈消)
|
|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1] /
뇌풍(腦風)
, 궐역두통(厥逆頭痛)
, 치통(齒痛)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
, 풍중장(風中臟)
|
|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
|
겁로산(劫勞散)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
견비탕(蠲痺湯) /
냉비(冷痺)
|
|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
|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학슬풍(鶴膝風)
, 이후각통(痢後脚痛)
|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계지황기탕(桂枝黃芪湯) /
황한(黃汗)
|
|
고진음자(固眞飮子) /
음양구허(陰陽俱虛)
, 오심번열(五心煩熱)
|
|
고진탕(固眞湯) /
두창설사(痘瘡泄瀉)
|
|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
|
관음산(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
|
교애탕(膠艾湯) /
태루(胎漏)
|
|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적탁(赤濁)
, 허로(虛勞)
, 정충(怔忡)
, 유정(遺精)
|
|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소관반산(素慣半産)
, 태루(胎漏)
|
|
궁귀환(芎歸丸)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
|
귀비탕(歸脾湯) /
정충(怔忡)
, 건망(健忘)
|
|
금은백지산(金銀白芷散) /
정저(疔疽)
|
|
금화산(金華散)[2] /
두후옹절(痘後癰癤)
|
|
기부탕(耆附湯) /
기허자한(氣虛自汗)
|
|
기진탕(芪蔯湯) /
황한(黃汗)
|
|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
|
내색산(內塞散) /
감창(疳瘡)
, 누창(瘻瘡)
|
|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
, 인사불성(人事不省)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두옹(肚癰)
|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
|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
|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
|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유옹(乳癰)
, 악창(惡瘡)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노성고(露星膏) /
척감(脊疳)
|
|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양허(陽虛)
, 허손(虛損)
|
|
녹용환(鹿茸丸) /
소갈(消渴)
, 신허(腎虛)
|
|
단간단(斷癎丹) /
전간(癲癎)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2] /
혈허발열(血虛發熱)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3] /
혈허발열(血虛發熱)
|
|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음허화왕(陰虛火旺)
, 도한(盜汗)
|
|
당귀음자(當歸飮子) /
악창(惡瘡)
, 개선(疥癬)
|
|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1] /
도한(盜汗)
, 기혈양허(氣血兩虛)
|
|
당귀황기음(當歸黃芪飮) /
산후음탈(産後陰脫)
|
|
대건중탕(大建中湯) /
소복급통(小腹急痛)
, 허로(虛勞)
|
|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
, 염창(臁瘡)
|
|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鶴膝風)
|
|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상한(傷寒)
|
|
도씨재조산(陶氏再造散) /
상한망양(傷寒亡陽)
|
|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
, 농이(膿耳)
|
|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 토혈(吐血)
|
|
마황산(麻黃散)[1] /
역절풍(歷節風)
|
|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
|
만응고(萬應膏)[1] /
열독종(熱毒腫)
, 옹저(癰疽)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모려산(牡蠣散)[1] /
자한(自汗)
|
|
모려산(牡蠣散)[2] /
도한(盜汗)
|
|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
|
문동청폐음(門冬淸肺飮) /
폐위(肺痿)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
|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 /
피수(皮水)
|
|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 /
풍습(風濕)
|
|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臂癰)
|
|
백출방풍탕(白朮防風湯) /
파상풍(破傷風)
|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
|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
|
보기탕(補氣湯) /
기허(氣虛)
, 정충(怔忡)
|
|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
보비탕(補脾湯)[2] /
만경풍(慢驚風)
|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
|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
|
보원탕(保元湯)[1]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2]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3]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4]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5] /
두창자함(痘瘡紫陷)
|
|
보원탕(保元湯)[6]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7]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8] /
두불렴(痘不斂)
|
|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1] /
노권(勞倦)
|
|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2] /
노권(勞倦)
|
|
보진탕(保眞湯) /
유정(遺精)
, 골증(骨蒸)
, 조열(潮熱)
|
|
보폐탕(補肺湯) /
노수(勞嗽)
|
|
보허음(補虛飮) /
담연옹성(痰涎壅盛)
, 기훈(氣暈)
|
|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
|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
|
사생산(四生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음식창(陰蝕瘡)
|
|
사제백출산(四製白朮散) /
도한(盜汗)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
소기(少氣)
, 양허(陽虛)
|
|
삼기보폐탕(蔘芪補肺湯) /
폐옹(肺癰)
|
|
삼기탕(蔘芪湯)[1] /
자한(自汗)
|
|
삼기탕(蔘芪湯)[2] /
도한(盜汗)
|
|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
|
삼기탕(蔘芪湯)[4]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
, 풍비(風痺)
|
|
삼출고(蔘朮膏) /
산후임력(産後淋瀝)
|
|
삼출보비탕(蔘朮補脾湯) /
폐옹(肺癰)
|
|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
열수(熱嗽)
|
|
삼출탕(蔘朮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 식후혼곤(食後昏困)
|
|
삼합탕(三合湯)[2] /
허로(虛勞)
|
|
삼향산(參香散) /
허로이수(虛勞羸瘦)
, 노채(勞瘵)
|
|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상표소산(桑螵蛸散)[2] /
산후임력(産後淋瀝)
, 유뇨(遺尿)
|
|
생숙음자(生熟飮子) /
적리(積痢)
|
|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
|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서점자탕(鼠粘子湯)[2] /
두출과밀(痘出過密)
|
|
성유탕(聖愈湯) /
옹저(癰疽)
|
|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
|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
|
숙지황환(熟地黃丸) /
안화(眼花)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
|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노기상간(怒氣傷肝)
, 전광(癲狂)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내상(內傷)
, 중기부족(中氣不足)
, 노권(勞倦)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배옹(背癰)
, 오발옹저(五發癰疽)
, 내저(內疽)
|
|
승양익위탕(升陽益胃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
|
시제백출산(是齊白朮散)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신이고(神異膏)[3] /
옹절(癰癤)
|
|
신효탁리산(神效托裏散) /
옹저(癰疽)
|
|
신효황기탕(神效黃芪湯) /
마목(麻木)
|
|
십미향유음(十味香薷飮) /
중갈(中暍)
|
|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
허로(虛勞)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십선산(十宣散) /
옹저(癰疽)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자한(自汗)
|
|
쌍화탕(雙和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
, 경계(驚悸)
|
|
양혈음(凉血飮)[1] /
치루(痔瘻)
|
|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어한탕(禦寒湯) /
비색(鼻塞)
|
|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비색(鼻塞)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오물탕(五物湯) /
혈비(血痺)
|
|
오미자탕(五味子湯)[4]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오향탕(五香湯) /
옹저(癰疽)
|
|
옥병풍산(玉屛風散) /
표허자한(表虛自汗)
|
|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
|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
|
옥천환(玉泉丸) /
소갈(消渴)
|
|
온경익원탕(溫經益元湯) /
상한망양(傷寒亡陽)
|
|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
|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
|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
|
온폐탕(溫肺湯)[1] /
비색(鼻塞)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용뇌계소환(龍腦鷄蘇丸)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
|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위생탕(衛生湯)[1] /
혈휴경폐(血虧經閉)
|
|
위생탕(衛生湯)[3] /
허로(虛勞)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위피환(蝟皮丸) /
치루(痔瘻)
|
|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
|
육종용환(肉蓯蓉丸) /
백음(白淫)
|
|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
|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익기안신탕(益氣安神湯) /
경계(驚悸)
, 다몽(多夢)
|
|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
|
익기총명탕(益氣聰明湯) /
노인안혼(老人眼昏)
|
|
익영탕(益榮湯) /
정충(怔忡)
, 황홀(恍惚)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1] /
붕루(崩漏)
|
|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2] /
내상(內傷)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
, 장벽(腸澼)
|
|
익황산(益黃散)[2] /
만경풍(慢驚風)
|
|
인동탕(忍冬湯)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
|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인삼음(人蔘飮) /
내상발열(內傷發熱)
|
|
인삼익기탕(人蔘益氣湯) /
마목(麻木)
|
|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
폐열(肺熱)
|
|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1] /
소기(少氣)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2] /
잡병대맥(雜病代脈)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3]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자금산(子芩散) /
상초열(上焦熱)
|
|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자완탕(紫菀湯)[1] /
해역상기(咳逆上氣)
, 변혈(便血)
|
|
자혈탕(滋血湯) /
허로(虛勞)
|
|
저포탕(猪脬湯) /
산후유뇨(産後遺尿)
|
|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
|
전홍원(剪紅元)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
|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
|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조근환(皂根丸) /
양매창(楊梅瘡)
, 완선(頑癬)
|
|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
|
조위탕(調衛湯) /
자한(自汗)
|
|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
, 한창(寒脹)
|
|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
|
지모탕(知母湯) /
노수(勞嗽)
|
|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
옹저(癰疽)
|
|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진액단(鎭液丹) /
자한(自汗)
|
|
천문동탕(天門冬湯)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천진원(天眞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
|
청기음(淸氣飮) /
중서(中暑)
|
|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
|
청신감로환(淸神甘露丸) /
허로이수(虛勞羸瘦)
|
|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
격소(膈消)
|
|
청양탕(淸陽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청조탕(淸燥湯) /
탄탄(癱瘓)
, 양각위연(兩脚痿軟)
|
|
청폐생맥음(淸肺生脈飮) /
서열번갈(暑熱煩渴)
|
|
출령탕(朮苓湯)[1] /
허한(虛汗)
|
|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
|
충화순기탕(冲和順氣湯) /
면흑(面黑)
|
|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
내장(內障)
|
|
치폐옹일방(治肺癰一方) /
폐옹(肺癰)
|
|
칠진산(七珍散)[1] /
식상(食傷)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노상(勞傷)
, 허손(虛損)
|
|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
|
탁리산(托裏散) /
옹저(癰疽)
|
|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옹저(癰疽)
|
|
탁리화중탕(托裏和中湯)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
옹저(癰疽)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
|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
견통(肩痛)
, 배통철심(背痛徹心)
|
|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팔진산(八珍散)[1] /
식상(食傷)
|
|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
, 타혈(唾血)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두출과밀(痘出過密)
, 장열(壯熱)
, 성아(聲啞)
|
|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6] /
신수(腎嗽)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구토(嘔吐)
, 상초열(上焦熱)
|
|
화중산(和中散)[1] /
토사(吐瀉)
|
|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
|
황기(黃芪)[2] /
자한(自汗)
|
|
황기(黃芪)[4] /
허로이수(虛勞羸瘦)
|
|
황기(黃芪)[5] /
소갈(消渴)
, 옹저(癰疽)
|
|
황기(黃芪)[6] /
옹저(癰疽)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
, 허로(虛勞)
|
|
황기복신탕(黃芪茯神湯) /
폭음(暴音)
, 울모(鬱冒)
, 심통(心痛)
|
|
황기산(黃芪散) /
누정(漏睛)
|
|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황기육일탕(黃芪六一湯)[1] /
옹저번갈(癰疽煩渴)
|
|
황기육일탕(黃芪六一湯)[2] /
옹저번갈(癰疽煩渴)
|
|
황기익기탕(黃芪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
|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
|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
|
황기작약탕(黃芪芍藥湯) /
산후유뇨(産後遺尿)
|
|
황기탕(黃芪湯)[1] /
소기(少氣)
|
|
황기탕(黃芪湯)[2] /
도한(盜汗)
, 자한(自汗)
|
|
황기탕(黃芪湯)[3]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황기탕(黃芪湯)[4] /
중갈(中暍)
|
|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
|
황기탕(黃芪湯)[6] /
만경풍(慢驚風)
|
|
황기환(黃芪丸) /
이명(耳鳴)
|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
, 마목(麻木)
, 발배(發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