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키 | 30∼40cm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기슭과 들의 양지 | 성미 | 차며,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약간 있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뿌리 5∼8g |
약효 | 뿌리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가는잎할미꽃ㆍ산할미꽃 |
잎
뿌리에서 많은 잎이 무더기로 모여나와 비스듬히 퍼지는데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3~4cm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꼭대기에 달린 조각은 나비 6~8mm이며 끝이 둔하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지만 뒷면에 흰 털이 많이 나 있다.
꽃
4∼5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30~40cm인 꽃줄기가 여러 대 나오고 그 끝에서 한 송이씩 밑을 향해 달려 핀다. 꽃의 색깔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꽃대 위쪽에 달린 작은 꽃턱잎은 3~4개로 갈라지고 꽃자루와 더불어 흰 털이 촘촘히 난다. 6개인 꽃받침 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mm, 나비 12mm 정도이고 겉에 명주실 같은 흰 털이 빽빽이 나 있으나 안쪽에는 없다.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이며 꽃잎은 없다. 수술과 암술은 모두 많으며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
5∼6월에 길이 5mm인 긴 달걀꼴의 수과를 맺는데 공처럼 둥글게 모여 달린다. 열매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암술대에는 길이 4cm 정도의 흰 털이 깃 모양으로 퍼져 빽빽이 달려 있다. 열매 아래쪽에 검은 씨가 붙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노고초(老姑草)ㆍ백두옹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굵고 진한 갈색이다. 전체에 흰 털이 빽빽이 나 있다. 흰 털로 덮인 열매 덩어리가 하얀 머리카락처럼 보이는데다 밑으로 구부러진 꽃대의 모습이 허리가 잔뜩 굽은 할머니를 연상시켜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또한 흰 털이 난 모습이 마치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 같다고 해서 백두옹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할미꽃의 싹은 바람이 있으면 조용하고 바람이 없으면 흔들리는데 이는 사시나무ㆍ독활ㆍ천마와 같다. 화분에 옮겨 심으면 죽는다. 뿌리를 백두옹(白頭翁)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경계ㆍ이비인후과ㆍ순환계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