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shared/blue-arrow.gif)
라틴명 | Cubeb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 |
건위(健胃) (위(胃)의 소화기능을 강하게 하는 방법임) | |
온난비신(溫暖脾腎) (비(脾)와 신(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염발(染髮) (머리카락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향신(香身) | |
산한산결(散寒散結) | |
작용부위 | 방광(膀胱) , 비(脾) , 신(腎) , 위(胃)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미숙과(未熟果) |
독성 | Contraindicated in nephritis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
약재사용처방 | 감응원(感應元)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적백리(赤白痢) |
복양단(復陽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 |
사신환(四神丸)[3] / 한산(寒疝) | |
생위단(生胃丹) / 비위허약(脾胃虛弱) , 불사식(不思食) | |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 , 적리(積痢) | |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십보환(十補丸) / 한산(寒疝) , 음랭(陰冷)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한창(寒脹) , 중만(中滿) | |
청목향원(靑木香元) / 한산(寒疝) | |
치습요통우방(治濕腰痛又方) / 습요통(濕腰痛) | |
필징가원(蓽澄茄元) / 기창(氣脹) , 곡창(穀脹) | |
필징가환(蓽澄茄丸) / 비색(鼻塞) | |
향백원(香白元) / 구토(嘔吐) , 담연옹성(痰涎壅盛)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