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초(通草) / 통탈목
익생양술에서
"통탈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통초(通草) / 통탈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Tetrapanax papyriferus
이명
관장(寬腸)
대목통(大木通)
부지(附支)
오가풍(五加風)
분포 |
제주도, 남부 지방 |
채취기간 |
가을 |
키 |
3~8m |
취급요령 |
고갱이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숲 속의 습한 그늘 |
성미 |
서늘하며, 달다. |
분류 |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ㆍ분주ㆍ씨 |
1회사용량 |
2~3g |
약효 |
나뭇고갱이(2~3년 묵은 나뭇가지의 심)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가지 끝에서 모여나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잎자루의 길이는 50cm 정도이다. 잎몸은 둥글고 막질이며 지름 25~70cm이고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 털로 덮여 있다.
꽃
10월에 흰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촘촘히 달려 핀다. 꽃차례의 지름은 약 45cm이고 꽃차례에 흰 털이 많이 난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ㆍ수술은 각각 4개씩이다.
열매
11~12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땅속줄기가 뻗어 나가며 잘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잘게 갈라지며 마디 같은 잎자루 흔적이 있다. 나무줄기는 단단하지 않으며 속은 희고 빈 곳에 계단 모양의 격막이 있다. 원산지에서는 코르크의 대용품으로 쓰인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산제로 하여 쓸 때는 가루를 콧속에 넣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폐경과 위경에 효험이 있다.
통초(通草) / 통탈목
라틴명 |
Tetrapanacis Medulla |
약재의 효능 |
사폐(瀉肺)
(폐내(肺內)에 쌓인 열을 청사(淸瀉)하는 방법임.)
|
|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
|
청열이뇨(淸熱利尿)
(열기를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이를 통해 열기를 빼내는 효능임)
|
|
삼리설탁(渗利泄濁)
(탁한 것들을 완만하게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효능임)
|
|
소통경락(疏通經絡)
(경락(經絡)의 흐름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최생(催生)
(약으로 산모(産母)의 정기(正氣)를 도와 빨리 분만시키는 방법임.)
|
|
통기하유(通氣下乳)
(기운을 소통시키고 유즙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해제독(解諸毒)
(배 속에 있는 독충(毒蟲)을 치료하는 처방임.)
|
|
이수퇴열(利水退熱)
(소변(小便)을 잘 나가게 하고 열(熱)을 물리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성미 |
감담(甘淡)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허탈자(虛脫者)와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랭(胃冷)
|
|
귤피반하생강탕(橘皮半夏生薑湯) /
위랭(胃冷)
|
|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2] /
상한궐음증(傷寒厥陰證)
|
|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
|
소계음자(小薊飮子)[1] /
요혈(尿血)
|
|
소계음자(小薊飮子)[2] /
혈림(血淋)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
|
저제죽(猪蹄粥) /
유즙불행(乳汁不行)
|
|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
|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
|
통유탕(通乳湯) /
유즙삽소(乳汁澁少)
|
|
통초(通草)[1] /
비달(脾疸)
|
|
통초(通草)[3] /
비단(脾癉)
, 기면(嗜眠)
|
|
통초탕(通草湯)[1] /
오림(五淋)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
|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기영(氣癭)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황련복령탕(黃連茯苓湯) /
음궐(陰厥)
, 번조(煩躁)
, 신열(身熱)
, 해역상기(咳逆上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