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자인(梔子仁) / 치자나무
익생양술에서
"치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치자인(梔子仁) / 치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분포 |
경기도 이남 |
채취기간 |
10월 |
키 |
1~2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밭에 재배 |
성미 |
차며, 쓰다. |
분류 |
상록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 |
1회사용량 |
열매ㆍ잎 4~10g |
약효 |
열매ㆍ잎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마주나거나 3개의 잎이 돌려나는데 길이 3~10cm의 긴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에 윤기가 있다.
꽃
6~7월에 흰색으로 피지만 지기 직전에 노란색으로 변하여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려 있다. 향기가 달콤하다. 꽃받침은 끝이 6~7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길다. 꽃부리도 6~7개로 갈라지는데 질이 두껍다. 수술도 6~7개이다. 꽃봉오리 때는 꽃잎이 비틀려서 덮여 있다.
열매
꽃받침과 더불어 길이 3.5cm 정도인 긴 타원형의 열매가 황홍색으로 9월에 익는다. 세로로 6~7개의 모가 나 있고 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속에 황색의 과육과 더불어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작은 가지에는 어릴 때 먼지 같은 잔털이 나 있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꽃에서 좋은 향기가 나고 열매에는 해가 없으므로 식품 착색료로도 쓴다. 생열매를 산치자(山梔子), 말린 열매를 치자, 잎을 치자엽(梔子葉)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 질환 및 외상ㆍ부종에 효험이 있다.
치자인(梔子仁) / 치자나무 씨
라틴명 |
Gardeniae Semen |
약재의 효능 |
사화(瀉火)
(청법(淸法)에 속함. ‘화(火)’는 열(熱)이 심한 것으로, 사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청열(淸熱)하는 약물보다는 맹렬하며, 화는 상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화할 때는 반드시 하강하거나 사하(瀉下)하는 치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단, 화증에는 허실의 구분이 있어, 실화(實火)인 경우는 사열(瀉熱)하고, 허화(虛火)인 경우는 보수(補水)하는데, 사화는 실열화증(實熱火證)에 알맞은 치법으로 항상 청열(淸熱)과 사하(瀉下)하는 약물을 조합하여 그 열을 없애는, 즉.)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제열울(除熱鬱)
|
|
행결기(行結氣)
|
|
청위혈(淸胃血)
|
|
통소변(通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사심폐삼초화(瀉心肺三焦火)
|
작용부위 |
삼초(三焦)
, 심(心)
, 폐(肺)
|
성미 |
고(苦)
, 한(寒)
|
독성 |
It can inhibit gastric secretion and mobility.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
|
곡달환(穀疸丸) /
곡달(穀疸)
|
|
궁서원(芎犀元) /
편두통(偏頭痛)
|
|
귤핵산(橘核散) /
퇴산(㿉疝)
|
|
도씨인진탕(陶氏茵蔯湯) /
황달(黃疸)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도적탕(導赤湯) /
소변백탁(小便白濁)
|
|
보영탕(補榮湯) /
실혈(失血)
|
|
삼호삼백탕(蔘胡三白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
|
석고인진산(石膏茵蔯散) /
황달(黃疸)
|
|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오림(五淋)
|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발열(發熱)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신효월도산(神效越桃散) /
이질(痢疾)
, 복통(腹痛)
|
|
옥지음자(玉芝飮子) /
구미(口糜)
|
|
요격탕(撩膈湯) /
상한대결흉(傷寒大結胸)
|
|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
|
육울탕(六鬱湯)[1] /
육울(六鬱)
|
|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
|
제림통치약일방(諸淋痛治藥一方) /
임(淋)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
|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
|
치소변적삽방(治小便赤澁方) /
소변적삽(小便赤澁)
|
|
치오림일방(治五淋一方) /
오림(五淋)
|
|
통심음(通心飮) /
선라풍(旋螺風)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내장(內障)
, 산예(散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