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縮砂) / 축사

 동의보감에서 "축사(縮砂) / 축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축사(縮砂) / 축사 과실
라틴명 Amomi Fructus
약재의 효능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성비(醒脾)  (비기(脾氣)가 허한(虛寒)하여 운화기능이 무력해진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임)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행기관중(行氣寬中)  (기(氣)를 소통시키고 중초(中焦)를 뚫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약재사용처방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주수(酒嗽)기천(氣喘)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매핵기(梅核氣)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  식궐(食厥)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5] /  위한구역(胃寒嘔逆)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개금탕(開噤湯) /  금구리(噤口痢)
계비원(啓脾元) /  비위불화(脾胃不和)불능식(不能食)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고본원(固本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고장환(固腸丸)[1] /  설사(泄瀉)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곡신탕(穀神湯) /  불능식(不能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비위허약(脾胃虛弱)구토(嘔吐)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태루(胎漏)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구사탕(驅邪湯)[2] /  자학(子瘧)
국출환(麴朮丸) /  유음(留飮)탄산(呑酸)숙식(宿食)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비괴(痞塊)육취(六聚)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육취(六聚)오적(五積)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오조(惡阻)
금섬산(金蟾散) /  기창(氣脹)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대금음자(對金飮子) /  식상(食傷)주상(酒傷)
대봉수단(大鳳髓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도노산(桃奴散)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고(血蠱)
도노환(桃奴丸) /  월경불통(月經不通)혈창(血脹)
독성산(獨聖散)[3] /  태루(胎漏)태동불안(胎動不安)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목향원(木香元) /  감리(疳痢)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상주(傷酒)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보중탕(保中湯) /  담음구토(痰飮嘔吐)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2] /  담음구토(痰飮嘔吐)
분소탕(分消湯) /  중만(中滿)창만(脹滿)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비원단(秘元丹)[1] /  탈정(脫精)활정(滑精)
비원단(秘元丹)[2] /  소변불금(小便不禁)
비진환(秘眞丸) /  정기불고(精氣不固)
비화음(比和飮) /  구토(嘔吐)
사당원(砂糖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2] /  학질(瘧疾)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삼령연출산(蔘苓蓮朮散) /  허설(虛泄)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  식상(食傷)
삼출산(蔘朮散) /  심위통(心胃痛)
삼향산(參香散) /  허로이수(虛勞羸瘦)노채(勞瘵)
상청원(上淸元)[1] /  구설생창(口舌生瘡)인후종통(咽喉腫痛)
상청원(上淸元)[2] /  상초열(上焦熱)
생위단(生胃丹) /  비위허약(脾胃虛弱)불사식(不思食)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허비(虛痞)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
소갈탕(蘇葛湯) /  반진(斑疹)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식산(消食散) /  식적(食積)
소식환(消食丸) /  숙식(宿食)식적(食積)유적(乳積)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기혈응체(氣血凝滯)식적(食積)담음(痰飮)
소적환(消積丸) /  유식적체(乳食積滯)복창(腹脹)기급(氣急)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반위(反胃)조잡(嘈雜)구토(嘔吐)
신공환(神功丸) /  치아감식(齒牙疳蝕)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열격(噎膈)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실장산(實腸散)[1] /  대장허한(大腸虛寒)
실장산(實腸散)[2] /  활설(滑泄)
십장군환(十將軍丸) /  구학(久瘧)학모(瘧母)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안위탕(安胃湯) /  반위(反胃)
안태산(安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안태음(安胎飮) /  태동불안(胎動不安)
양비환(養脾丸) /  식상(食傷)비위허한(脾胃虛寒)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골경(骨鯁)전후풍(纏喉風)
옥설탕(沃雪湯)[1] /  두목현훈(頭目眩暈)풍습(風濕)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용뇌고(龍腦膏)[3]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
용뇌음자(龍腦飮子) /  상초열(上焦熱)인후종통(咽喉腫痛)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유사탕(楡砂湯) /  변혈(便血)
육두구환(肉豆蔲丸) /  두창설사(痘瘡泄瀉)
육울탕(六鬱湯)[1] /  육울(六鬱)
육화탕(六和湯)[1] /  곽란전근(霍亂轉筋)중서(中暑)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이진탕(二陳湯)[2] /  오조(惡阻)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인삼자완탕(人蔘紫菀湯) /  구천(久喘)
입문대조환(入門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입효산(立效散)[7] /  퇴산(㿉疝)
자비환(滋脾丸) /  식상(食傷)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적석지산(赤石脂散)[1] /  장활(腸滑)한리(寒痢)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제호탕(醍湖湯) /  서열번갈(暑熱煩渴)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조기산(調氣散) /  기요통(氣腰痛)
조위고(助胃膏) /  소아토사(小兒吐瀉)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中滿)열창(熱脹)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오적(五積)간적(肝積)
창련탕(蒼連湯) /  탄산(呑酸)
천궁석고산(川芎石膏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곽란(霍亂)서열증(暑熱證)학리(瘧痢)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축비음(縮脾飮) /  중서(中暑)
축사(縮砂)[3] /  휴식리(休息痢)냉설(冷泄)
축사산(縮砂散) /  탈항(脫肛)
충한산(衝寒散) /  고냉(痼冷)소아설사(小兒泄瀉)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  상기(上氣)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쾌기탕(快氣湯) /  상기(上氣)
태극환(太極丸) /  신허(腎虛)
태창환(太倉丸) /  열격(噎膈)반위(反胃)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복창(腹脹)비위허한(脾胃虛寒)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조잡(嘈雜)
필징가원(蓽澄茄元) /  기창(氣脹)곡창(穀脹)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향귤음(香橘飮) /  기허현훈(氣虛眩暈)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  위한(胃寒)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1] /  비설(脾泄)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황금탕(黃芩湯)[5] /  태동불안(胎動不安)
황련목향탕(黃連木香湯) /  학후이질(瘧後痢疾)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