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로(藜蘆) / 참여로

 익생양술에서 "참여로"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여로(藜蘆) / 참여로"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중부 이북 채취기간 5~6월(꽃피기 직전)
1~1.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나무 아래 성미 차며,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실생ㆍ분주 1회사용량 0.1~0.3g
약효 뿌리ㆍ비늘줄기 사용범위 독성이 강하므로 복용할 때 특별히 조심한다.
동속약초 박새ㆍ여로ㆍ한여로의 뿌리ㆍ비늘줄기
줄기 아래쪽에서 어긋나는데 길이 약 40cm, 나비 약 10cm의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아져서 잎집으로 연결되며 잎집은 줄기를 감싼다. 잎은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7~9월에 지름 약 1cm의 짙은 자줏빛 꽃이 원줄기 끝에서 원추 꽃차례로 촘촘히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뭉뚝하다. 바깥 조각의 뒷면에는 흰 털이 빽빽이 난다. 수술은 6개이고 길이는 꽃덮이의 반 정도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씨방은 달걀꼴이고 아래쪽에 털이 나기도 한다.
열매
8월에 세모진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자줏빛으로 익는데 길이 1cm 정도이며 3갈래로 벌어진다.
특징 및 사용
큰여로ㆍ왕여로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속이 비어 있는 원기둥 모양이다. 줄기 밑동은 묵은 잎이 그물처럼 생긴 섬유로 싸인다. 참여로는 박새와 유사하나 줄기 밑동에 여로 모양의 섬유가 있고 여로와 같은 꽃이 피는 점이 다르다. 다만, 여로에 비해 장대하고 잎이 넓으며 꽃차례에 흰 털이 촘촘히 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여로(藜蘆) / 참여로
라틴명 Veratri Radix cum Rhizoma
약재의 효능 용토풍담(涌吐風痰)  (풍담(風痰)을 토(吐)해내게 하는 효능임)
살충독(殺蟲毒)  (벌레나 독을 없애는 것임.)
거사육(去死肉)  (죽은 살을 잘라내는 것임)
제흑지(除黑痣)
용토풍담고독(涌吐風痰蠱毒)
작용부위 간(肝) , 위(胃)
성미 고신(苦辛) , 유독(有毒) , 한(寒)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체허기약자(體虛氣弱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불와산(不臥散)[2] /  중풍졸도(中風卒倒)
삼선산(三仙散) /  음간(陰癎)전광(癲狂)
삼성산(三聖散)[1] /  음간(陰癎)전광(癲狂)
여로(藜蘆)[1] /  격상풍연(膈上風涎)
여로(藜蘆)[2] /  개선(疥癬)
여로고(藜蘆膏) /  음정(陰挺)
여로산(藜蘆散) /  구학(久瘧)
이자건살귀원(李子建殺鬼元)[2] /  귀매(鬼魅)시주(尸注)사수(邪祟)
일소산(一掃散) /  개선(疥癬)
일자산(一字散)[1] /  급후비(急喉痺)전후풍(纏喉風)
창공산(倉公散) /  울모(鬱冒)
축비통천산(縮鼻通天散) /  졸중풍(卒中風)
통기산(通氣散) /  대두온(大頭瘟)
통정산(通頂散) /  졸중풍(卒中風)인사불성(人事不省)
팔독적산(八毒赤散) /  귀주(鬼疰)
회춘벽사단(回春辟邪丹) /  부인귀교(婦人鬼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