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소엽(紫蘇葉) / 차조기

 익생양술에서 "차조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자소엽(紫蘇葉) / 차조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8~9월
20~8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4~6g
약효 온포기ㆍ씨ㆍ열매ㆍ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며 넓은 달걀꼴이고 잎자루가 길다. 잎 밑이 둥글거나 다소 쐐기 모양이고 끝이 날카로우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는 긴 털이 나 있다.
8~9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은 작지만 작은 꽃자루보다 길다. 꽃받침은 털이 있고 2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 중 위쪽 조각은 다시 3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조각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꽃부리는 짧은 통 모양이고 끝이 입술 모양을 이루는데 아랫입술꽃잎이 윗입술꽃잎보다 약간 길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10월에 지름 1.5mm 정도의 둥근 수과가 달려 익는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소엽(蘇葉)ㆍ적소(赤蘇)ㆍ계임(桂荏)ㆍ자주깨ㆍ붉은깨ㆍ차즈기ㆍ매기풀이라고도 한다. 들깨와 비슷하지만 전체가 자줏빛을 띠고 향기가 있다. 줄기는 네모로 각이 지며 곧게 서서 자라고 가지가 갈라진다. 방향성이 있다. 유사종으로 잎이 자줏빛이 아니고 녹색인 것을 청소엽이라 하는데 꽃이 희고 향기가 차조기보다 강하며 약재로 많이 쓴다. 차조기의 잎을 소엽, 씨를 자소자(紫蘇子), 뿌리줄기를 자소근(紫蘇根)이라 한다. 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씨는 식용하거나 향미료로 쓴다. 차조기 잎은 그윽한 향기가 있어 식욕을 돋우는 야채가 되며, 죽은 보신에 좋다. 씨에서 짜낸 기름은 과자ㆍ담배ㆍ치약의 부향료로 이용되며, 강한 방부 작용이 있어 20g의 기름으로 간장 180ℓ를 완전 방부할 수 있다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리고, 이뇨 작용을 원활히 하며, 신경계와 피부병증에도 효험이 있다.
자소엽(紫蘇葉) / 차조기 잎
라틴명 Perillae Herba
약재의 효능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통심장(通心臟)  (심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서간(舒肝)  (간기(肝氣)가 울결된 것을 흩뜨리는 효능임)
선통울기(宣通鬱氣)  (폐기(肺氣)를 개통시켜 응체된 기(氣)를 흩뜨리는 효능임)
해어해독(解魚蟹毒)  (물고기와 게를 많이 먹고 생긴 독(毒)을 푸는 것임.)
발표산한(發表散寒)  (땀을 내서 표(表)에 있는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심(心)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일본약국방
약재사용처방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매핵기(梅核氣)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2] /  경계(驚悸)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인삼자완산(加味人蔘紫菀散) /  노수(勞嗽)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 /  냉심통(冷心痛)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두통(頭痛)상한음증(傷寒陰證)
구보음(九寶飮) /  한수(寒嗽)구수(久嗽)
궁소산(芎蘇散)[1] /  임신상한(妊娠傷寒)
궁소산(芎蘇散)[2] /  임신상한(妊娠傷寒)
궁지산(芎芷散) /  이명(耳鳴)풍롱(風聾)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균기산(均氣散) /  기허불수(氣虛不遂)중풍(中風)
귤소산(橘蘇散) /  신열유한(身熱有汗)한수(寒嗽)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대영수탕(大寧嗽湯) /  노수(勞嗽)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종창(腫脹)
방기탕(防己湯) /  자종(子腫)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빈소산(檳蘇散) /  각기(脚氣)
사칠탕(四七湯) /  칠기울결(七氣鬱結)매핵기(梅核氣)
산사탕(散邪湯) /  풍학(風瘧)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  한천(寒喘)
삼소음(蔘蘇飮) /  상한해수(傷寒咳嗽)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삼향산(三香散) /  위랭(胃冷)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삼화탕(三和湯)[3] /  기창(氣脹)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소갈탕(蘇葛湯) /  반진(斑疹)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신비탕(神秘湯) /  수천(水喘)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온역(瘟疫)
십미궁소산(十味芎蘇散) /  온역(瘟疫)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안태산(安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안태음(安胎飮) /  태동불안(胎動不安)
오약평기탕(烏藥平氣湯) /  각기위증(脚氣危證)
오온단(五瘟丹) /  온역(瘟疫)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일복산(一服散) /  천행해수(天行咳嗽)
자소반하탕(紫蘇半夏湯) /  담천(痰喘)
자소엽(紫蘇葉)[2] /  무한(無汗)
자소엽(紫蘇葉)[3] /  설생포(舌生泡)
자소엽(紫蘇葉)[4] /  무한(無汗)
자소엽(紫蘇葉)[5] /  상한표증(傷寒表證)무한(無汗)
자소음(紫蘇飮) /  난산(難産)자현(子懸)
자소음자(紫蘇飮子) /  한수(寒嗽)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  기담(氣痰)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  구기울결(九氣鬱結)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청룡산(靑龍散) /  기수(氣嗽)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초과음(草果飮) /  한학(寒瘧)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팔미관동화산(八味款冬花散) /  한수(寒嗽)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2] /  어독(魚毒)해독(蟹毒)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적심통(積心痛)
행삼산(杏蔘散)[1] /  외상천급(外傷喘急)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행소탕(杏蘇湯) /  한수(寒嗽)
향갈탕(香葛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향박음자(香朴飮子) /  상서토사(傷暑吐瀉)
향소산(香蘇散)[1] /  시기온역(時氣瘟疫)사시상한(四時傷寒)
향소산(香蘇散)[2] /  사시온역(四時瘟疫)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