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Rehmanniae Radix |
약재의 효능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
|
퇴양(退陽)
(양기가 지나치게 항성한 것을 제어하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익기력(益氣力)
(기력(氣力)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이이목(利耳目)
(귀와 눈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
|
전골수(塡骨髓)
(골수(骨髓)를 보충하는 효능임)
|
|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
|
파악혈(破惡血)
(악혈(惡血)을 없애는 효능임.)
|
|
조심담기(助心膽氣)
(심(心)과 담(膽)의 기를 도와주는 효능임)
|
|
이대소장(利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
|
자음양혈(滋陰凉血)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식히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심(心)
|
성미 |
감고(甘苦)
, 양(凉)
|
주의사항 |
볕에 말려 검게 된 것. |
독성 |
Contraindicated with diarrhea and indigestion 1). ;side effects are mild and include diarrhea, abdomonal pain, dizziness, lack of energy, and palpitations 2).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
약재사용처방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
, 치(痔)
, 장풍(腸風)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혈허두통(血虛頭痛)
, 기궐두통(氣厥頭痛)
|
|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심허(心虛)
|
|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
|
궁황산(芎黃散) /
치불생(齒不生)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금황탕(金黃湯) /
혈림(血淋)
|
|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허손(虛損)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몰약강성단(沒藥降聖丹) /
골절(骨折)
, 타박상(打撲傷)
, 근단(筋斷)
|
|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진탕(保眞湯) /
유정(遺精)
, 골증(骨蒸)
, 조열(潮熱)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
, 허로(虛勞)
|
|
보화탕(保和湯) /
노수(勞嗽)
, 허로(虛勞)
, 폐위(肺痿)
|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운예(雲翳)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
양허(陽虛)
, 소기(少氣)
|
|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
|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
, 오로(五勞)
|
|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
|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
|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
|
온경익원탕(溫經益元湯) /
상한망양(傷寒亡陽)
|
|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
|
온청음(溫淸飮) /
오색대하(五色帶下)
|
|
이의환(二宜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
|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신허(腎虛)
, 목혼(目昏)
, 혈소신로(血少神勞)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허로(虛勞)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해혈(咳血)
|
|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종용원(蓯蓉元) /
발불생(髮不生)
|
|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
경계(驚悸)
|
|
주사황련원(朱砂黃連元) /
주갈(酒渴)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
|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
|
진간환(鎭肝丸) /
급경풍(急驚風)
|
|
천궁산(川芎散)[2] /
두목불청(頭目不淸)
, 현훈(眩暈)
|
|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
|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
|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
|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仁)
|
|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
|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
|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
|
황기탕(黃芪湯)[2] /
자한(自汗)
, 도한(盜汗)
|
|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
|
흑룡단(黑龍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
, 난산(難産)
, 태의불하(胎衣不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