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모(知母) / 지모

 익생양술에서 "지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지모(知母) / 지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부 이북 채취기간 9월~이듬해 3월
60~9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뿌리줄기 3~5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줄기 끝에서 뭉쳐나오는데 길이 20~70cm의 선형으로서 끝이 실처럼 가늘고 밑 부분은 서로 안기어 잎집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맥은 평행맥이다.
6~7월에 엷은 자줏빛으로 피는데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에 2~3개씩 모여 달려 수상 꽃차례를 이룬다. 꽃줄기는 높이 60~90cm로 자라고 달걀꼴로 길게 뾰족한 꽃턱잎이 달린다. 꽃부리는 길이 7~8mm의 좁은 통 모양이며 위쪽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3개이고 안쪽 꽃덮이 조각의 중앙에 붙어 있다. 씨방은 3실이고 달걀꼴이다.
열매
8~9월에 길이 12mm 정도인 긴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양 끝이 좁다. 3개의 씨방에 검은 씨가 1개씩 들어 있으며 씨에 3개의 날개가 달려 있다.
특징 및 사용
오래 된 뿌리 옆에 새로 자라는 뿌리의 모양이 마치 개미나 등에의 모양을 닮아서 지모(蚳母 : 개미알 지, 어미 모)라 하였는데 이것이 나중에 知母로 변하였다. 고심(苦心)ㆍ기모(芪母)ㆍ수삼(水參)ㆍ아초(兒草)ㆍ여뢰(女雷)ㆍ창지(昌支)ㆍ화모(貨毛)ㆍ제모(蝭母)ㆍ연모(連母)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는다. 점액성이며 약간 특이한 냄새와 단맛이 나지만 나중에는 쓰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3년 이상 묵은 뿌리줄기를 채취하여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후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또한 푹 고아서 죽처럼 먹기도 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지모(知母) / 지모
라틴명 Anemarrhenae Rhizoma
약재의 효능 자음강화(滋陰降火)  (신음(腎陰)이 휴손(虧損)되어 신화편항(腎火偏亢)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임.)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안심(安心)  (심기(心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자신(滋腎)  (신(腎)을 기르는 효능임)
익기(益氣)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지수(止嗽)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신(腎) , 위(胃) , 폐(肺)
성미 고감(苦甘)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많이 복용하거나, 철기를 쓰지 말 것. 외감표증(外感表證)이 이미 제거되었거나 비위허약(脾胃虛弱), 신허당설자(腎虛{당}泄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건망(健忘)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어성중탁(語聲重濁)실음(失音)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혈허두통(血虛頭痛)기궐두통(氣厥頭痛)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담수(痰嗽)조열(潮熱)혈허(血虛)도한(盜汗)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  식적수(食積嗽)구수(久嗽)노수(勞嗽)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갈근귤피탕(葛根橘皮湯) /  반진(斑疹)
감리고(坎離膏)[1] /  토혈(吐血)수혈(嗽血)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노손(勞損)음허화동(陰虛火動)
감리환(坎離丸) /  설정(泄精)유정(遺精)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계명환(鷄鳴丸)[1] /  해수(咳嗽)천촉(喘促)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계부탕(桂附湯)[2] /  백대(白帶)
계지석고탕(桂枝石膏湯) /  태양양명합병(太陽陽明合病)간일학(間日瘧)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 /  태양학(太陽瘧)열학(熱瘧)
계지황금탕(桂枝黃芩湯) /  태양양명소양합병(太陽陽明少陽合病)
고정환(固精丸) /  정설(精泄)신허(腎虛)탈정(脫精)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관동화산(款冬花散) /  담연옹성(痰涎壅盛)풍수(風嗽)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귀원산(歸元散)[1] /  몽설(夢泄)중기하함(中氣下陷)
기제청신산(旣濟淸神散) /  중초열(中焦熱)
기제환(旣濟丸)[1] /  방광허한(膀胱虛寒)소변불금(小便不禁)
기제환(旣濟丸)[2]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단어산(團魚散) /  골증(骨蒸)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1] /  기혈양허(氣血兩虛)도한(盜汗)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대보음환(大補陰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도기제조탕(導氣除燥湯) /  소변불통(小便不通)
도씨도적각반탕(陶氏導赤各半湯) /  상한차후혼침(傷寒差後昏沈)
도씨시호백합탕(陶氏柴胡百合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도씨익원탕(陶氏益元湯) /  상한대양(傷寒戴陽)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맥문동음자(麥門冬飮子) /  격소(膈消)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안화(眼花)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예막차정(藝膜遮睛)
모려산(牡蠣散)[1] /  자한(自汗)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발운탕(撥雲湯) /  예막(翳膜)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내장(內障)
백출제습탕(白朮除濕湯) /  중초열(中焦熱)
백합지모탕(百合知母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백호계지탕(白虎桂枝湯) /  온학(溫瘧)
백호탕(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보수단(補髓丹)[2] /  허로이수(虛勞羸瘦)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보신환(補腎丸)[1] /  신음허(腎陰虛)
보신환(補腎丸)[3] /  이명(耳鳴)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도한(盜汗)조열(潮熱)담수(痰嗽)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2] /  몽설(夢泄)도한(盜汗)조열(潮熱)객혈(喀血)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  오로(五勞)기혈양허(氣血兩虛)칠상(七傷)
보정탕(保精湯) /  몽설(夢泄)음허화동(陰虛火動)
보진탕(保眞湯) /  골증(骨蒸)조열(潮熱)유정(遺精)
보천환(補天丸)[1] /  골증(骨蒸)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불이음(不二飮) /  학질(瘧疾)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산조인탕(酸棗仁湯)[1] /  허번불수(虛煩不睡)
산조인탕(酸棗仁湯)[3] /  상한허번(傷寒虛煩)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타혈(唾血)담수(痰嗽)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  주하(疰夏)
삼유음(蔘薷飮) /  곽란(霍亂)상서(傷暑)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상산음(常山飮) /  노학(勞瘧)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상소(上消)
석자제니탕(石子薺苨湯) /  강중(强中)
선감리환(先坎離丸) /  유정(遺精)조열(潮熱)담수(痰嗽)음허화동(陰虛火動)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반진(斑疹)양독발반(陽毒發斑)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배옹(背癰)오발옹저(五發癰疽)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시호기길탕(柴胡枳桔湯) /  화수(火嗽)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  장학(瘴瘧)열학(熱瘧)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열격(噎膈)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오로(五勞)칠상(七傷)
안신탕(安神湯) /  기궐두통(氣厥頭痛)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1] /  붕루(崩漏)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2] /  장벽(腸澼)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  예막(翳膜)
오즙옥천환(五汁玉泉丸) /  소갈(消渴)
오증탕(五蒸湯) /  골증(骨蒸)
옥액산(玉液散) /  화천(火喘)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1] /  구고(口苦)
용호탕(龍虎湯) /  열학(熱瘧)
위생천화원(衛生天花元) /  신소(腎消)소갈(消渴)
육화탕(六和湯)[2] /  구학(久瘧)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음허천급(陰虛喘急)담수(痰嗽)
응신산(凝神散) /  열중(熱中)
이모산(二母散)[1] /  해수(咳嗽)담천(痰喘)
이모산(二母散)[2] /  산후천급(産後喘急)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익기양신탕(益氣養神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익본자신환(益本滋腎丸) /  흑정예막(黑睛翳膜)
인삼관화산(人蔘款花散) /  구수(久嗽)
인삼백호탕(人蔘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인삼석고탕(人蔘石膏湯) /  격소(膈消)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  구천(久喘)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인삼죽력음(人蔘竹瀝飮) /  허학(虛瘧)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  폐열(肺熱)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실음(失音)담수(痰嗽)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  노수(勞嗽)폐위(肺痿)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자신환(滋腎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신허(腎虛)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2]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양영탕(滋陰養榮湯) /  소갈(消渴)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육혈(衄血)해혈(咳血)허로(虛勞)토혈(吐血)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자하거환(紫河車丸) /  노채(勞瘵)전시(傳尸)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저근백피환(樗根白皮丸) /  유정(遺精)
절학상산음(截瘧常山飮) /  학질(瘧疾)
정기탕(正氣湯)[1] /  도한(盜汗)
제생석고탕(濟生石膏湯) /  자학(子瘧)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죽피소요산(竹皮逍遙散) /  음양역(陰陽易)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중만분소환(中滿分消丸) /  중만(中滿)열창(熱脹)
지골피산(地骨皮散)[1] /  혈열(血熱)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지골피산(地骨皮散)[3] /  허열(虛熱)
지모(知母)[1] /  신열(腎熱)
지모(知母)[2] /  골열(骨熱)
지모(知母)[3] /  골증(骨蒸)
지모(知母)[4] /  골열감로(骨熱疳勞)
지모(知母)[5] /  열학(熱瘧)
지모마황탕(知母麻黃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지모탕(知母湯) /  노수(勞嗽)
지모환(知母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지부자탕(地膚子湯)[1] /  소변불통(小便不通)
지부자탕(地膚子湯)[2] /  자림(子淋)
징청음(澄淸飮) /  담수(痰嗽)
창출백호탕(蒼朮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천문동음(天門冬飮) /  자수(子嗽)
천문동음자(天門冬飮子) /  녹로전관(轆轤轉關)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월경통(月經痛)
청금환(靑金丸)[2] /  식적수(食積嗽)
청기음(淸氣飮) /  중서(中暑)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요혈(尿血)변혈(便血)
청열해독산(淸熱解毒散) /  천행온역(天行瘟疫)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후옹(喉癰)음허화동(陰虛火動)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인후종통(咽喉腫痛)허화상염(虛火上炎)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태극환(太極丸) /  신허(腎虛)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허로(虛勞)
통관환(通關丸) /  소변불통(小便不通)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건해(乾咳)건수(乾嗽)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신허(腎虛)
패모산(貝母散)[1] /  화수(火嗽)
패모산(貝母散)[2] /  담천(痰喘)열수(熱嗽)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필효산(必效散)[1] /  임(淋)
함고환(含膏丸) /  천수(喘嗽)
호잠환(虎潛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 /  조잡(嘈雜)
화반탕(化斑湯) /  반진(斑疹)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환혼산(還魂散) /  정창(釘瘡)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노손(勞損)
황련사심탕(黃連瀉心湯) /  전광(癲狂)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배(發背)발뇌(發腦)마목(麻木)
황련저두환(黃連猪肚丸)[1] /  소갈(消渴)중소(中消)
후감리환(後坎離丸) /  담수(痰嗽)음허화동(陰虛火動)유정(遺精)조열(潮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