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구등(釣鉤藤) / 조구등나무
![](../images/shared/blue-arrow.gif)
동의보감에서 "조구등(釣鉤藤) / 조구등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조구등(釣鉤藤) / 조구등나무
라틴명 |
Uncariae Ramulus cum Uncis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식풍(熄風)
(평식내풍(平熄內風)의 치법을 말함. 내장병변(內臟病變)으로 발생한 풍병(風病)을 치료한다.)
|
|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서근(舒筋)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
|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진경(鎭痙)
(경련의 증상들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발반진(發斑疹)
(반진(斑疹)이 생기는 것임)
|
|
식풍정경(熄風定痙)
(내풍(內風)을 치료하여 경련(痙攣)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심포(心包)
|
성미 |
감(甘)
, 양(凉)
|
약전기재 |
원색화한약도감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가시가 달린 어린 가지 |
약재사용처방 |
단간단(斷癎丹) /
전간(癲癎)
|
|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