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위(茺蔚) / 익모초

 익생양술에서 "익모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충위(茺蔚) / 익모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6∼10월
50∼15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들, 빈터, 밭둑, 길가 성미 약간 차며, 맵고 쓰다.
분류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온포기 7∼8g, 씨 3∼5g
약효 온포기ㆍ씨 사용범위 적당량은 이로우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는데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깊게 패였으며 꽃이 필 때쯤 떨어진다. 줄기잎은 길이 5~10cm이고 3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들은 다시 2∼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색의 짧은 털이 모여 나 있어 분백색이 돈다.
7∼8월에 길이 6~7mm의 엷은 홍자색 또는 분홍색 꽃이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몇 송이씩 층층이 윤산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다.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고 2개로 갈라진다. 아랫입술꽃잎은 다시 3개로 갈라지는데 가운데 것이 가장 크고 붉은 줄이 있다.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
9∼10월에 넓은 달걀꼴의 분과를 맺는데 꽃받침 속에 들어 있고 익으면 넷으로 갈라져 씨가 여러 개 나온다. 씨는 길이 2~2.5mm이며 겉에 능선이 3개 있다.
특징 및 사용
육모초ㆍ임모초ㆍ익명초ㆍ암눈비앗ㆍ야천마(野天麻)ㆍ저마ㆍ하고ㆍ토질한ㆍ충울ㆍ개방아라고도 한다. 줄기는 둔하게 네모지고 가지를 치며 흰색의 잔털이 나 있어 전체에 백록색이 돈다. 주로 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익모초, 씨를 충울자(茺蔚子)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익모초는 온포기와 씨앗이 모두 알차고 꽉 차 있어 충울(茺蔚)이라 하며, 여성 질환에 좋고 눈을 밝게 한다 하여 익모(益母) 또는 익명(益明)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또 줄기가 마처럼 각이 져 있어 야천마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풀을 돼지가 잘 먹어 저마(猪麻)라고도 한다. 하지 이후에는 말라 죽기 때문에 하고(夏枯)라는 이름도 있다. 또한 질한(質汗)이라는 약재처럼 베이고 잘린 상처를 치료하는데 효험이 있다 하여 흙에서 나는 질한이라는 뜻에서 토질한(土質汗)이라는 이명도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약재를 취급할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충위(茺蔚) / 익모초
라틴명 Leonuri Herba
약재의 효능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조경(調經)  (12경맥(經脈)을 도와주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하수(下水)  (몸 안의 수기(水氣)를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거어(祛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거어생신(祛瘀生新)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새로운 피를 생기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심포(心包)
성미 미한(微寒) , 신고(辛苦)
독성 Not to be used pregnancy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약재사용처방 충위(茺蔚) /  난산(難産)포의불하(胞衣不下)사태불하(死胎不下)
충위경엽(茺蔚莖葉)[1] /  은진(癮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