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담(熊膽) / 웅담
익생양술에서
"웅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웅담(熊膽) / 웅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Selenarctos thibetanus
분포 |
지리산, 설악산 |
채취기간 |
가을~봄 |
키 |
1.2~1.9m |
취급요령 |
날것으로 쓴다. |
생지 |
깊은산 |
성미 |
차며, 쓰다. |
분류 |
포유류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태생 |
1회사용량 |
쓸개 0.3~0.5g |
약효 |
쓸개(웅담) |
사용범위 |
많은 양을 삼간다. |
특징 및 사용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은 몸이 불곰보다 작고 전체가 광택이 나는 검정색이며, 앞가슴에 반달 모양의 큰 흰색 무늬가 있다. 그러나 이 무늬는 변이가 심하여 큰 것, 작은 것, 또는 없는 것도 있다. 과실, 도토리 등 단단한 열매를 좋아하며 나무의 어린 싹도 잘 먹는다. 그 밖에 곤충과 물고기도 잡아먹는다. 교미 시기는 7~9월이고, 교미 시기가 끝나면 암수가 떨어져 생활한다. 겨울엔 나무 구멍이나 동굴에 들어가 동면을 한다. 수명은 60~70년이다. 곰의 쓸개를 웅담(熊膽)이라 하며, 약재로 귀하게 쓴다. 맛이 매우 쓰다. 약으로 쓸 때는 탕보다는 주로 생약을 입에 넣고 따뜻한 물로 삼킨다. 주로 신경계, 운동계 등의 통증을 다스린다.
웅담(熊膽) / 웅담
라틴명 |
Ursi Fel |
약재의 효능 |
청심(淸心)
(열사(熱邪)가 심포(心包)에 침입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진경(鎭驚)
(발작 등의 증상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거예(去翳)
(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제열거사(除熱去邪)
(열(熱)을 제거하고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비(脾)
, 위(胃)
|
성미 |
고(苦)
, 한(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주의사항 |
담즙을 말린 것 |
약재사용처방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비전신응고(秘傳神應膏) /
치루(痔瘻)
|
|
오감보동원(五疳保童元) /
오장감(五臟疳)
|
|
오담고(五膽膏) /
안화(眼花)
, 내장(內障)
|
|
웅담(熊膽)[1] /
회심통(蛔心痛)
|
|
웅담(熊膽)[2] /
다루(多淚)
, 예막(翳膜)
|
|
웅담(熊膽)[3] /
충심통(蟲心痛)
|
|
웅담(熊膽)[4] /
천행급황(天行急黃)
|
|
웅담(熊膽)[5] /
감창(疳瘡)
|
|
웅담고(熊膽膏) /
탈항(脫肛)
, 치루(痔瘻)
|
|
웅담즙(熊膽汁) /
악창(惡瘡)
|
|
웅빙고(熊氷膏)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유인고(蕤仁膏) /
예장(翳障)
|
|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
|
추예환(墜翳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해아산(孩兒散) /
탈항(脫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