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자(鼠粘子) / 우엉

 익생양술에서 "우엉"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서점자(鼠粘子) / 우엉"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8∼9월
50∼15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리거나 볶아서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맵고 쓰다.
분류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씨 4∼7g, 잎ㆍ뿌리 8∼12g
약효 잎ㆍ씨ㆍ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잎은 무더기로 뭉쳐나며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어긋난다. 잎몸은 심장형으로서 끝이 뭉뚝하고 밑은 넓거나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흰빛이 돈다.
7~8월에 검은 자줏빛이 도는 두상화가 줄기 꼭대기에서 갈라진 작은 가지 끝에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차례받침은 둥글고 꽃턱잎 조각은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 바늘 모양이다. 꽃은 통 모양의 대롱꽃이다.
열매
9월에 수과가 달려 회갈색으로 익는데 갈색의 갓털이 붙어 있고 속에서 검은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우방(牛蒡)ㆍ대방자(大方子)ㆍ흑풍자(黑風子)라고도 한다. 곧은 뿌리가 흙 속에서 30~60cm로 깊게 뻗어나가 비대해지는데 원기둥 모양의 육질이며 긴 막대기처럼 생겼다. 뿌리 끝에서 나온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곧게 서서 자란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 뿌리와 씨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잎은 약간 볶거나 물에 쪄서 말려 산제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뿌리는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피부과ㆍ운동계ㆍ치과 질환을 다스린다.
서점자(鼠粘子) / 우엉 씨
라틴명 Arctii Fructus
약재의 효능 사열(瀉熱)  (열을 없애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제풍(除風)  (풍(風)의 기운을 제거하는 효능임)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이요슬(利腰膝)  (요슬(腰膝)을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청인격(淸咽膈)  (풍열(風熱)을 흩어주어 인후와 횡격막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통12경(通十二經)
소산상초풍열(疏散上焦風熱)
투발경락(透發經絡)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신(辛) , 평(平)
주의사항 기허면백(氣虛面白), 두증허한(痘症虛寒), 옹저기궤이작설(癰疽己潰而作泄)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독성 Rough hairs can irritate the skin and cornea. May cause contact dermatitis 1). Excessive internal use should be avoided in pregnancy 2) due to its oxytocic effect 1) and uterine stimulant action 3).
1) Lewis, W.H. and Elvin-Lewis, M.P.F., Medical Botany, John Wiley & Sons, New York, 515, 1977.
2) Brinker F. The Toxicology of Botanical Medicines, rev. 2nd ed., Eclectic Medical Pub., Sandy, Ore., 1996.
3) Farnsworth NR et al., J. Pharm.Sci., 64, 535, 1975.
약재사용처방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두진(痘疹)구설생창(口舌生瘡)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농이(膿耳)
보원탕(保元湯)[2] /  두창(痘瘡)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보폐산(補肺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  안화(眼花)예장(翳障)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1] /  단독(丹毒)은진(癮疹)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2] /  두출불쾌(痘出不快)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서점자탕(鼠粘子湯)[2] /  두출과밀(痘出過密)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소독음(消毒飮)[3] /  두출불쾌(痘出不快)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수념산(手捻散) /  요통(腰痛)복통(腹痛)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여성음(如聖飮)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이격탕(利膈湯) /  후옹(喉癰)
치두창입안일방(治痘瘡入眼一方) /  두창입안(痘瘡入眼)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통간산(通肝散) /  빙예(氷翳)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두출과밀(痘出過密)장열(壯熱)성아(聲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