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Zanthoxyli Pericarpium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장양(壯陽)
(치료 방법으로 온보약(溫補藥)으로 허쇠한 심, 신의 양기를강장(强壯)시키는 것임.)
|
|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
|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
|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
|
하유즙(下乳汁)
(젖이 잘 나오게 하는 방법임)
|
|
멸반흔(滅瘢痕)
(흉터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
|
해충어독(解蟲魚毒)
(물고기와 벌레의 독을 해독하는 것임.)
|
|
산한축습(散寒逐濕)
(한사(寒邪)를 없애고 습(濕)을 쫓는 효능임)
|
|
보명문화(補命門火)
(명문(命門)의 화(火)를 보하는 효능임)
|
|
개주리(開腠理)
(주리(腠理)를 열어주는 효능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견치발(堅齒髮)
|
|
두불백(頭不白)
|
|
조관절(調關節)
|
|
내한서(耐寒暑)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폐(肺)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재사용처방 |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
|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
|
감초탕(甘草湯)[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개소산(開笑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
고치산(固齒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납반지(蠟礬紙) /
내염창(內炎瘡)
|
|
마풍고(磨風膏) /
음식창(陰蝕瘡)
|
|
만병원(萬病元)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
명목세신탕(明目細辛湯) /
도첩권모(倒睫拳毛)
, 안릉긴급(眼楞緊急)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
|
보손당귀산(補損當歸散) /
타박상(打撲傷)
, 절상(折傷)
|
|
복령탕(茯苓湯)[2]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
|
봉와산(蜂窩散) /
풍치(風齒)
, 아주공(牙蛀孔)
|
|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
|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
|
비전일찰광(秘傳一擦光) /
개선(疥癬)
, 악창(惡瘡)
|
|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
|
생독오운유(生禿烏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세감탕(洗疳湯) /
하감창(下疳瘡)
|
|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
|
소산환(消疝丸) /
퇴산(㿉疝)
|
|
소신산(燒腎散) /
노롱(勞聾)
|
|
소안신환(小安腎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이명(耳鳴)
|
|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 /
음독발반(陰毒發斑)
|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
신첩고(神捷膏) /
내염창(內炎瘡)
, 외렴창(外廉瘡)
|
|
십주환(十疰丸) /
귀기(鬼氣)
, 십종시주(十種尸疰)
|
|
아동금수약(牙疼噙漱藥) /
치통(齒痛)
|
|
여선옹방(呂仙翁方) /
내장(內障)
|
|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
, 전광(癲狂)
, 온역(瘟疫)
, 노채(勞瘵)
|
|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비색(鼻塞)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수발조백(鬚髮早白)
|
|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
|
오매환(烏梅丸)[1] /
회궐(蛔厥)
|
|
오수유탕(吳茱萸湯)[3] /
진창(䐜脹)
|
|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
목은삽(目隱澁)
, 예막차정(藝膜遮睛)
|
|
오출환(烏朮丸) /
허로(虛勞)
|
|
온백원(溫白元) /
징가(癥瘕)
, 적취(積聚)
, 황달(黃疸)
|
|
온위탕(溫胃湯)[3] /
한창(寒脹)
|
|
요자산(腰子散) /
수산(水疝)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유황병(硫黃餠) /
개선(疥癬)
|
|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
|
일소광(一掃光) /
소아두창(小兒頭瘡)
|
|
일소산(一笑散) /
아주공(牙蛀孔)
|
|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
|
적출원(赤朮元) /
부골저(附骨疽)
|
|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
|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오적(五積)
, 비적(脾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오적(五積)
, 간적(肝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
, 오적(五積)
|
|
찰아방(擦牙方)[1] /
치통(齒痛)
|
|
찰아지통방(擦牙止痛方) /
치통(齒痛)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초(川椒)[2] /
치통(齒痛)
|
|
천초(川椒)[3] /
냉심통(冷心痛)
|
|
천초(川椒)[4] /
냉복통(冷腹痛)
|
|
천초(川椒)[5] /
한습비통(寒濕痺痛)
|
|
천초(川椒)[6] /
한습각기(寒濕脚氣)
|
|
천초(川椒)[7] /
분돈(奔豚)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
|
초부산(椒附散) /
항강(項强)
|
|
초분산(椒粉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초염산(椒鹽散) /
아주공(牙蛀孔)
|
|
추석오정환(秋石五精丸) /
신허(腎虛)
, 노손(勞損)
|
|
취경분법(取輕粉法) /
경분독(輕粉毒)
|
|
치악창세약방(治惡瘡洗藥方)[2] /
악창(惡瘡)
|
|
탕세방(湯洗方) /
옹저(癰疽)
|
|
통경환(通經丸) /
혈가(血瘕)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
|
향초산(香椒散) /
치통(齒痛)
|
|
향표탕(香鰾湯) /
양매창(楊梅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