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고(山慈姑) / 약난초

 익생양술에서 "약난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산자고(山慈姑) / 약난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북 이남(한라산ㆍ내장산) 채취기간 6~7월
30~50cm 취급요령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숲 속 성미 차며, 달고 약간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2~3g
약효 뿌리(비늘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두잎약난초ㆍ감자난의 뿌리줄기
1~2개가 비늘줄기 끝에서 나오는데 길이 25~40cm, 나비 4~5cm의 긴 타원형으로서 3개의 주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잎자루와 연결된다.
5~6월에 연한 자줏빛이 도는 갈색으로 피는데 15~20송이의 꽃들이 꽃줄기 끝에 한쪽으로 치우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밑을 향해 달린다. 꽃줄기는 비늘줄기 옆에서 나오고 꽃줄기에 잎집 모양의 잎이 달린다. 꽃차례의 길이는 10~20cm이다. 꽃턱잎은 길이 7~10mm인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덮이 조각은 길이 3~3.5cm, 나비 4~5mm인 선 모양의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이다. 입술꽃잎은 끝이 3개로 갈라지고 밑 부분에 육질의 부속체가 있으나 상투는 없다. 암술은 길이 2.5cm이고 위쪽이 약간 굵다.
열매
7월에 길이 2~2.5cm인 긴 타원형의 삭과가 밑을 향해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약란ㆍ정화난초ㆍ금등(金燈)ㆍ녹제초(鹿蹄草)ㆍ산자고(山茨姑)ㆍ주고(朱姑)ㆍ귀등경ㆍ모자고(毛慈姑) 등의 별칭이 있다. 작은 풀이지만 꽃이 탐스럽고 진달래꽃과 같은 색으로 고운 꽃을 많이 피우기 때문에 예부터 두견란(杜鵑蘭)이라고도 한다. 약난초라는 이름은 옛날부터 한방에서 위염ㆍ장염ㆍ종기ㆍ부스럼 등의 치료제로 쓰였기 때문에 붙여졌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비늘줄기는 달걀처럼 생긴 둥근 육질이며 옆으로 염주알같이 연결되고 땅 속으로 얕게 들어간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점액이 많은 비늘줄기를 산자고라 하며 점활제(黏活劑)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장과 비장경을 다스리고, 호흡기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산자고(山慈姑) / 약난초
라틴명 Cremastrae Bulbus
약재의 효능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제간증(除䵟䵳)  (기미를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감신(甘辛) , 소독(小毒) , 양(凉)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만병해독원(萬病解毒元) /  도생독(挑生毒)고독(蠱毒)
옥추단(玉樞丹) /  도생독(挑生毒)고독(蠱毒)
자금정(紫金錠)[1] /  귀태(鬼胎)
자금정(紫金錠)[2] /  발배(發背)옹저(癰疽)정창(釘瘡)
자금정자(紫金錠子) /  노채(勞瘵)전시(傳尸)
태을자금단(太乙紫金丹) /  도생독(挑生毒)고독(蠱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