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초상(百草霜) / 숯

 익생양술에서 "숯"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초상(百草霜) / 숯"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주로 강원도, 충청북도 채취기간 연중
null 취급요령 그대로 또는 산제로 하여 쓴다.
생지 산간 농가 성미 온화하며, 약간 떫다.
분류 참나무류 독성여부 없다.
번식 null 1회사용량 10~20g
약효 전체 사용범위 장기간 사용해도 무방하다.
특징 및 사용
각종 나무류(식물류)는 모두 숯으로 구워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참나무 소나무를 숯으로 굽는데 일반적으로 참나무를 많이 이용한다. 소나무는 그리 다양하게 사용하지 않는데, 단지 금을 녹이는 데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나무숯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서려 있어 일반가정이나 식당에서 고기를 굽는 등 여러가지 용도로 많이 사용하며 질병을 퇴치하는 데까지 쓰고 있을 정도이다.
백초상(百草霜) / 앉은검정
라틴명 Pulvis Fumi Carbonisatus seu Harbarium Ustrarum Fuligo
약재의 효능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화체(化滯)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적리(積痢)구리(久痢)
방상산(蚌霜散)[1] /  구혈(嘔血)토혈(吐血)육혈(衄血)
방상산(蚌霜散)[2] /  상손실혈(傷損失血)
백초상(白草霜)[1] /  실혈(失血)
백초상(白草霜)[5] /  비창(鼻瘡)
백초상(白草霜)[6] /  설종(舌腫)
백초상(白草霜)[7] /  심통(心痛)
백초상(百草霜)[2] /  혈붕(血崩)
백초상(百草霜)[3] /  폭설(暴泄)
백초상(百草霜)[4] /  구사(久瀉)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상염산(霜鹽散) /  설종(舌腫)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적리(積痢)
소계산(小薊散) /  치뉵(齒衄)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오금산(烏金散)[1] /  난산(難産)태건자사(胎乾子死)
오금산(烏金散)[2]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산후혈훈(産後血暈)
오회산(五灰散) /  실혈(失血)혈붕(血崩)
인담진첩법(引痰眞捷法) /  후비(喉痺)
정생단(定生丹) /  반위(反胃)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최생산(催生散) /  난산(難産)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2]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흑룡단(黑龍丹)[1] /  난산(難産)사태불하(死胎不下)
흑룡단(黑龍丹)[2] /  난산(難産)태의불하(胎衣不下)사태불하(死胎不下)
흑신산(黑神散)[1] /  토혈(吐血)구혈(嘔血)
흑신산(黑神散)[2] /  역산(逆産)난산(難産)횡산(橫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