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현(馬齒莧) / 쇠비름

 익생양술에서 "쇠비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마치현(馬齒莧) / 쇠비름"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5~8월
30cm 정도 취급요령 약간 쪄서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길가ㆍ밭ㆍ빈터 성미 차며, 시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 씨 1회사용량 온포기 8~10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당뇨병에는 6개월 이상 복용한다.
마주나거나 어긋나는데 가지 끝에서는 돌려난 것처럼 보인다. 길이 2cm 정도의 거꿀달걀꼴로서 구두주걱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은 두텁고 다소 육질이다. *잎자루는 없다.
6월부터 가을까지 황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에 3~5개씩 모여 달려 핀다. 꽃자루는 없으며 양성화이다.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에 오므라들며 그늘지거나 비오는 날에는 꽃봉오리를 닫는다. 꽃받침 조각은 2개이고 꽃잎은 5개이다. 7~1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5개이다. 씨방은 중위이다.
열매
6~9월에 타원형의 개과가 꽃받침에 싸여 달리는데 도토리 모양을 닮았다. 열매가 익으면 가로로 갈라져 뚜껑처럼 열리고 검은 씨가 많이 나온다.
특징 및 사용
오행초ㆍ돼지풀ㆍ도둑풀ㆍ말비름ㆍ마치채(馬齒菜)ㆍ산산채(酸酸菜)ㆍ장명채(長命菜)ㆍ마치현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흰색, 줄기는 붉은색, 잎은 푸른색, 꽃은 노란색, 씨앗은 검은색으로 5가지 색을 가지고 있어 오행초라 부른다. 또한 오래 먹으면 장수하고 늙어도 머리카락이 희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장명채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육질이고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이 매끈하다. 줄기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땅 위를 기어 비스듬히 옆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뿌리는 희지만 손으로 훑거나 돌에 짓이기면 붉게 변한다. 일명 육자엽채(肉子葉菜)라고 한다. 사료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쓴다. 옛날에는 채소로 밭에 가꾸기도 하였다. 약으로 쓸 때는 증기에 약간 쪄서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탕 또는 환제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마치현(馬齒莧) / 쇠비름
라틴명 Portulacae Herba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산혈(散血)  (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거백충(去白蟲)  (모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하제악(下諸惡)  (모든 악한 기운이나 나쁜 물질들을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소종산혈(消腫散血)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대장(大腸)
성미 산(酸) , 한(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많이 먹지 말 것.
독성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kidney stones should use this herb cautiously 2).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3,4).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대마치고(大馬齒膏) /  신장풍창(腎臟風瘡)
마치고(馬齒膏) /  염창(臁瘡)
마치현(馬齒莧)[2] /  소아혈리(小兒血痢)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적백리(赤白痢)
마치현(馬齒莧)[3] /  번화창(飜花瘡)
마치현(馬齒莧)[4] /  악창(惡瘡)누창(瘻瘡)
마치현(馬齒莧)[5] /  부인제하악창(婦人臍下惡瘡)
마치현(馬齒莧)[6] /  산후혈리(産後血痢)
마치현(馬齒莧)[7] /  감리(疳痢)백독창(白禿瘡)두창반흔(痘瘡瘢痕)
필승고(必勝膏) /  두후옹절(痘後癰癤)
해마독방(解馬毒方) /  마독입창(馬毒入瘡)